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무스타파 케말 에서 넘어옴)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
Mustafa Kemal Ataturk
대통령 재임시절의 아타튀르크
大統領 在任時節의 아타튀르크
튀르키예 第1代 大統領
任期 1923年 10月 29日~1938年 11月 10日
後任: 이스메트 이뇌뉘 (第2代)

身上情報
出生日 1881年
出生地 오스만 帝國 셀라닉주 (只今의 그리스 테살로니키 )
死亡日 1938年 11月 10日 ( 1938-11-10 ) (57歲)
死亡地 튀르키예 이스탄불 돌마바흐體 宮殿
正當 共和人民黨
配偶者 라티페 尤史클리길
署名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 ( 튀르키예어 : Mustafa Kemal Ataturk , 1881年 ~ 1938年 11月 10日 )는 오스만 帝國 의 陸軍 將校, 革命家, 作家이며 튀르키예 共和國 의 建國者이자 初代 大統領 이다.

第1次 世界 大戰 當時 陸軍 將校였고, 오스만 帝國의 敗北 以後 튀르키예 國民 運動 所屬으로 튀르키예 獨立 戰爭을 主導하였다. 일찍이 靑年 투르크 黨 에서 活動하였으며, 갈리폴리 戰鬪 에서 英國 프랑스 軍隊의 攻勢를 沮止한 卓越한 將軍이기도 하였다. 在任 中인 1938年에 死亡하였다. 그의 稱號인 아타튀르크는 "튀르크의 아버지"라는 뜻으로, 1934年에 튀르키예 議會가 獻呈하였다. [1]

幼年 時節 [ 編輯 ]

아타튀르크는 1881年 當時 오스만 帝國 의 支配 下에 있던 셀라닉주 (只今의 그리스 테살로니키 )에서 國境稅務官吏의 아들로 태어났다. 이 집은 現在 테살로니키 市에서 튀르키예 政府에 寄贈해 아타튀르크 博物館 으로 쓰이고 있다. 다른 兄弟도 있었지만, 女同生인 마크불레 아타團만 成人이 될 때까지 살아 있었다. 앤드류 망고는 그의 家族들은 튀르키예語를 使用하는 무슬림이었다고 하였다. 그의 아버지인 알리 리자는 알바니아人 라는 說이 있지만, 터키 의 歷史學者들은 그의 祖上이 튀르키예 아이딘 週 衰케 에서 移住하였다고 主張한다. [2] 그의 어머니 쥐베이데 下듬은 튀르키예 의 少數民族인 外뤼크 系列이라고 알려져있다. 그리고 몇몇 學者들은 그의 어머니가 슬라브족 의 피도 一部 섞였다고 主張한다.

1905年 戰爭士官學校 卒業式 날의 아타튀르크

아타튀르크의 어린시절 이름은 무스타파였으며, 케말(Kemal)은 그의 數學 先生님이던 위스퀴프뤼 무스타파 에펜디 가, 그의 數學 實力과 成熟한 모습을 稱讚하면서 지어준 이름이라고 한다. [3] 그의 어머니는 그가 宗敎學校에 다니길 願했지만, 무스타파는 宗敎와 無關한 私立學校에 入學하였다. 그의 父母는 무스타파가 貿易商이 되길 願했으나, 그는 父母와 相議 없이 1893年에 살로니카 軍事 學校(Selanik Askeri Ru?tiyesi)에 入學하였다. 1896年에는 마나스트르 軍事 高等學校 (Manastır Askeri ?dadisi)에 入學했다. 1899年 3月 14日에는 오스만帝國 軍事學校(Mekteb-i Harbiye)에 入學했으며, 1902年에 卒業했다. 1905年 1月 11日에는 오스만帝國 軍士大學 (Mekteb-i Erkan-ı Harbiye)을 卒業했다.

軍人 時節 [ 編輯 ]

草創期 經歷 [ 編輯 ]

卒業 後, 무스타파 케말은 反獨裁主義者 라는 理由로 逮捕됐다. 몇 달 동안 拘束되었다가, 前 學校 校長이던 리자 파샤(Rıza Pa?a)의 辯護로 出所했다. [4] 出所 以後 그는 다마스쿠스 에 位置한 오스만帝國 5軍 司令部 大尉 로 任官한다. 그는 압둘 하미드 2歲 에 對한 獨裁를 反對하여 靑年 祕密結社 團體인 祖國과 自由 (Vatan ve Hurriyet)라는 團體에 加入했다. 1907年 6月 20日에는 시니어 캡틴으로 進級했으며, 같은해 10月 13日에 마나스트르 에 位置한 3軍 司令部 로 轉屬되었다. 그 後 統一進步委員會 에 加入했다. 1908年 6月 22日에는 東部 루멜리아 (Do?u Rumeli Bolgesi Demiryolları Mufetti?i)의 오스만 帝國 鐵道 監督官으로 任命됐다. 같은해 7月 靑年 튀르크 革命 에 加擔했다.

무스타파 케말은 軍의 非政治化를 主張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 結果 現在의 리비아 地方인 트리폴리타니아 빌라豫트 로 不足 叛亂을 鎭壓하는 閑職으로 쫓겨났다. 하지만 미쿠쉬(Mikush)에 따르면 무스타파 케말이 自願해서 떠났다고도 한다. [5] 叛亂을 鎭壓하고 1909年 1月에 이스탄불 에 다시 돌아왔다.

1909年 4月에 이스탄불에서는 軍人들에 依해서 反革命 運動인 3月 31日 事件 (31 Mart Vakası)李 發生했다. 무스타파 케말은 反革命 運動을 鎭壓하는데 큰 寄與를 했다.

1910年 9月 28日 프랑스에서 피카르디(Picardie) 軍隊 訓鍊에서 오스만 투르크 參觀團과 함께 아타튀르크(앞줄, 왼쪽에서 두 番째)

1910年에는 오스만 帝國領 알바니아 로 發令받아서 專屬됐다. 그 當時 알바니아 에는 理事 볼레티니 코소보 에서 蜂起를 일으켰다. [6] 무스타파 케말은 알바니아 의 政治人 에퀴렘 블로라(Eqerem Vlora)를 만났다. 1910年 가을에는 오스만 帝國 의 觀戰將校의 身分으로 프랑스 피카르디에서 있었던 大規模 訓鍊에 參與했고, 1911年에는 이스탄불에서 오스만 帝國 戰爭部(Harbiye Nezareti)에서 暫時 服務했다.

이탈리아-튀르크 戰爭 [ 編輯 ]

1911年 무스타파 케말은 오스만令 트리폴리타니아 (現在의 리비아)에 發令받았다. 그 곳에서 이탈리아-튀르크 戰爭에 參戰했고, 主로 벵가지, 데르나, 투브루크에서 이탈리아 軍 約 150,000名을 베두人 約 20,000名과 튀르크人 8,000名으로 맞서 싸웠다. 이탈리아가 宣戰布告를 한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에는, 리비아로 派兵된 오스만 帝國軍은 오스만令 예멘에서 예맨 革命을 鎭壓하기 위해서 差出되어 있어 兵力과 物資가 不足했다. 그리고 이집트를 支配하던 英國 은 오스만 帝國軍이 이집트 를 通過하지 못하게 했고, 이로 因해 오스만 帝國軍은 아랍人 처럼 僞裝하고 이집트 를 通過하거나, 배를 利用해 오스만令 트리폴리타니아 로 派兵되었다. 이런 어려움에도 무스타파 케말의 部隊는 리비아 에서 이탈리아軍을 여러番 擊退시켰다. 特히, 1911年 12月 22日 토브루크 戰鬪에서 大勝을 거두었다.

그러나 1912年 1月 16日부터 17日間 있었던 데르나 戰鬪에서 무스타파 케말은 建物에서 튄 石灰巖 破片에 왼쪽 눈을 맞아 눈에 負傷을 입어 視力 損傷을 입는다. 그는 적신월 의 醫療施設에서 2週間 治療를 받고 戰場으로 돌아갔으나 狀態가 惡化되어 다시 入院해 1달 가까이 治療를 받았다. 1912年 3月 6日 데르나의 오스만 帝國軍의 指揮官이 됐다. 1912年 10月 18日 이탈리아-튀르크 戰爭이 끝날 때까지 무스타파 케말은 이 地域을 지켜냈다. 무스타파 케말, 엔베르 베이, 페트히 베이 等 오스만 帝國軍의 指揮官들은 1912年 10月 8日 발칸 戰爭이 勃發하자 歸還했다. 오스만 帝國은 1912年 10月 18日 로잔에서 우시 條約을 이탈리아 王國과 締結하면서 오스만令 트리폴리타니아, 페잔, 키레나이카 (現在의 리비아 )를 이탈리아 王國 에 넘겨줬다.

발칸 戰爭 [ 編輯 ]

아타튀르크, 陸軍 司令官 當時 (1918年)

第1次 世界 大戰 때는 갈리폴리 戰鬪 에서 勝利를 거두어서 큰 功을 세웠다. 第1次 世界 大戰 이 끝나고 聯合國 들이 오스만 帝國을 侵攻할 때 戰線에 나가 祖國을 守護했다. 갈리폴리 戰鬪 以後 케말에게는 指導者라는 뜻의 '파샤'라는 稱號가 따라붙게 되었고, 유럽 等 外國에는 '케말 파샤'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졌다. [7]

1921年에 그리스가 아나톨리아 侵攻 할 때에는 社카르野 戰鬪 에서 크게 勝利를 거두어 臺그리스主義 를 끝내게 만들었다. 터키 는 1次 世界大戰 後 共和國을 樹立했으며, 그리스와의 戰爭에서 大勝을 거둔 1922年 8月 30日을 國慶日로 記念하고 있다. [8] 1923年에는 自身을 支持하는 靑年 將校들과 함께 앙카라 를 掌握, 오스만 帝國 을 無血革命으로 멸망시켰다.

1922年 11月에는 술탄制를 廢止하고, 메흐메트 6歲 를 廢位했다. 1923年 7月 聯合國 과 새로운 條約( 로잔 條約 )을 締結하였다. 同年 10月에는 이스탄불 에서 앙카라 로 遷都하고 共和制 를 宣布하였으며, 大統領에 就任했다.

大統領 時節 [ 編輯 ]

이스탄불의 아타튀르크 (1927年)

케말 아타튀르크는 1923年에 大統領 에 就任한 뒤 本格的으로 改革政策을 施行했다. 1924年에는 632年 以來 1300年 동안 이어져 오던 칼리프制 를 廢止하였고, 튀르키예 共和國 의 基本 精神인 世俗主義 를 法으로 制定했다.

1925年에는 服裝 改革을 施行하여 女性들의 服裝을 解放시키고, 過去에 禁止되었던 女性의 敎育權을 保障해 男女平等敎育을 施行하였으며, 이슬람력 을 廢止하여 유럽式 그레고리력 으로 代替했다. 1926年에는 民法을 改正해 一夫多妻制를 禁止하고 一夫一妻制 를 確立하였으며, 1928年에 튀르키예어 의 아랍 文字 表記法을 廢棄하고 로마字 表記法으로 變更하였다. 1930年에는 女性에게도 選擧權 을 附與하였다.

疾病 및 死亡 [ 編輯 ]

아타튀르크는 그의 삶의 大部分을 통해 普通에서 무거운 程度의 술을 마셨고, 하루에 0.5리터의 라크를 자주 마셨다. 그는 또한 담배를 피웠고, 主로 담배의 形態로 피웠다. [9] [10] [11] 1937年 동안, 아타튀르크의 健康이 惡化되는 徵候들이 나타나기 始作했다. 1938年 初, 얄로바 로의 旅行 中에, 그는 深刻한 病으로 苦痛을 받았다. 그는 治療를 위해 이스탄불 로 갔고, 그곳에서 그는 肝硬化症 診斷을 받았다. 이스탄불에 머무는 동안, 그는 그의 規則的인 生活 方式을 維持하기 위해 努力했지만, 結局 그의 病으로 죽었다. 그는 돌마바흐體 宮殿 에서 57歲의 나이로 1938年 11月 10日에 死亡했다. [12]

現在 튀르키예에서의 位相 [ 編輯 ]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는 터키 에서 獨立 英雄이자 國富로서 推仰받고 있다. 터키 國會는 1934年 '터키의 아버지'라는 뜻의 '아타튀르크' 敬稱을 授與하였고 公共建物이나 거리의 이름을 이 名稱으로 바꿨다. 紙幣 속의 人物도 오직 아타튀르크 單 한 名이다. [13]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케말 파샤 高校生을 위한 世界史 用語辭典, 2017年 11月 23日 確認.
  2. Falih Rıfkı Atay, Cankaya: Ataturk'un do?umundan olumune kadar , ?stanbul: Beta?, 1984, p.17.
  3. Afet ?nan, Ataturk hakkında hatıralar ve belgeler , Turk Tarih Kurumu Basımevi, 1959, p. 8.
  4. Falih Rıfkı Atay: Cankaya, Pozitif Yayınları, ?stanbıl, 2004 ISBN   975-6461-05-5
  5. D.V.Mikusch: Zwichen Europe und Asien (translation Esat Mermi Erendor),?karus Yyın, ?stanbul,1981 ISBN   978-605-5834-32-6p .67
  6. “1912 | Aubrey Herbert: A Meeting with Isa Boletini” . Albanianhistory.net. 2012年 10月 22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5年 8月 18日에 確認함 .  
  7. 케말 파샤 人物世界史, 2017年 11月 23日 確認.
  8. 터키 勝戰記念日 맞아 6千名이 만든 初代 大統領 巨大 肖像畫 京鄕新聞, 2014.8.27.
  9. Aydınta?ba?, Aslı (7 December 2008). "Why I Love Turkey's Smoking, Drinking Founding Father." Forbes . Retrieved 25 April 2020.
  10. Kenyon, Peter (7 June 2013). "Not Everyone Cheers Turkey's Move To Tighten Alcohol Rules." NPR . Retrieved 26 April 2020.
  11. Macfie, Alexander Lyon (2014). 《Ataturk》 . Routledge . 6쪽. ISBN   9781317897354 . 2018年 12月 31日에 確認함 .  
  12. Ataturk'un Hayatı (Ataturk's Lif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Turkey) (튀르키예어) .
  13. 정윤수, 《20世紀 人物 100과 事前》, 숨비소리, 2008年, 86

外部 링크 [ 編輯 ]

前任
(國家 樹立)
튀르키예 對國民議會 議長
1920年 ~ 1923年
後任
페티 오카野
前任
(國家 樹立)
튀르키예의 總理
1920年 ~ 1921年
後任
페브지 車크마크
前任
(國家 樹立)
共和人民黨 代表
1923年 ~ 1938年
後任
이스메트 이뇌뉘
前任
後考 슈타인스
타임 表紙 人物
1923年 3月 24日
後任
스티븐 샌포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