東寧府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東寧府 (東寧府)는 元나라 高麗 書經 을 編入한 後 設置한 統治機關이다.

歷史 [ 編輯 ]

1269年 (元宗 10年) 서북면 兵馬使의 機關(記官)인 崔坦 (崔坦) 等이 亂을 일으켜 西京을 비롯한 北界 (北界)의 54性과 자비령(慈悲嶺) 以北 西海도 (西海道)의 6城을 들어 元나라에 投降하였다.

1270年 (元宗 11年) 쿠빌라이 칸 은 자비령 以北의 領土를 直屬令으로 모두 元나라에 編入하고 署經에 東寧府를 設置한 後, 崔坦을 東寧府 摠管(摠管)에 임명하였다. 이에 高麗 元宗 은 元나라의 首都 臺도 (大都)로 入朝하여 쿠빌라이 칸에게 자비령 以北 地域의 返還을 要求하였으나 貫徹되지 않았고, 1275年 (忠烈王 1年)에는 東寧府를 同녕摠管部로 昇格시켰다.

1290年 은 高麗의 끈질긴 要求를 받아들여 자비령 以北 地域을 高麗에 돌려주고, 東寧府를 搖動 (遼東)으로 옮겼다.

東寧府 遠征 [ 編輯 ]

東寧府 征伐은 1369年 (恭愍王 18年)부터 1370年 까지의 怨·明 交替期의 空白 狀態를 利用하여, 高麗의 傳統的인 북진책을 實現하려고 일으킨 遠征이다.

1368年 元 順帝 朱元璋 의 軍隊에게 쫓기다가 죽고, 그 뒤를 이어 기황후 (奇皇后) 所生의 小宗 (昭宗)이 卽位하였으나 情勢를 돌리지 못하였다. 高麗의 공민왕 은 元나라의 年號 代身 明나라 의 年號를 使用하였으며, 官職名을 元나라 支配 以前으로 復舊하였다. 恭愍王은 大陸의 政治的 變動을 利用하여 元의 支配에서 벗어나 北進注意를 實現하려고 하였다.

이에 元나라의 平章事(平章事) 氣勢人테무르 (奇賽因帖木兒) [1] 가 그의 父親 기철 이 高麗에서 참형당한 것에 對한 報復으로 元나라 遺民을 모아 東寧府에서 侵攻해왔다. 1369年 (恭愍王 18年) 陰曆 12月 高麗에서는 이인임 을 總指揮官이자 서북면都統使로 하고, 李成桂 를 동북면元帥, 池龍壽 (池龍壽)를 서북면元帥, 洋白안 을 서북면副元帥, 임견미 를 按酒床萬戶로 삼아 軍士 1萬 5千을 주어 元나라의 東寧府를 치게 하였다. 李成桂는 1370年 陰曆 1月에 동북면에서 黃초(黃草), 說한(雪寒)의 두 영(嶺)을 넘고, 鴨綠江 勳江 (파저강, 婆猪江)을 건너 이원경 (高麗) (李原景)李 지키는 우라산性 (于羅山城)을 包圍 攻擊하여 降伏을 받았으며, 같은 해 11月에는 池龍壽와 合勢하여 搖動의 中心地인 療養 (遼陽)을 攻擊하여 城을 빼앗았다.

그러나 이는 高麗의 長期的인 占領으로 이어지지 못했고, 附近 住民들에게 高麗에 歸順할 것을 勸告하고 回軍하였다. 結局 遼河 (遼河)과 鴨綠江 사이의 땅은 明나라 의 領土로 編入되었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기철의 4남이다.

外部 링크 [ 編輯 ]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高麗 王室과 元나라" 項目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