外來語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借用語 에서 넘어옴)

外來語 (外來語)란 固有語가 아닌 外國에서 들여와 자국어처럼 使用하는 말을 일컫는다. [1] 같은 意味의 用語로 "借用語(借用語)"가 있다. [2]

英語에서 外來語에 該當되는 單語는 "Loanword" 또는 "Loan Word"이며, 飜譯 없이 또는 거의 最小限의 飜譯만으로 다른 言語에서 直接 가져온 單語를 意味한다. 이 單語와 類似하나, "車用"이라는 意味의 單語가 浮刻되는 "Calque" 또는 "Loan Translation"은 言語의 舊文 그 自體가 아니라 뜻, 또는 그 쓰임새가 借用되는 境遇를 의미한다. [3] "Loanword" 自體는 獨逸語 Lehnwort의 Calque에 該當한다. [4]

外來語 [ 編輯 ]

  • 政治的, 文化的 影響力이 큰 言語圈에서 使用되는 言語의 낱말을 周邊 言語가 자주 받아들인다. 文化 中心地인 큰 言語圈에서 새로운 事物이나 思想을 담아내는 單語가 活潑히 만들어지면 그러한 槪念을 受容하는 周邊 言語圈에서 그러한 文化를 받아들이면서 그대로 빌려 쓰는 것이 빠르다는 便利함 때문이다. 韓國語 가 古代에서부터 近世에 이르러 中國語 에서, 近現代에 들어와 日本語와 英語를 비롯한 유럽어에서 많은 낱말을 借用한 것이 그 例이다. [5]
  • 屬領 또는 植民 支配 等으로 占領國의 言語가 影響을 미쳐서 支配層 言語의 말이 言語 接觸이나 敎育에 依해 被支配層 言語에 섞여 들어가기도 한다. 노르만 征服 以後 英語에 미친 프랑스語의 影響이나, 필리핀語에 對한 스페인語, 英語의 影響 等이 좋은 例이다. 이러한 支配 狀態가 繼續되면 被支配層의 言語가 支配層 言語로 옮겨 가는 일도 發生한다. (아일랜드의 英語化) [5]
  • 特定 言語가 政治的 影響力을 미치지 않아도, 그 나라의 文化가 競爭力을 가져 나라 밖으로 퍼지면 그곳에서 쓰는 用語가 周邊 言語에 借用된다. 日本語 "아니메" ( 애니메이션 ), "亡家" ( 漫畫 ), " 오타쿠 " 等이 이에 屬한다.
  • 特産物, 地域의 獨特한 事物에 關聯된 낱말, 人命, 地名 等의 固有名詞는 政治, 文化的 影響에 關係없이 두루 借用된다. 韓國語 " 김치 ", 베트남語 " 아오자이 ", 아이누 어 起源 홋카이도 一部 地名 等이 이에 該當된다.

受容 樣式 [ 編輯 ]

獨逸 學者인 베르너 베츠, 아이나르 하우젠, 우리엘 바인라이히 等은 借用語 硏究에 關한 古典的 業績을 남긴 사람들이다. 베츠의 硏究에 따른 外來 借用語의 受容 樣式은 다음과 같다. (但, 이들의 硏究는 알파벳을 쓰는 유럽의 言語를 對象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東아시아나 其他 地域과는 딱 들어맞지 않을 수 있다)

外國語: 外國語 낱말을 어떠한 變形없이 그대로 들여 옴.

  • 英語의 Cafe(프랑스語에서), 이탈리아語 Mouse(英語에서)

外來語: 外國語 낱말을 現地 言語에 맞게 어느 程度 變形函. (特히 스펠링)

  • 英語의 Music(프랑스語 Musique에서), 스페인語 Chofer(프랑스語 Chauffeur에서)

部分 바꿈: 合成語 中에서 一部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一部는 그에 該當하는 自國語 낱말로 바꿈.

  • 獨逸語 Showgeschaft(英語 Show Business에서), 獨逸語 Live-Sendung(英語 Live-Broadcast에서)

飜譯 借用: 外國語 낱말을 낱낱의 意味 單位로 쪼개어 자국어 낱말로 바꿈.

  • 英語 Monday(라틴語 Lunae Dies에서), 아메리카 스페인語 Manzana de Adan(英語 Adam’s Apple에서)

新造語: 外國語 낱말의 意味에 觸發되어 만들어졌으나, 構造上 直接 關係는 없는 낱말 (자국어 낱말로 바꾸고자 하는 欲求에서 發生) [5]

  • 英語 Brandy(프랑스語 Cognac에서), 韓國語 단무지(日本語 たくあん에서)

뜻 借用: 이미 있는 낱말에 借用語의 影響으로 元來 없던 意味가 새로 들어오는 것.

  • 古代 英語의 Heofon(라틴語 Caelum에서 元來 物理的 意味의 "하늘"이란 뜻밖에 없었으나, 라틴語 (및 基督敎)의 影響으로 基督敎의 天國 을 뜻하는 意味가 생김)
  • 韓國語의 하나님(改新敎에서 聖經을 飜譯하면서 英語 God의 大文字 表記에 內包된 ‘ 基督敎 의 唯一神’이라는 뜻을 强調하기 위하여, 本來 ‘하늘’과 關聯이 있는 말인 下ㄴㆍ님을 ‘하나님’으로 쓰기 始作하였다.)
  • 日本語의 君(きみ) (日本語 "기미"에는 元來 임금의 뜻밖에 없었으나, 中國語에서 君이 2人稱 代名詞로 쓰이는 用法이 들어와 오늘날 2人稱 代名詞로 쓰이고 있다)

文字가 서로 다른 言語에서 外來語를 借用할 때는 外國 文字를 그대로 露出하여 쓰는 일이 드물고, 大部分 자국어의 文字로 表記한다. 그러나 로마字로 된 두子魚를 借用할 때는 로마字를 露出하는 일이 흔하다. cf) 韓國語 버스(英語 Bus에서), 英語 kimchi(韓國語 김치 에서), UN , KAIST , ZDF

反面 로마字나 키릴 文字 따위의 表音的인 알파벳을 쓰는 言語 사이에는 스펠링의 差異가 꽤 重要한 問題가 되는데, 이것은 原語 그대로 (또는 가깝게) 쓰는가 아니면 自己 言語의 소리 體系에 맞게 變形하게 받아들이는가가 사람들의 外來語에 對한 異質感 程度에 影響을 미치기 때문이다. 웨일즈어 는 外來語를 自己 式으로 바꿔서 受容하는데 徹底하며 gem(英語 game에서), cwl(英語 cool에서), ded-gifawe(英語 dead giveaway에서) 沮止어 의 境遇엔 아예 自己 言語의 音韻 規則을 適用시켜 發音과 綴字를 모두 바꾼다. (沮止語의 partchi(英語 park의 借用語)는 沮止人들이 ki의 發音에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ki를 tchi로 바꾼 것이다) 베트남語에서도 유럽 言語의 外來語를 原語 그대로 쓰는가 베트남化하는가의 問題가 있다.

비슷한 例로 漢字 文化圈 에서는 漢字語 에 對해 漢字語를 자국어 音으로 읽는 境遇와 原語 音으로 읽는 境遇, 그리고 兩쪽을 두루 쓰는 境遇가 있다. 자국어 音으로 읽는 境遇는 音이 친숙하여 拒否感이 덜하면서 單語受容이 쉬운 長點이 있고, 原語 陰일 境遇에는 外國語로서 異質感을 남기면서 自國語 音으로 읽는 境遇와 견주어 意味 差異를 나타낼 수 있다. 兩쪽을 두루 쓰는 境遇, 자국어 音으로 읽는 部分은 意味 傳達을 뚜렷하게 하기 위한 境遇가 大部分이다.

  • 韓國語, 中國語의 警察(日本語 警察에서)
  • 韓國語 쇼군 (日本語 ?軍에서)
  • 韓國語 도쿄驛 (앞 部分은 直接 車用, 뒷部分은 자국어 音으로 읽음)

接辭와 慣用句의 車用 [ 編輯 ]

借用語는 낱말만 들어오지 않고, 接尾辭 , 接頭辭 等 形態素도 들어와 쓰인다. 特히 들어온 지 오래되거나 大量으로 들어와 影響이 큰 借用語의 境遇는 固有語처럼 活潑히 쓰인다. [5]

  • 英語 接尾辭 -tic > 日本語 接尾辭 的(てき, 데키) > 韓國語 接尾辭 敵(的)

英語 接尾辭 -tic은 主로 口語體에서 直接 借用되어 쓰이기도 한다. 例를 들어, ‘幼兒 하다’와 같이 쓰인다.

慣用句도 借用된다.

  • 뜨거운 감자 (英語 ‘Hot Potato’에서)
  • 새빨간 거짓말 (日本語 ‘?っ赤な?’에서)

借用에 따른 소리와 뜻의 바뀜 [ 編輯 ]

모든 外來語는 낱말을 빌려 주는 言語와 빌려 가는 言語 사이의 音韻的 差異에 따라 發音의 變化를 同伴하며, 아울러 種種 뜻도 함께 變化한다. 또, 借用을 하는 言語에 뜻이 비슷한 낱말이 이미 있는 境遇에는 言語의 位相差에 따라 낱말의 意味 領域이 擴大 또는 縮小되거나 單語의 뉘앙스에 變動이 생긴다. [5]

例를 들어 비슷한 意味 領域을 갖고 있는 單語들인 野菜, 菜蔬, 남새, 푸성귀 等은 各其 다른 소리의 낱말이 같은 뜻이 되는 걸 사람들이 自然스레 避하게 되어 自然스레 어느 한쪽이 萎縮되거나(남새, 푸성귀) 微細한 意味 分化(野菜, 菜蔬)를 겪는다. 이러한 變化가 持續되면 旣存 낱말은 死語가 되거나, 특수한 用法으로 줄어들고, 새 말이 元來 낱말의 意味를 차지하게 된다.

英語에 들어온 프랑스語 單語는 프랑스語에서는 日常的으로 쓰이는 말이나, 英語에 들어오면서 비슷한 뜻의 旣存 單語(게르만어 系統)보다 位相이 높아져 氣品 있는 語感을 갖게 되었다. 漢字 文化圈 言語에서 漢字語가 차지하는 比重도 비슷하다. [5] 反面, 元來 言語에서는 높이는 말이었던 것이 다른 言語로 들어오면서 格이 낮아진 例도 많다.

  • 韓國語 ‘마담’(프랑스語 Madame은 남의 夫人을 높이는 鄭重한 말이었지만, 韓國語로 들어와 술집 女主人을 가리키는 意味가 됨)

發音 變化가 두드러지는 言語로 日本語가 있으며, 日本語로 들어온 外來語는 發音 變化뿐 아니라 省略도 자주 겪는다.

  • Sexual Harassment → セクハラ ( Sekuhara ), Car Navigation System → カ?ナビ ( K?nabi )

때로 豫測할 수 없는 形態로 單語 意味가 形成되기도 하는데, 日本語로 뷔페를 가리키는 "バイキング (바이킹)"이란 낱말은 日本에서 처음 생긴 뷔페式 食堂의 이름이 "Imperial Viking"이었던 데서 由來하여 以後에 뷔페式 食堂을 가리키는 一般名詞처럼 쓰인다.

外來語는 音韻 變化뿐 아니라 借用한 言語의 文法 規則에 따름으로써 外來語 資格을 얻게 된다. 英語의 "Self"는 單獨으로 쓰일 수 없는 依存 形態素이나, 韓國語에 들어온 ‘셀프’는 "스스로 ~하다"란 意味의 自立 形態素이며, 音節이 나뉘어 " 카"와 같은 派生語도 生成한다.

直接 語源과 原初 어원 [ 編輯 ]

B 言語가 A 言語에서 a라는 낱말을 借用한 b라는 낱말을 C 言語가 다시 借用하여 c가 되었을 때, c의 直接 語源은 b이나, 原初 語源은 A 言語의 a가 된다. 낱말뿐 아니라 形態素 單位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런 事例는 B 言語가 A 言語로부터 大量의 낱말과 形態素를 借用하여 뗄 수 없는 要素가 되어 버렸을 때 일어난다. B 言語의 모델로 韓國語, 日本語, 베트남語(李 境遇 A 言語는 中國語)가 있으며, 터키語, 페르시아語(아랍語), 英語(라틴語, 프랑스語),투바어(몽골어,러시아어),스페인어(아랍어)가 있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標準國語大辭典, "外來語" 項目
  2. 日本의 境遇, 日常에서는 外來語, 言語學 에서는 借用語로 일컫는 것이 一般的이라 한다. 日本語版 위키百科 에서
  3. 英語版 위키百科의 Loanword의 書頭에서
  4. Online Etymology Dictionary
  5. 韓國日報 - 2006年 6月 27日 記事 - " 우리말 안의 그들 말 " Archived 2011年 12月 2日 - 웨이백 머신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