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다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베다 ( 산스크리트語 : ??? 베다흐 , 英語 : vedas / ? v e? d ? z , ? v -/ [ * ] [1] )는 베다 時代 브라만교 및 그 後身인 힌두敎 의 神話的?宗敎的?哲學的 經典 利子 文獻이다. 베다 文獻들은 베다 산스크리트語 로 記錄된 것으로 산스크리트 文學 에서 가장 오래된 것에 該當하며 또한 힌두敎 의 가장 오래된 經典 들을 이루고 있다. [2] [3] [4] [5]

베다는 三히타   · 브라마나   · 阿蘭若카   · 우파니샤드   · 수트라 의 다섯 部門으로 分類된다. 이 中에서 三히타 는 《 리그베다 · 야주르베다 · 사마베다 · 아타르바베다 》의 4種의 三히타 를 의미한다. 이 4種의 三히타는 힌두敎 의 情景을 이루며, 特別히, 4種의 베다 政經이라는 意味의 透理野 라고 부른다. 베다 全體는 透理野 를 中心으로 形成되어 있다. 그리고 透理野 는 그 中에서 《 리그베다 》를 基礎로 하여 形成되었다. [6] 흔히 "베다"라고 할 때는 이들 透理野 만을 의미할 境遇가 많다.

베다가 引渡의 各 宗敎와 哲學에서 차지하는 位相은 該當 宗敎와 哲學에 따라 다르다. 이러한 點은 힌두敎 宗派 들 內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힌두敎 傳統에서, 베다를 權威있는 情景으로 認定하는 印度 宗敎 및 哲學 學派들을 아스티카 卽 正統派라고 한다. 反面, 그렇지 않은 印度의 宗敎나 哲學을 나스티카 卽 異端 또는 非正統派라고 한다. 힌두敎의 立場에서 볼 때, 代表的인 나스티카는 佛敎 자이나교 인데, 이 두 宗敎는 베다의 權威를 認定하지 않는다. [7] [8] 힌두敎에 屬한 宗派이면서도 베다의 權威를 認定하지 않는 宗派로는 시크교 [9] [10] 브라모이즘 ( Brahmoism ) [11] 이 있다.

歷史 [ 編輯 ]

힌두쿠시山脈 (指導의 "Hindukusch")李 指導의 가운데 아래쪽에, 파미르高原 (指導의 "Pamir") 아래에 標示되어 있다
印度 大平原 : 힌두스탄 平原 또는 印度·갠지스 平原 이라고도 한다
리그베다 의 地理的 範圍는 힌두쿠시山脈 펀자브 地域 으로부터 印度 大平原 의 北部로 延長된다: 리그베다 에 나오는 ( Rigvedic rivers )과 스와트 文化 (" Swat ")와 세머테리 H 文化 (" Cemetery H ")로 標示된 地域이 리그베다의 地理的 範圍이다
베다 時代 ( Vedic period : 1500-500 BC) 後期의 印度 北部: 베다의 샤카 ( Shakha )들이 綠色으로 標示되어 있다

紀元前 1500年 印度아리아人 들이 힌두쿠시山脈 을 넘어 펀자브 地域을 거쳐 북인도 에 進出하며 드라비다人 等의 原住民을 征服하면서 베다 時代 가 始作되었다. 原住民인 문다族 드라비다族 의 水準 높은 文化는 印度아리아人 에게 수드라 階級으로 吸收당한 以後에도 많은 影響을 끼쳐 特히 與信을 비롯하여 나가 , 收復 等에 對한 槪念은 힌두敎 의 成立에 많은 影響을 끼쳤다.

紀元前 1200年 印度아리아人 들은 리그베다 를 經典으로 하는 多神敎인 브라만교 를 탄생시키고, 바루나 , 푸샨 , 사비트리 , 프리티非 , 디아우스 , 아그니 , 바유 , 수리야 , 인드라 等 自然 現象을 支配하는 힘을 神格化하여 神으로 崇拜하였다. 이 神들이 生活 속에서 直間接的으로 影響을 끼친다고 믿던 사람들의 必要에 따라 그때마다 神을 招請하여 야즈나 를 올렸으며 그 數는 33信 或은 3,333神이나 되었다. 人間 自身의 現實的 所望을 비는 祈禱의 神이라는 存在를 活用한 것이다. 印度아리아人 들이 印度 에 移住 後 처음 만든 經典을 "베다"라고 한다.

베다는 알다(知)라는 뜻이다. 리그베다 에 이어지는 사마베다   · 야주르베다   · 아타르바베다 等 3베다의 成立은 紀元前 1000年 卿이다. 그 뒤 야즈나 意識과 그 方法을 說明하는 브라마나 (提議書  · 祭儀書)는 200年後에 成立되었고 우파니샤드 (奧義서  · 奧義書)는 紀元前 500年 經에 成立되었다. 우파니샤드 는 "深遠한 意義"라는 뜻인데, 힌두敎 傳統에 따르면 우파니샤드 는 神으로부터 直接 들은 슈루티 에 屬한다. 하지만 文獻이나 思索의 成果로 이루어진 "深遠한 意義"라는 立場을 가진 學者들도 있다.

紀元前 1000年 頃부터 東쪽으로 移動하여 갠지스江 야무나강 中間 地點의 肥沃한 平原을 차지한 印度아리아人 들은 외침도 없이 農耕과 牧畜이 순조로워 오랫동안 太平時代를 보냈다.

여러 遠視 印度아리아 不足 에서 農耕  · 牧畜  · 商工業이 더욱 發達함에 따라 印度의 世襲階級制度인 카스트 制度 가 生成되었다. 브라만 은 카스트의 最上位者로 神에게 지내는 야즈나 意識을 擔當한 그룹이다. 다음으로 獨立的으로 軍隊를 統率하고 政治를 擔當하던 支配階級 크샤트리아 가 있으며 샤카族이 이 階級에 屬한다. 다음으로는 農業?牧畜?商業?工業을 擔當하던 中産層 階級인 바이샤 가 있고, 그 다음으로는 農奴 貧民 階級인 수드라 가 最下位에 位置해 있다.

카스트 브라만 이 最上位를 차지한 것은 印度아리아人 이 原住民들을 隸屬시킬 때 브라만 의 呪術이 原住民이 가진 呪術性의 宗敎보다 더 複雜하고 高度의 呪術的인 宗敎儀禮를 갖추었기 때문에 自然的으로 原住民을 歸依시킬 수가 있었기 때문이라고도 한다.

브라만 들은 人間의 運命은 自身들의 意志에 左右된다고 하면서 民衆을 逼迫하였고 自身들의 血統을 하늘의 브라흐마 와 連結시키는 等 브라만 至上主義 世上을 만들어 내게 되었다. 그것이 브라만 이 最上位를 차지하게 되는 來歷이라고 할 수가 있다.

브라만교 란 後代의 學者들이 만든 말로 카스트 制度 를 바탕으로 宗敎가 發達하였지만 後代에 와서 힌두敎 로 變身한 宗敎이다. 따라서 많은 信徒를 確保하고 있었지만 宗敎라기보다는 印度의 傳統的 民衆 生活의 根幹을 이룬 傳統 哲學思想과 그 解釋이 神學?祭祀?儀禮 等의 宗敎 全般을 包含한 것이라 할 수가 있다.

印度傳統思想의 最高의 原理인 브라흐만 은 처음에는 베다의 만트라   · 야즈나   · 注射(呪詞)를 의미하였고 그 本質로서 神祕力을 目標로 하였으나, 뒤에 베다를 最高로 삼은 야즈나 萬能의 브라마나 以後부터는 根源的 創造 原理가 되었다.

브라흐만 이 神格化 된 것이 創造의 神 브라흐마 佛敎 가 成立된 後에는 佛敎 에 受容되여 梵天 이라는 不法 守護神이 되었다. 또 印度 神話 에 나오는 神들의 王인 인드라 천둥神 이었으나 佛敎 에 受容되여 帝釋天 (帝釋天), 一名 帝釋天王 이라는 不法 守護神이 되었다. 韓國 의 査察에 있는 四天王 帝釋天王 (帝釋天王)의 部下들이다.

分類 [ 編輯 ]

다섯 部門 [ 編輯 ]

베다는 크게 三히타   · 브라마나   · 阿蘭若카   · 우파니샤드   · 수트라 의 5個의 部門으로 分類된다. 이들 베다는 힌두敎 의 停戰(正典)을 이루고 있는 透理野 라고 부르는 "4種의 三히타 (네 가지 베다)"를 中心으로 形成되어 있다.

三히타 는 "集成" 또는 "컬렉션"을 意味하는데, 4種의 三히타는 리그베다   · 야주르베다   · 사마베다   · 아타르바베다 이다. "베다"라고 할 때 이들 4種의 三히타들 卽 透理野 灣을 指稱하는 境遇가 흔하다. 이들 4種의 三히타들 中에서 아타르바 베다를 除外한 3種의 三히타를 트라야 라고 한다. 트라야 베다 時代 브라만교 (1500-500 BC)에서 犧牲祭式을 뜻하는 야즈나 의 遂行과 關聯되어 있다. 反面, 트라야 에 屬하지 않는 아타르바베다 야즈나 와는 無關하게 必要에 따라 使用된다.

슈루티와 스므리티 [ 編輯 ]

힌두 傳統에 따르면, 베다 文獻들은 크게 슈루티 스므리티 의 두 部類로 區分된다. 슈루티 는 "들은 것"을 뜻하고 스므리티 는 "記憶된 것"을 뜻한다. 힌두 傳統에서 슈루티 는 賢者들이 冥想 속에서 神으로부터 直接 들은 것 또는 神이 直接 드러내어 보여준 것을 記錄한 文獻이고 反面 스므리티 는 그 起源이 人間에 있는 것으로 스승에서 弟子로 傳承되어 내려온 智慧를 記錄한 文獻이다. 때문에 슈루티 를 다른 名稱으로는 아파우루세야 ( apauru?eya )라고도 하는데 "人間에게서 祈願하지 않은 것" [12] 이라는 意味이다. [13] [14] 힌두 傳統에 따르면, 三히타   · 브라마나   · 阿蘭若카   · 우파니샤드   · 수트라 의 5個의 領域의 베다 文獻들 中에서 수트라 를 除外한 나머지 4個 領域의 文獻들은 모두 슈루티 에 該當한다.

만트라 [ 編輯 ]

透理野 리그베다   · 야주르베다   · 사마베다   · 아타르바베다 의 4種의 三히타 야주르베다 에 散文體의 註解가 揷入되어 있다는 것을 除外하고는 모두 韻文體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三히타 들에 들어있는 個別 詩句를 만트라 ( 眞言   · mantra )라고 한다. 一部 嚴選된 베다 만트라 들은 오늘날의 힌두敎 에서도 祈禱  · 宗敎 行事  · 기타 상서로운 意識 等에서 朗誦되고 있다.

三히타 [ 編輯 ]

三히타 는 다음의 네 가지 베다를 말한다.

리그베다 [ 編輯 ]

리그베다 의 成立 年代는 紀元前 1700-1100年이다. [15] 힌두敎 의 여러 神들을 야즈나 를 行하는 場所로 불러들이는 讚歌들을 담고 있다. [15] 힌두敎 司祭 階級 ( Vedic priesthood ) 中 호트리 ( hot? )라고 불리는 注射劑가 朗誦한다. [15]

야주르베다 [ 編輯 ]

야주르베다 의 成立 年代는 紀元前 1400-1000年이다. [15] 야즈나 의 進行과 關聯된 만트라 들과 定해진 文句들을 담고 있다. [15] 힌두敎 司祭 階級 아드바르油 ( adhvaryu )라 불리는 制式 進行 司祭가 朗誦한다. [15]

사마베다 [ 編輯 ]

사마베다 의 成立 年代는 紀元前 1000年이다. [15] 야즈나 에서 使用하는 歌曲(歌曲) 또는 歌唱(歌唱)을 담고 있다. [15] 힌두敎 司祭 階級 우드街트리 ( udg?t? )라고 불리는 讚頌歌를 맡은 司祭가 讚頌한다. [15]

아타르바베다 [ 編輯 ]

아타르바베다 의 成立 年代는 紀元前 1200-1000年이다. [15] 注文(呪文), 이야기, 豫言, 厄막이 符籍, 阻卜(調伏: 怨讐나 惡魔를 굴복시킴), 少量의 思索的인 讚歌들 等과 같이 主로 災殃을 除去하고 福을 불러오는 呪術 關聯 內容을 담고 있다. [15]

베다의 朗誦 [ 編輯 ]

4가지 베다 中에서 3가지 베다만 낭송된다. 卽 야주르베다 는 1音(音)만으로 朗誦되고, 리그베다 는 歌詞의 악센트에 따라 中音(中音, ud?tta)  · 低音(低音, anud?tta)  · 高音(高音, svarita)으로 낭송된다. 사마베다 는 큰 意識에서 좀 더 넓은 音넓이로 姦淫(間音)을 더 넣으면서 낭송된다.

브라흐마나 [ 編輯 ]

阿蘭若카 [ 編輯 ]

우파니샤드 [ 編輯 ]

수트라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

各州 [ 編輯 ]

  1. "Veda" . Random House 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 .
  2. (英語) Radhakrishnan, Sarvepalli; Moore, Charles A., eds. (1957), 《A Sourcebook in Indian Philosophy》, p. 3. (12th Princeton Paperback ed.),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0-691-01958-4 .
  3. (英語) Witzel, Michael, "Vedas and Upani?ads", Flood, Gavin, ed. (2003), 《The Blackwell Companion to Hinduism》, p. 68. Malden, MA: Blackwell, ISBN   1-4051-3251-5 .
  4. (英語) MacDonell, Arthur Anthony (2004), 《A History of Sanskrit Literature》, p. 29-39. Kessinger Publishing, ISBN   1417906197 .
  5. (英語) "Sanskrit literature" (2003), 《Philip's Encyclopedia》. 2007年 8月 9日에 確認.
  6. (英語) Constance A. Jones and James D. Ryan, J. Gordon Melton (ed.), (2007). "Introduction", 《Encyclopedia of Hinduism》, pp. xviii-xix. Facts On File, Inc., ISBN   0-8160-5458-4 .
  7. (英語) Flood (1996), p. 82
  8. (英語) R.F. Gombrich in Paul Williams, ed., "Buddhism: Critical Concepts in Religious Studies." Taylor and Francis 2006, p. 120.
  9. (英語) Chahal, Dr. Devindar Singh (Jan-June 2006). "Is Sikhism a Unique Religion or a Vedantic Religion?". 《Understanding Sikhism - the Research Journal》 8 (1): 3?5.
  10. 《Aad Guru Granth Sahib》 (英語). Shiromani Gurdwara Parbandhak Committee, Amritsar. 1983.  
  11. (英語) Brian Hatcher, 《Eclecticism and Modern Hindu Discourse》, OUP 1999
  12. Apte, Vaman Shivram (1965), The Practical Sanskrit Dictionary (4th revised & enlarged ed.), Delhi: Motilal Banarsidass, ISBN   81-208-0567-4 .
    109f쪽에서 아파우루세야 에 對해 다음과 같이 說明되어 있다: "人間이 著述하거나 또는 만든 것이 아니라 神에게서 祈願한 것".
  13. Apte 1965, p. 887
  14. Muller, Max (1891), Chips from a German Workshop, New York: C. Scribner's sons, http://books.google.com/books?id=J8Zo_rtoWAEC . p. 17-18
  15. Bloomfield, M. The Atharvaveda and the Gopatha-Brahmana, (Grundriss der Indo-Arischen Philologie und Altertumskunde II.1.b.) Strassburg 1899; Gonda, J. A history of Indian literature: I.1 Vedic literature (Samhitas and Brahmanas); I.2 The Ritual Sutras. Wiesbaden 1975, 1977

參考 文獻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