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데메이아

아테네 의 指導. 北西쪽에 아카데메이아가 보인다.
플라톤 時代의 아카데메이아를 그린 모자이크화 .
아카데메이아 遺跡地. 그리스 아테네 (2008年 撮影).

아카데메이아 또는 아카데미아 ( ?καδημ(ε)ια , Akad?m(e)i? )는 古代 그리스 아테네 西北쪽 郊外에 位置한 古代의 英雄 아카데메스의 성스러운 숲에서 祈願한 신역(神域)으로, 리케이온 , 키노사르게스 等과 함께 代表的인 金나시溫 所在地이기도 했다.

靑年 敎育에 熱心이었던 소크라테스 가 자주 이곳 아카데메이아나 리케이온의 金나시溫 의 靑年들을 둘러보았다고, 플라톤 의 對話篇 『 뤼시스 』 等에 그려져 있다.

플라톤의 學院 [ 編輯 ]

紀元前 387年 , 哲學者 플라톤 은 이곳에 學院을 지으면서 地名인 「아카데메이아」를 그대로 學院의 이름으로 가져다 썼다( 아리스토텔레스 의 「 리케이온 」도 같다).

學科 [ 編輯 ]

算術, 幾何學 , 天文學 等을 가르치고, 一定한 豫備訓鍊을 거쳐 理想的인 統治者가 받아야 할 哲學을 가르쳤다. 特히 幾何學은 感覺이 아니라 思惟에 依해 앎을 가르치는데 必須的이라는 判斷으로, 學院 入口에는 「幾何學을 모르는 者는 이 門으로 들어오지 마라」는 看板이 걸려 있었다고 한다.

이들의 學科와 問答法 ( 辨證法 , 디아렉티케)이 오로지 배움의 必要性과 이들이 「哲人王(哲人王)」, 「밤의 會議」라는 國際法을 保全하고 그 目的(善함 · 德)을 達成할 수 있도록, 國家를 主導하는 사람들에게 必要한 敎育이었던 理由는 『 國家 』나 『 法律 』 等에서 仔細히 說明되어 있다.

繼承 [ 編輯 ]

紀元前 348年 에 플라톤 事後, 아카데메이아의 校長은 조카 스페우시포스가 이어받았으며(기원전 348年~紀元前 339年), 크세노크라테스 (紀元前 339年~紀元前 314年), 프레몬(紀元前 314年~紀元前 270年), 크라테스(紀元前 270年~紀元前 265年), 알케시라오스(紀元前 265年~紀元前 241年), 칼네아데스, 時리아누스, 프로크로스, 마리노스, 다마스키오스가 맡았다.

時期에 따라 學說에 差異를 보였는데, 故(古)아카데메이아 學派와 中企 아카데메이아 學派, 新(新) 아카데메이아 學派 等 몇 期로 나눌 수 있다. 스페우시포스의 時期에는 數學 敎育에 偏重되는 傾向을 보였고, 末期 아카데메이아 學派는 懷疑論 을 主流로 하는 스토아 學派와 對立, 當時의 아카데메이아 學派는 懷疑論者와 같은 意味로 使用되었다.

高아카데메이아 [ 編輯 ]

플라톤이 세운 아카데미아는 戰後 約 1,000年間 存續하는데, 特히 플라톤으로부터 크란토르까지를 高아카데미아라고 부른다. 플라톤이 紀元前 347年 에 죽고 조카인 스페우시포스 가 2代째 학두(學頭)가 되었다. 그는 시칠리아의 디온과도 關係를 맺었으며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2歲 와도 親했다. 플라톤의 이데아는 認定하지 않았으나 晩年의 思想에는 影響을 받았다. 1과 다(多)로써 이루어지는 數學的인 것만을 存在하는 것이라 하여 이것과 理性이나 영(靈)이나 感覺的인 여러 物體를 區別하였다. 이러한 것에서, 말하자면 揷畵的(揷話的)으로 이어져 맞춘 그의 自然觀을 아리스토텔레스 는 猛烈하게 批評하였다. 그리하여 數學化한 아카데미아에 滿足하지 않은 채 그 곳을 떠났다. [1]

老衰한 스페우시포스는 8年 後에 학두 자리를 칼케돈 出身인 크세노크라테스 에게 물려주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 사람도 피타고라스派, 特히 필로라오스에게 關心을 보여 數學을 哲學의 豫備로 삼았다. 哲學을 自然學·倫理學·論理學으로 3분하였고 數學的인 것을 이데아와 同一視하였다. 不滅의 靈魂은 스스로 움직이는 수(數)여서 宇宙를 위에서 아래까지 꿰뚫는다고 하였다. 約 20年間 학두 자리에 있었던 그의 高潔하고 自主的인 性格을 필리포스 2世도 크게 尊敬하였다. 아카데미아에는 벌써 크니도스의 에우독소스 도 參加하여 플라톤을 爲始하여 學寮(學僚)들에게 影響을 끼치고 있었다. 數學者·天文學者·醫師·法制가(法制家)를 겸하고 있던 그는 이데아의 超越性을 批判하고 內在性을 說破하여 快樂을 最高善(最高善)이라 하였다. 이 時期의 數學과 天文學과 宗敎的 感情을 결부시킨 傾向은 <에피盧미스>의 著者라 하는 오프스의 필리포스 ( 플라톤 의 弟子)에게서 뚜렷이 볼 수 있다. [1]

이에 對하여 다음 氣(期) 學院의 傾向은 倫理學으로 옮겨갔다. 크세노크라테스에 依하여 哲學에 들어서게 된 4代째의 학두 폴레몬(前 314-전 276)은 放縱한 生活을 벗어버리고 感情에 움직이지 않는 人物이 되어 自然을 따라 사는 것을 倫理 原則으로 하였다. 폴레몬에 이어 학두가 된 크라테스에 關한 일은 잘 알려지지 않았으나 이 두 사람의 友情은 같은 墓에 合掌하는 程度였다. 그들의 同僚인 크란톨(前 340-전 290)은 플라톤의 <티마이오스> 主席(註釋)을 처음으로 써서 世界의 永遠性을 强調하였다. 그의 <슬픔에 對하여>는 後世에 많은 <위안(慰安)의 서>의 本이 되었다. [1]

中企 아카데메이아 [ 編輯 ]

新아카데메이아 [ 編輯 ]

中企 아카데미아의 카르네아데스 以後 플라톤 學派는 新아카데미아로 再次 獨斷的 方向을 걷는다. 스토아 哲學 으로 기울어져 折衷主義 로의 길을 한層 追求하게 되었다. 代表者는 라리사의 필론과 아스칼론의 안티오코스이다. 라리사의 필론(前 160-전 80)은 로마에서 講義하였다. 키케로 는 그것을 들었다고 한다. 필론은 카르네아데스와 스토아派를 調整하여 安全의 明白한 知識을 主張하였다. 아스칼론의 안티오코스(前 68 死亡)는 會議思想은 自己矛盾이라 하여 放棄(放棄)하였다. 그리고 眞理는 모든 眞正한 哲學者가 一致하는 곳에 存在한다고 하였다. 가장 幸福한 生活을 위해서는 德(德)만으로는 不充分하나, 어떤 種類의 幸福한 生活을 위해서는 充分할 수도 있다고 하였다. 필론은 第4次 아카데미아를 樹立하여, 그 以後를 新아카데미아라고 하였다. 第5次 아카데미아의 학두는 안티오코스이다. [2]

閉鎖 [ 編輯 ]

東로마 帝國 의 皇帝 유스티니아누스 1歲 의 非(非)基督敎的인 學校에 對한 閉鎖 政策에 따라 아카데메이아는 529年 에 閉鎖되었다.

後世의 影響 [ 編輯 ]

아카데메이아의 이름은 以後 유럽의 신플라톤주의 隆盛과 함께 高度의 硏究나 敎育을 맡은 機關을 부르는 아카데미 ( academy ), 아카데미카 ( Accademica ) 等의 由來가 되었다. 르네상스 時代의 피렌체 의 플라톤 아카데미는 메디치 家門 人文主義者 들의 私的 모임으로, 「아카데미」라는 말이 쓰이는 실마리가 된 것은 프랑스 루이 13歲 治下에서의 프랑스 王立 아카데미 等이 著名하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 〈古雅카데메亞〉
  2.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 〈신아카데메아〉

外部 링크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