綏化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Preservation of the Sign Language (1913)

綏化 (手話) 또는 손말 소리 가 아닌 손짓을 利用해서 뜻을 傳達하는 言語 이다. 手話言語 (手話言語), 줄여서 手語 (手語)라고도 한다. 農人 이 主로 使用한다.

音聲 言語 와 마찬가지로 手話言語度 地域마다 差異가 있으며, 서로 같은 音聲 言語를 쓰는 나라들이 서로 다른 手話言語를 쓰는 境遇도 있다. 그렇지만 서로 差異가 큰 音聲 言語를 쓰는 나라 사이에서 서로 비슷한 手話言語가 使用되는 境遇도 있으며 音聲 言語 사이의 共通點보다는 手話言語 사이의 共通點을 찾기 쉽다.

音聲 言語의 意味는 音素를 통해 表現되며 音素마다 調音點 , 調音 方法 等의 資質이 있는 것처럼, 手話言語의 意味는 動作을 통해 表現되며 動作마다 손의 模樣, 손바닥의 方向, 손의 位置, 손의 움직임, 얼굴 表情 等의 資質의 組合을 볼 수 있다. 手話言語로 된 單語가 없는 單語는 指文字 로 表現한다. 數字는 지數字 로 表現한다.

音聲 言語를 배우며 자라는 아기가 옹알이를 통해 發音 練習을 하는 것처럼, 手話言語를 보고 자라는 아기는 손짓으로 手話言語 練習을 한다. 音聲言語의 옹알이보다 手話言語의 손짓이 더 일찍 觀察된다. 이와 같이 手話言語度 音聲 言語와 비슷한 點이 많다.

槪念과 用語 [ 編輯 ]

數語를 제스처 와 混同하기도 하나, 手語는 獨立的인 體系를 지닌 言語이다. 제스처와 無言劇 은 손짓과 몸짓으로 메시지를 表現하고 表情이나 머리의 움직임으로 情緖를 表現하는 反面, 手語는 손의 움직임, 表情, 視線, 입의 模樣, 머리의 움직임 等이 함께 메시지를 表現한다. [1] 켄든의 連續體( Kendon’s continuum ) 理論에 따르면 제스처, 팬터마임 , 엠블럼 , 手語는 하나의 連續體를 構成하는데, 右側으로 갈수록 音聲 言語가 不在하고, 言語的 特性이 存在하며, 動作이 分節的이고 分析的이다. [2] 數漁家 言語임을 드러내는 有名한 事例는 니카라과 手語 인데, 이것은 니카라과 의 農人들이 家庭 안에서 家庭 手語( home sign )를 創案하여 使用하다가 1980年에 니카라과 最初의 농학교가 設立되자 學校 안에서 相互作用을 통하여 各自의 家庭 數語를 混合하면서 創造한 새로운 手語 體系이다. [3]

한便, 韓國語의 ‘수어’와 ‘手話’라는 用語에 對해서는 相反된 視角이 共存한다. ‘수어’는 ‘言語’의 槪念에서 描寫된 用語인데, 數漁家 單純한 제스처가 아니라 音聲 言語와 區別되는 統辭論 ·構文論的 特徵을 지닌 言語라는 點, 言語는 言語 使用者의 文化를 담고 있다는 觀點에서 農人들의 農文化 를 담을 수 있는 것은 言語的 觀點의 用語라는 點, ‘手話’는 ‘ 구화 ’(口話)에 對比되는 單語인데 現在 ‘구화’ 代身 ‘口語’라는 用語를 使用한다는 點 等에서 ‘수어’가 支持된다. [4] ‘手話’는 ‘말’의 槪念에서 描寫된 用語인데, ‘말’은 音聲 言語의 境遇 音聲으로 表出된 것만, 守禦의 境遇 눈으로 知覺되는 것만 捕捉할 수 있다는 點, ‘手話’가 農事會에서 對話的인 槪念으로 쓰이고 있다는 點 等에서 言語로서의 特性을 잘 담아내지 못한다는 分析이 提起되었다. [5] 反面 ‘手話’라는 用語가 最初로 登場한 것이 日本의 1935年보다 韓國의 1928年으로 더 앞선다는 點, ‘手話’라는 用語로 70餘 年 동안 聾敎育 이 進行되었다는 點, 韓國 社會에서 守禦의 槪念이 ‘手話’라는 用語로 오랫동안 一般化되었다는 點 等에서 ‘手話’를 支持하기도 한다. [6] 이 때문에 中立的인 用語로서 ‘手話言語’가 登場하기도 하였다. [7]

歷史 [ 編輯 ]

手語는 그 起源을 正確히 說明할 수 없지만, 農人들이 모여 살아 弄社會를 構成하면서 그 안에서의 意思疏通 手段으로 자연스럽게 만들어지고 使用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8] 手語는 농학교가 設立되면서 集團的이고 組織的으로 活用되기 始作하였는데, 1760年 프랑스 파리 에서 世界 最初의 농학교를 設立한 레페( 프랑스語 : Abbe Charles de l’Epee )는 自然的으로 發生한 프랑스 手語 프랑스語 와 對應하는 體系를 考案하였다. [9] 또 當時 유럽의 各 地域에서는 自然 發生한 스페인 手語 , 英國 手語 等이 쓰이고 있었다. [10] 美國 에서는 家庭 內에서 만들어진 家庭 手語와 함께 유럽의 各 植民地에서 移住한 農人들에 依하여 스페인 手語, 英國 手語 等이 混用되었다. [11] 1817年, 예일 大學校 를 卒業한 갤러뎃( Thomas Hopkins Gallaudet )이 聾啞院(現 美國國立농학교)을 設立하고 프랑스 手語로 敎授하기 始作하면서 現在 美國 守禦의 60%假量은 프랑스 手語와 類似하게 되었다. [12]

聾敎育 方法으로 口話法(歐化主義)과 手話法(水禾紬의)이 存在한다. 本來 手話法이 口話法보다 優勢하게 使用되다가, 1880年 밀라노 에서 열린 國際農敎育者會議에서 弄兒童을 위하여 口話法이 더욱 좋다는 結論을 내리면서, 한동안 手語는 以前만큼의 地位를 차지하지 못하였다. [13] 그러나 農人과 農文化에 對한 尊重의 意味에서 數漁家 다시 注目받게 되면서, 1960年代를 즈음하여 口話法 代身 手話法이 優先視되고 있다. [14]

言語學的 分析 [ 編輯 ]

19世紀에 프랑스의 오귀스트 베비앙 은 數語를 自然語로 보고, 手語 單語를 分析 可能한 合聖體로 認識하였다. [15] 그러나 數語를 非言語的인 것으로 보는 觀點이 世界를 支配하면서, 言語學的 觀點에서의 手語 硏究는 持續되었음에도 잘 알려지지 못하였다. [16] 以後 1960年에 美國의 윌리엄 스토키 는 美國 數漁家 音聲 言語에 對한 副次的인 體系가 아니라 音聲 言語와 마찬가지로 獨立的인 言語임을 手語 單語의 內部 構造를 分析함으로써 立證하였다. [17]

音韻論 [ 編輯 ]

守禦의 音素는 受刑, 水位, 手動, 首鄕, 非수지 信號로 分類한다. [18]

受刑은 手語 單語를 構成하는 손의 模樣이다. [19] 守衛나 手動 等 다른 音素는 같은 手語 單語가 受刑만으로 對立되는 境遇, 손가락의 選擇, 손가락의 姿勢, 손가락의 內部 手動으로 對立된다. [20] 하나의 手語에서 매우 높은 頻度로 나타나고 여러 手語에서 共通으로 發見되는 受刑을 無票 受刑이라고 한다. [21] 頻度가 높은 受刑을 高頻度 受刑이라고 하고, 頻度가 낮은 受刑을 低頻度 受刑이라고 한다. [22]

水位는 手語 單語가 調音(産出)되는 位置이다. [23] 音聲 言語가 調音되는 곳이 發聲 機關과 調音 機關이라면, 數漁家 産出되는 곳은 數語를 發話하는 사람의 身體와 그 周邊의 空間, 卽 手語 空間이다. [24] 머리, 이마, 눈, 입, 턱, 귀, 뺨, 목, 어깨, 가슴, 배, 옆구리, 허리 等이 首位가 된다. [25]

수동은 손의 움직임이며 [26] , 首鄕은 손가락과 손바닥의 方向이다. [27] 非수지 信號는 數語를 發話하는 사람의 얼굴, 머리, 身體에서 이루어지는 信號로, 音聲 言語의 超分節音韻 에 對應하는 要素이다. [28]

形態論 [ 編輯 ]

手語 單語는 音聲 言語와 마찬가지로 形態素 單位로 分析할 수 있으며, 數漁家 流動的으로 算出됨에 따라서 各 單語는 이형태 交替 된다. [29] 手語 單語는 單一語, 合成語, 派生語, 借用語 等으로 分類된다. [30]

統辭論 [ 編輯 ]

手語는 手語 單語가 順次的으로 配列되기 때문에 [31] , 語順에 따라 意味가 決定되는 孤立語 이다. [32] 그러나 單語의 屈折 側面에서는 屈折語 의 特性을, 여러 形態素가 同時에 調音되는 境遇가 있다는 側面에서는 膠着語 의 特性을 보인다. [33] 手語는 時間 府使의 添加, 受動의 變形, 文法化 된 用言의 添加, 非수지 信號 等으로 時祭 을 表現한다. [34] 문법화한 形態素의 添加나 非수지 信號로 樣態 를 表現한다. [35]

分類 [ 編輯 ]

수어의 어족 I
手語 語族의 分類
   → 美國 手語 連續體
   → 러시아 手語 連續體
   → 체코 手語 連續體
    베트남 ·泰國·라오스 手語
    BANZSL (英國·濠洲·뉴질랜드 手語)
    南아메리카 手語 (BANZSL의 一部)
   孤立語
   情報 없음

手語는 크게 일곱 個의 語族으로 分類되며, 니카라과 手語 와 같이 孤立語인 手語度 存在한다. 韓國 手語 日本 手語 , 타이완 手語 와 함께 日本 手語族 에 屬한다.

指文字 [ 編輯 ]

對應하는 手語 單語가 없거나 固有名詞인 境遇 等은 指文字를 使用한다. 아래는 英語 알파벳에 對應하는 指文字이다.

英語 指文字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

  • 원성옥·강윤주(2002), 《手話敎育槪論》.
  • 윤병천·김칠관(2019), 《韓國手話言語學入門》. (眉間行資料)
  • 윤병천·김칠관(2020), 《手話敎育學入門》.
  • 이준우·남기현(2014), 《韓國 수語學 槪論》.
  • 最上배·안성우(2003), 《韓國守禦의 理論》.

各州 [ 編輯 ]

  1. 윤병천·김칠관(2019), 26쪽.
  2. 이준우·남기현(2014), 40-45쪽.
  3. 이준우·남기현(2014), 46쪽.
  4. 이준우·남기현(2014), 20쪽.
  5. 이준우·남기현(2014), 20-21쪽.
  6. 이준우·남기현(2014), 21쪽.
  7. 이준우·남기현(2014), 21쪽.
  8. 원성옥·강윤주(2002), 16쪽.
  9. 원성옥·강윤주(2002), 17-18쪽.
  10. 원성옥·강윤주(2002), 19쪽.
  11. 원성옥·강윤주(2002), 19-20쪽.
  12. 원성옥·강윤주(2002), 19-21쪽.
  13. 원성옥·강윤주(2002), 21-22쪽.
  14. 원성옥·강윤주(2002), 22-23쪽.
  15. 윤병천·김칠관(2019), 24쪽.
  16. 윤병천·김칠관(2019), 26쪽.
  17. 윤병천·김칠관(2019), 42쪽.
  18. 이준우·남기현(2014), 54쪽.
  19. 이준우·남기현(2014), 56쪽.
  20. 이준우·남기현(2014), 56-57쪽.
  21. 이준우·남기현(2014), 58쪽.
  22. 이준우·남기현(2014), 63-71쪽.
  23. 이준우·남기현(2014), 75쪽.
  24. 이준우·남기현(2014), 75쪽.
  25. 이준우·남기현(2014), 77-79쪽.
  26. 이준우·남기현(2014), 87쪽.
  27. 이준우·남기현(2014), 93쪽.
  28. 이준우·남기현(2014), 95쪽.
  29. 윤병천·김칠관(2019), 107-108쪽.
  30. 윤병천·김칠관(2019), 114쪽.
  31. 윤병천·김칠관(2019), 172쪽.
  32. 윤병천·김칠관(2019), 331쪽.
  33. 윤병천·김칠관(2019), 332-333쪽.
  34. 이준우·남기현(2014), 217-232쪽.
  35. 윤병천·김칠관(2019), 253-254쪽.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