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흐멜니츠키 蜂起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흐멜니츠키 蜂起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흐멜니츠키 蜂起
大洪水 의 一部

키예프에 入城한 步흐團 흐멜니츠키를 描寫한 미콜라 이바슈크(Mykola Ivasyuk)의 그림
날짜 1648年 ~ 1657年
場所
結果 페레野슬라프 條約
카자크 首長國 의 登場
폴란드-리투아니아 聯邦의 衰退
루스 차르國 의 勢力 擴張
카자크에 對한 폴란드의 影響力이 消滅됨
交戰國
자포리자 카자크
크림 칸國 (1649年 ~ 1654年, 1656年 ~ 1657年)
폴란드-리투아니아 聯邦
크림 칸國 (1654年 ~ 1656年)
指揮官
步흐團 흐멜니츠키 얀 2歲 카地미에시 바사
스테판 차르니에츠키

흐멜니츠키 蜂起 또는 흐멜니츠키의 난 ( 폴란드語 : Powstanie Chmielnickiego , 우크라이나語 : повстання Богдана Хмельницького , 러시아語 : восстание Богдана Хмельницкого )은 1648年 부터 1657年 까지 폴란드-리투아니아 聯邦 의 支配를 받고 있던 우크라이나 카자크 指導者인 步흐團 흐멜니츠키 가 일으킨 카자크의 武裝 蜂起이다.

1648年 폴란드 出身 貴族과의 紛爭으로 因해 자포리자 카자크 의 要塞로 逃亡친 步흐團 흐멜니츠키가 자포리자 카자크와 함께 武裝 叛亂을 일으켰다. 그의 武裝 叛亂은 農民, 都市民, 聖職者들로부터 높은 支持를 받았으며 흐멜니츠키가 이끄는 軍隊는 조브티보디 戰鬪와 같은 여러 戰鬪에서 폴란드 軍隊를 擊破했다.

흐멜니츠키가 이끄는 軍隊는 1649年 8月 폴란드軍과의 즈보리우 戰鬪에서 크림 타타르族 을 支援하여 勝利를 차지했고 같은 해 8月 17日에 締結된 즈보리우(Zboriv) 條約을 통해 自治權을 인정받게 된다. 이 條約은 事實上 흐멜니츠키가 獨立的인 카자크 首長國 을 樹立하는 것을 許容하는 內容이었지만 農奴制를 維持하고 있었기 때문에 農民의 支持를 얻지 못했다. 흐멜니츠키가 이끄는 軍隊는 1651年 6月에 일어난 베레스테츠코 戰鬪 에서 크림 타타르족의 背信으로 인해 敗北하고 만다.

우크라이나 카자크들이 폴란드-리투아니아 聯邦 오스만 帝國 , 크림 칸國 의 威脅을 받고 있던 狀況에서 東方 正敎會 信者였던 흐멜니츠키는 같은 그리스 正敎會 를 信奉하고 있던 루스 차르國 의 支持를 要請했다. 1654年 1月 페레野슬라프 條約 을 통해 우크라이나 카자크의 自治權을 認定하는 條件으로 러시아의 차르로 있던 알렉세이 미하일로비치 의 主權을 認定하였다.

1654年 루스 차르國 이 폴란드를 相對로 한 戰爭에 參戰하면서 러시아-폴란드 戰爭 이 勃發했다. 1655年 에는 스웨덴 이 폴란드를 相對로 한 第2次 北方 戰爭 에 參戰하면서 폴란드는 큰 打擊을 입게 된다. 1657年 흐멜니츠키가 死亡하면서 흐멜니츠키 蜂起도 끝나게 된다.

이 戰爭을 契機로 폴란드-리투아니아 聯邦 이 衰退하게 되었고 루스 차르國 이 勢力을 擴張하게 된다. 또한 카자크 에 對한 폴란드의 影響力이 消滅되면서 카자크 首長國 이 登場했다.

같이 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