全體論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全體論 (holism)은 한 機關 (生物, 化學, 社會, 經濟, 精神, 言語 等)이 그것의 構成 要素들을 통해 說明될 수 없다고 하는 史上 이다. 卽, 部分이 機關 全體의 動作을 決定하는 것이 아니라 機關 全體가 部分의 動作을 決定한다는 생각으로서, 還元主義 에 對比되는 槪念이다.

現代的인 全體論은 存在의 本來 모든 聯關性을 前提로 하는 立場이라는 意味로, 科學 및 社會 科學에서 使用된다. 近代 科學은 自然 現象을 最大限 部分으로 나누어 分析하고 法則 等을 끌어내고 거기서 世界를 再構成하는 方式을 取해 왔다. 따라서 全體論은 그러한 傳統的 科學 技術에 反하는 立場이라 할 수 있다. 社會學에서도 全體論의 影響을 받아, 社會는 個人의 集合이 아니라 社會 自體에 事故 方式이 있고 社會가 個人을 規定하는 側面이 많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登場하기도 했다. 이에 對해 칼 포퍼 는 그러한 思考 方式(社會學 分野에서는 마르크스주의 全體論을 批判하는 脈絡으로 使用하고 있기 때문에, 本來의 意味와는 다르다.)이 社會學에 流入되면 國家 權力을 增大시키는 論理로 作用하거나 全體主義 (Totalitarianism)와 같게 된다는 것을 指摘한 바 있다. 生物學科 生理學에서는 種種 生氣論 과 連結되어 왔다. 한스 道理쉬 (Hans Adolf Eduard Driesch)의 새로운 生氣論도 全體論의 影響을 받은 代表的인 思想이다. 그러나 이것은 生命 現象은 物理와 化學 法則만으로는 說明할 수 없는 獨特한 原理가 있다는 立場으로서, 많은 學者로부터 批判을 받고 있다. 人間의 精神은 部分이나 成分의 集合이 아니라 全體成果 構造가 重要視되어야 한다는 게슈탈트 心理學 도, 全體論의 影響을 받은 것으로 現象學에서 還元主義에 反하는 立場을 가지고 있다.

같이 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