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아시아語族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아프로아시아語族 에서 넘어옴)

아프리카아시아語族
地理的 分布 北아프리카 , 西아시아 , 아프리카의 뿔 , 사헬 , 몰타
系統的 分類 主要 語族 中 하나로 다른 主要 語族과의 關係가 明確히 알려진 바 없음.
下位 分類
글로톨路그 afro1255 [1]
아프리카아시아語族의 地理的 分布.
아프리카아시아語族 言語의 使用 地域(노란色)

아프리카아시아語族 또는 아프로아시아語族 ( 英語 : Afroasiatic languages )은 約 300個의 言語가 所屬된 巨大한 魚族 이다. [2] 推定値는 學者마다 다르지만, 一般的으로 12,000年에서 18,000年 前에는 하나의 言語였을 것으로 學者들은 생각한다. 世界에서 가장 記錄된 歷史가 오래되고 잘 確立된 語族으로서, 이 語族에 包含되는 言語들은 西아시아 北아프리카 , 아프리카의 뿔 에서 優勢하게 使用되며 사헬 의 一部 地域에서도 使用된다. 1950年 조지프 그린버그 에 依해 처음 定立된 分類로서, 옛날에는 셈族 함族 이라는 民族 分類에 따라 함셈어족 ( 英語 : Hamito-Semitic ) [3] 或은 셈함語族 ( 英語 : Semito-Hamitic ) [4] 이라고도 불렸다.

오늘날 아프리카아시아語族은 5億 名 以上의 모어 話者를 가졌고, 인도유럽어족 中國티베트語族 , 니제르콩고語族 에 이어) 모든 語族 中 4番째로 큰 魚族이다. [5] 이 語族은 베르베르語派 , 차드語派 , 쿠시語派 , 이집트語派 , 오모語派 , 셈語派 라는 여섯 語派로 나뉜다. 아프리카아시아語族에서 가장 널리 使用되는 言語 或은 方言連續體는 斷然 아랍語 이다. 아랍語는 셈語派에서 事實上 區分되는 言語 變異形들 의 集合으로서, 約 3億 1,300萬 名의 모어 話者를 가졌으며, 主로 西아시아와 北아프리카에 集中되어 있다. [6]

아프리카아시아語族에는 現在 使用되는 言語 以外에도 여러 重要한 古代 言語가 屬한다. 古代 이집트語 셈語派 에 屬하는 아카드語 , 聖書 히브리어 , 古代 아람어 와 같은 言語들이다. 아프리카아시아語族의 元香 및 最初의 共通 祖上 言語( 아프리카아시아造語 )가 使用된 時期에 對해서는 아직 歷史言語學界 의 合意가 이뤄지지 않았다. 現在까지 元香으로 提案된 地域에는 北아프리카와 아프리카의 뿔, 사하라 東部, 레반트 地域이 있다.

分類 [ 編輯 ]

아프리카아시아語族 語派 사이의 系統關係 (Lipi?ski 2001)
아프리카아시아語族의 分類에 對한 여러 學說의 比較

一般的으로 아프리카아시아語族은 다음과 같이 分類한다.

6個의 語派가 있다는 것에는 一般的으로 合意가 되어 있으나, 아프리카아시아語族을 硏究하는 言語學者 들은 몇 가지 事項에서 合意하지 못하고 있다. 그 內容은 다음과 같다.

  • 오모語派 는 아프리카아시아語族에서 가장 論爭的인 一員인데, 大部分의 言語學者가 아프리카아시아語族 言語를 分類하는 데 있어 가장 重要視하는 文法 形態素가 "不在하거나 確然히 不安定"하기 때문이다(Hayward 1995). Greenberg(1963)와 다른 學者들은 오모語派를 아프리카아시아語族의 一部로 看做하는 한便, 다른 學者들은 아프리카아시아語族에 包含되긴 하는지 疑心하고 있다(예: Theil 2006) [7] .
  • 翁姑他語 의 正體性과 位置도 널리 疑問視된다. 翁姑他語의 "混合된" 모습과 硏究 및 資料의 不足函 때문이다. 해럴드 플레밍 (Harold C. Fleming, 2006)은 翁姑他語가 아프리카아시아語族에서 獨自的인 分類를 構成한다고 提案했다. [8] Bonny Sands(2009)는 Sava & Tosco(2003)의 提案이 가장 說得力 있다고 말한다. 卽, 翁姑他語는 桐쿠시語派이며 나일사하라語族 基層 言語 와 混合되었다는 것이다. 다른 말로 翁姑他人들은 한때 나일사하라 言語를 驅使했으나 쿠시語派의 言語로 言語를 바꾸었고 그 때문에 以前에 使用하던 나일사하라 言語의 特徵을 간직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7]
  • 베자語派 는 種種 아프리카아시아語族의 獨立된 語派로 提示되지만 더 一般的으로는 쿠시語波로 分類되며, 內部的으로 높은 多樣性을 지닌다.
  • 쿠시語派의 다양한 分派가 實際로 하나의 分期君을 形成하는지 種種 疑問視된다. 그러나 아프리카아시아語族에 包含된다는 것은 疑心받지 않는다.
  • 오모語派를 除外한 아프리카아시아語族의 다섯 語派의 相互關係에 對해서도 合意가 存在하지 않는다. 이런 狀況은 드문 일이 아니며, 다른 잘 確立된 語族에서도 일어난다. 例를 들어 學者들은 인도유럽어족 의 內的 分類에 對해서도 자주 다른 意見을 보인다.
  • 메로에어 는 아프리카아시아語族의 未分類된 言語로 提案되었다(Bruce Trigger, 1964, [9] 1977 [10] ). 語族의 다른 言語와 音素配列론 敵 特徵을 共有하지만, 分類를 確證할 充分한 證據가 없기 때문이다(Fritz Hintze, 1974, [11] 1979 [12] ).

人口 [ 編輯 ]

아랍語가 아프리카아시아語族에서 가장 널리 使用되는 言語이며 3億名이 넘는 모어 話者를 가지고 있다. 아프리카아시아語族 言語 中 널리 使用되는 다른 言語들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起源 時期 [ 編輯 ]

古代 아람어의 後孫인 셈語派 신아람어 의 陰性 샘플

아프리카아시아語族의 가장 오래된 記錄 證據는 古代 이집트語 鼻紋이며 紀元前 3,400年(5400年 前)의 것으로 推定된다. [25] 이집트 神聖文字 를 닮은 게르第 (나카다 II) 토기의 象徵은 大略 紀元前 4000年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더 以前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도 있음을 暗示한다. 따라서 아프리카아시아語族의 起源 時期는 적어도 이보다는 오래되어야 한다. 하지만 古代 이집트語는 아프리카아시아造語 와 매우 다르며(Trombetti 1905: 1?2), 두 言語 사이에는 相當한 時間이 經過했어야 한다. 아프리카아시아祖語가 使用된 連帶의 推定値는 學者마다 크게 다르다. 起源 時期의 推定値는 紀元前 7,500年頃 (9,500年 前)에서 紀元前 16,000年頃(18,000年 前) 사이에 該當한다. 이고르 디야코老프 (Diakonoff, 1988: 33n)에 따르면, 아프리카아시아造語는 紀元前 10,000年頃에 使用됐다. Christipher Ehret(2002: 35?36)은 아프리카아시아祖語가 늦어도 11,000年頃, 어쩌면 가장 이르게는 紀元前 16,000年頃에 使用되었다고 主張한다. 이 連帶는 다른 造語 들에 附與된 起源 時期들보다 이르다.

起源地와 擴散 [ 編輯 ]

過去에는 아프리카아시아語族의 起源地를 오리엔트 에서 찾는 視角도 있었지만, 現在는 北東쪽 아프리카의 수단 에티오피아 附近이라는 것이 定說로 되어 있다. 아프리카아시아語族의 擴散과 關聯하는 遺傳子로서 Y染色體 下플로 그룹 E1b1b 系統을 들 수 있다 [26] . E1b1b는 北東 아프리카에서 發想되었으며, 이러한 言語 系統樹, Y染色體 系統樹 모두 아프리카아시아語族의 아프리카 祈願을 나타내고 있다.

文法的 類似性 [ 編輯 ]

여러 아프리카아시아語族 言語의 凍死 패러다임:
言語 → 아랍語 카빌어 소말리語 베자어 하우사語
凍死 → katab afeg naw
意味 → 쓰다 날다 오다 失敗하다 마시다
singular 1 ?aktubu ttafge? imaadaa anaw ina shan
2f taktub?na tettafge? timaadaa tinawi kina shan
2m taktubu tinawa kana shan
3f tettafeg tinaw tana shan
3m yaktubu yettafeg yimaadaa inaw yana shan
dual 2 taktub?ni
3f
3m yaktub?ni
plural 1 naktubu nettafeg nimaadnaa ninaw muna shan
2m taktub?na tettafgem timaadaan tinawna kuna shan
2f taktubna tettafgemt
3m yaktub?na ttafgen yimaadaan inawna suna shan
3f yaktubna ttafgent

아프리카아시아語族 言語가 廣範圍하게 共有하는(그러나 모두가 共有하는 것은 아닌) 特徵은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 强調子音 의 存在. 言語에 따라 城門陰畫된 子音이나 喉頭音化된 子音, 放出音 等으로 다양하게 實現된다.
  • VSO型 言語類型論 을 基本으로 SVO型 의 傾向.
  • 斷水型에서 두 을 갖는 體系. 女性은 /t/로 標示.
  • 모든 아프리카아시아語族의 下位 語派는 使動 接辭 s 의 證據를 가짐.
  • 셈語와 베르베르語, 쿠시語派(베자어 包含) 차드語派는 所有格 接辭 를 갖고 있음.
  • 니스바 派生이 -j (電氣 이집트語) 또는 -? (셈어)로 實現됨 [27]
  • 語根 內部의 變異(母音의 變化 및 子音 重複)와 接頭辭, 接尾辭를 모두 利用하여 單語가 屈折하는 形態論 .

아프리카아시아語族 言語 사이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共有되는 特徵 한 가지는 接尾辭를 利用하는 動詞 活用으로(이 段落 첫部分의 票를 參考), /? t n y/로 始作하는 接尾辭들의 獨特한 패턴을 가지며, 特히 3人稱 斷水 男性의 /y-/가 3人稱 斷水 女性과 2人稱 單數의 /t-/와 對立하는 패턴을 가진다.

Ehret(1996)에 따르면, 오모語派와 차드語派 및 特定 쿠시語派에서 聲調 言語 들이 나타난다. 셈語派와 베르베르語派, 이집트語派에서는 一般的으로 聲調를 音素 敵으로 使用하지 않는다.

共有하는 語彙 [ 編輯 ]

실下語 ( 베르베르語派 )의 陰性 샘플
소말리語 ( 쿠시語派 )의 陰性 샘플
아랍語 ( 셈語派 )의 陰性 샘플

다음은 아프리카아시아語族 同系語 의 몇 가지 例示로, 열 가지 代名詞 와 3 個의 名士 , 3個의 凍死 를 包含한다.

出處: Christopher Ehret, Reconstructing Proto-Afroasiatic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5).
注意事項: Ehret는 그의 語源에서 베르베르語를 利用하지 않았으며, 다음과 같이 陳述했다(1995: 12). "베르베르造語 語彙의 廣範圍한 재구는 對案的으로 可能한 語源을 整理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아직 利用 可能하지 않다." 이곳에 있는 베르베르語 同系語는 英語 위키百科 文書의 옛 버전에서 가져온 것이며, 追後 빈 자리를 채우고 出處를 달 必要가 있다.
記號 目錄: Ehret(1995: 70)을 따라, 모음 위의 反對 曲折 은 ˇ上昇 聲調 를 나타내며, 모음 위의 曲折 ^는 下降 聲調를 나타낸다. V는 알려지지 않은 屬性의 母音 을 나타내며. ?는 城門破裂音 을 나타낸다. *는 關聯 言語들 사이의 比較 를 통해 재구된 形態를 나타낸다.
아프리카아시아造語 오모語派 쿠시語派 차드語派 이집트語派 셈語派 베르베르語派
*?an- / *?in- 또는 *an- / *in- ‘내가’ (獨立 代名詞) * in- ‘내가’ ( Maji ( 북오모어群 )) *?ani ‘내가’ *nV ‘I’ ink , * ??nak '내가' *?n ‘내가’ nek / nec ‘내가, 나를’
*i 또는 *yi ‘나를, 나의’ ( 依存 ) i ‘내가, 나를 , 나의’ ( 아리어 ( 남오모魚群 )) *i 또는 *yi ‘나의’ *i ‘나를, 나의’ ( 依存 ) -i , * -a? (1人稱 斷水 接尾辭) *-i ‘나를, 나의’ inu / nnu / iw ‘my’
*??nn- / *??nn- 또는 *?nn- / *?nn- ‘우리’ *nona / *nuna / *nina (북오모어群) *??nn- / *??nn- ‘우리’ ? inn , * ??nan ‘우리’ *?nn ‘우리’ nekni / necnin / neccin ‘우리’
*?ant- / *?int- 또는 *ant- / *int- ‘너’ *int- ‘너’ *?ant- ‘너’ ? nt- , * ??nt- ‘너’ *?nt ‘너’ netta "그" ( keyy / cek "너"(男性) )
*ku , *ka ‘너’ (男性 斷水, 依存 ) ? *ku ‘너의’ (男性 斷水) ( PSC ) *ka , *ku (男性 斷水) -k (2人稱 男性 斷水) -ka (2人稱 男性 斷水 接尾辭) ( 아랍語 ) inek / nnek / -k "너의" (男性 斷水)
*ki ‘너’ (女性 斷水, 依存 ) ? *ki ‘너의’ (女性 斷水) *ki ‘너’ (女性 斷水) -? (女性 斷水 接尾辭, < * ki ) -ki (2人稱 斷水 女性 接尾辭. ) (아랍語) -m / nnem / inem "너의" (女性 斷水)
*k?na ‘너희’ ( 依存 ) ? *kuna ‘너희의’ (PSC) *kun ‘너희’ -?n , * -?in ‘너희’ *-kn ‘너희, 너희의’(여성 復讐) -kent , kennint "너희" (女性 復讐)
*si , *isi ‘그, 그女, 그것’ *is- ‘그가’ *?usu ‘그가’, *?isi ‘그女가’ *sV ‘그가’ sw , * suw ‘그가, 그를’, sy , * si? ‘그女가, 그女를’ *-?? ‘그가’, *-s? ‘그女가’ ( MSA ) -s / nnes / ines "그의/그녀의/그것의"
*ma , *mi ‘무엇?’ *ma- ‘무엇?’ (NOm) *ma , *mi (疑問死 語根) *mi , *ma ‘무엇?’ m ‘무엇?’, ‘누구?’ m? (아랍語, 히브리어) / mu? (아시리아語) ‘무엇?’ ma? / mayen? / min? "무엇?"
*wa , *wi ‘무엇?’ *w- ‘무엇?’ *wa / *w? ‘무엇?’ ( 아가우어 ) *wa ‘누구?’ wy ‘어떻게...!’ mamek? / mamec? / amek? "어떻게?
*dim- / *dam- ‘피’ *dam- ‘피’ ( 空家어 ) *dim- / *dam- ‘red’ *d-m- ‘피’ ( 鉏차드魚群 ) i-dm-i ‘붉은 리넨’ *dm / d?ma (아시리아語) / dom (히브리어) ‘피’ idammen "피"
*its ‘兄弟’ *itsim- ‘兄弟’ *itsan or *isan ‘兄弟’ *sin ‘兄弟’ sn , * san ‘兄弟’ a? (Hebrew) "兄弟" uma / g?ma "兄弟"
*s?m / *s?m- ‘이름’ *sum ( ts ) - ‘이름’ (북오모어群) *s?m / *s?m- ‘이름’ *??m ‘이름’ smi ‘報告하다 ,알리다’ *ism (아랍語) / sh?ma (아시리아語) ‘이름’ isen / isem "이름"
*-lis?- ‘핥다’ lits?- ‘핥다’ ( 디메어 (남오모魚群)) ? *al?si ‘혀’ ns , * n?s ‘혀’ *lsn ‘혀’ iles "혀"
*-maaw- ‘죽다’ ? *-umaaw- / *-am-w ( t ) - ‘죽다’ ( 소말리造語 , 2段階) *m?t? ‘죽다’ mwt ‘죽다’ *mwt / mawta (아시리아語) ‘죽다’ mmet "죽다"
*-b?n- ‘짓다, 만들다; 집’ bin- ‘짓다, 만들다’ (디메어 (남오모魚群)) *m?n- / *m?n- ‘집’; man- ‘만들다’ ( 베자어 ) *bn ‘짓다’; *b?n- ‘집’ ? *bnn / bani (아시리아語) / bana (히브리어) ‘짓다’ *bn (?) ( esk "짓다")


아프리카아시아造語 形態 意味 베르베르語派 차드語派 쿠시語派 이집트語派 오모語派 셈語派
1 *?ab 아버지 ? ? ? ?
2 (?a-)bVr ? ? ? ?
3 (?a-)dVm 붉다, 피 ? ? ? ? ?
4 *(?a-)dVm 땅, 들, 흙 ? ?
5 ?a-pay- ? ? ?
6 ?igar/ *??ar- 집, 울타리 ? ? ? ? ?
7 *?il- ? ? ? ?
8 (?i-)sim- 이름 ? ? ? ?
9 *?ayn- ? ?
10 *ba?- 가다 ? ? ?
11 *bar- 아들 ? ? ?
12 *gamm- 갈기, 턱鬚髥 ? ? ?
13 *gVn 볼, 턱 ? ?
14 *g?ar?- 목구멍 ? ? ?
15 *g?ina?- ? ?
16 *kVn- 男便의 다른 아내 ? ? ?
17 *k?aly 콩팥 ? ? ? ?
18 *?a(wa)l-/ *q?ar- 말하다, 부르다 ? ?
19 *?as- ? ? ?
20 *libb 心臟 ? ? ?
21 *lis- ? ? ?
22 *ma?- ? ? ? ?
23 *mawVt- 죽다 ? ? ? ?
24 *sin- 이, 이빨 ? ? ?
25 *siwan- 알다 ? ? ?
26 *inn- 나, 우리 ? ? ? ?
27 *-k- ? ? ? ?
28 *zwr 씨앗 ? ?
29 *?Vr 뿌리 ? ?
30 *?un 자다, 꿈꾸다 ? ?

어원 書籍 [ 編輯 ]

주요한 아프리카아시아語族 語源 辭典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Cohen, Marcel. 1947. Essai comparatif sur le vocabulaire et la phonetique du chamito-semitique. Paris: Champion.
  • Diakonoff, Igor M. et al. 1993?1997. "Historical-comparative vocabulary of Afrasian", St. Petersburg Journal of African Studies 2?6.
  • Ehret, Christopher. 1995. Reconstructing Proto-Afroasiatic (Proto-Afrasian): Vowels, Tone, Consonants, and Vocabulary (= University of California Publications in Linguistics 126). Berkeley and Los Angel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Orel, Vladimir E. and Olga V. Stolbova. 1995. Hamito-Semitic Etymological Dictionary: Materials for a Reconstruction. Leiden: Brill. ISBN   90-04-10051-2 .

各州 [ 編輯 ]

  1. Hammarstro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編輯. (2023). 〈Afro-Asiatic〉 . 《 Glottolog 4.8 》.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2. “Browse by Language Family” . 《ethnologue.com》 . 2018年 4月 14日에 確認함 .  
  3. Katzner, Kenneth (2002). 《The Languages of the World》 . Routledge. 27쪽. ISBN   978-1134532889 . 2017年 12月 20日에 確認함 .  
  4. Robert Hetzron, "Afroasiatic Languages" in Bernard Comrie, The World's Major Languages , 2009, ISBN   113426156X , p. 545
  5. “Summary by language family” . 《ethnologue.com》. Ethnologue . 2018年 4月 14日에 確認함 .  
  6. “Arabic” . 《ethnologue.com》. Ethnologue . 2018年 4月 14日에 確認함 .  
  7. Sands, Bonny (2009). “Africa's Linguistic Diversity”. 《Language and Linguistics Compass》 3 (2): 559?580. doi : 10.1111/j.1749-818x.2008.00124.x .  
  8. “Harrassowitz Verlag - The Harrassowitz Publishing House” . 《harrassowitz-verlag.de》. 29 June 2017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14 April 2018에 確認함 .  
  9. Trigger, Bruce G., ‘Meroitic and Eastern Sudanic: A Linguistic Relationship?’ , Kush 12, 1964, 188-194.
  10. Trigger, Bruce, G., ‘The Classification of Meroitic: Geographical Considerations’ , Schriften zur Geschichte und Kultur des Alten Orients 13, 1977, 421-435.
  11. Hintze, Fritz, ‘Some Problems of Meroitic Philology’ , Abdel Gadir Mahmoud Abdalla (ed.), Studies of the Ancient Languages of the Sudan, Sudanese Studies 3, Khartoum University Press, Khartoum, 1974, 73-78.
  12. Hintze, Fritz ‘Beitrage zur meroitische Grammatik.’ Meroitica 3, Berlin, 1979, 1-214.
  13. “Hausa” . 《ethnologue.com》 . 2018年 4月 14日에 確認함 .  
  14. “Amharic” . 《Ethnologue》 (英語) . 2018年 8月 16日에 確認함 .  
  15. “Somali” . 《Ethnologue》 (英語) . 2018年 8月 16日에 確認함 .  
  16. “Afar” . 《Ethnologue》 (英語) . 2018年 8月 16日에 確認함 .  
  17. “Tachelhit” . 《Ethnologue》 (英語) . 2018年 8月 16日에 確認함 .  
  18. “Tigrigna” . 《Ethnologue》 (英語) . 2018年 8月 16日에 確認함 .  
  19. “Kabyle” . 《Ethnologue》 (英語) . 2018年 8月 16日에 確認함 .  
  20. Dekel, Nurit (2014). 《Colloquial Israeli Hebrew: A Corpus-based Survey》 . De Gruyter. ISBN   978-3-11-037725-5 .  
  21. “Tamazight, Central Atlas” . Ethnologue . 2017年 10月 18日에 確認함 .  
  22. “Tarifit” . 《Ethnologue》 (英語) . 2018年 8月 16日에 確認함 .  
  23. “one Gurage language” . 《Ethnologue》 (英語) . 2018年 9月 28日에 確認함 .  
  24. “Assyrian Neo-Aramaic” . 《Ethnologue》 (英語) . 2019年 6月 19日에 確認함 .  
  25. “Earliest Egyptian Glyphs - Archaeology Magazine Archive” . 《www.archaeology.org》 . 2018年 4月 14日에 確認함 .  
  26. Ehret, Christopher ; Shomarka Keita (2004). “The Origins of Afroasiatic” . 《Science》 306 (5702): 1680; author reply 1680. doi : 10.1126/science.306.5702.1680c . PMID   15576591 .  
  27. Carsten Peust, "On the subgrouping of Afroasiatic" Archived 2016年 9月 9日 - 웨이백 머신 , LingAeg 20 (2012), 221-251 (p. 243).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