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버마語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버마語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버마語, 미얀마어
????? , ????????
( IPA : [b?masa], [mj?masa] )
使用 國家 미얀마
中華人民共和國
泰國
방글라데시 [1]
使用 地域 東南아시아 인도차이나 半島
言語 人口 第1言語 : 約 3,300萬 名(2007) [2]
第2言語 : 約 1,000萬 名
順位 29位
文字 버마 文字
言語 系統 中國티베트語族
  티베트버마語派
   롤로버마魚群
    버마語, 미얀마어
公用語 및 標準
公用語로 쓰는 나라 미얀마
標準 미얀마 言語 委員會
言語 富豪
ISO 639-1 my
ISO 639-2 bur (B)
mya (T)
ISO 639-3 mya 버마語

버마語 ( ?????????? , IPA : [mj?ma baða] [3] ) 또는 미얀마어 미얀마 公用語 이다. 버마族 과 聯關된 下位 部族의 母國語이며 몬族 같은 少數 民族도 이 言語를 쓴다.

第1言語로 使用하는 話者는 3,200萬 名 [2] , 第2言語 話者는 1,000萬 名으로 이들은 미얀마 隣近 國家에 흩어져 있는 사람들을 包含한 것이다.

英語로는 버마語를 " Burmese Language "라고 하는데 미얀마 憲法 은 버마語의 公式 英語 表記를 " Myanmar language "라 부를 것을 明示하고 있으나, " Burmese "로 쓰는 境遇도 많다. [4]

버마語는 聲調 言語 利子 [5] 分析語로, 주어-목적어-동사 順序를 띤다. 中國티베트語族 言語로 티베트버마語派 의 下部 言語이다. [6] 文字인 버마 文字 는 古代 몬 文字에서 由來하였다.

歷史 [ 編輯 ]

버마語 使用分布度
   버마語가 公用語인 地域
   버마語가 公用語 或은 竣工用語이나 主要 言語가 아닌 地域

버마語는 바간 王朝 初期로 歷史가 거슬러 올라가며, 버마 文字 와 歷史를 같이 한다. 버마 文字는 古代 몬 文字 [7] 或은 10世紀 印度 南西部에서 使用되던 퓨 文字 [8] 에 뿌리를 둔 것으로 推定된다. 事實 두 文字 모두 브라흐미 文字 의 一種이며 元來는 四角形이었다가 17世紀 椰子樹 잎을 접어서 종이처럼 쓰는 바리야포크 ???????? 李 널리 쓰이면서 그 模樣이 바뀌게 되었다. [9]

버마 文字의 開發은 普通 電氣, 中期, 現代로 나뉘며 電氣 버마語는 버間 王朝 아바 王朝 를 아우르는 11世紀-16世紀를 指稱한다. 中企 버마語는 따웅禹 王朝 꼰바웅 王朝 에 이르는 16-18世紀에 使用된 것을 指稱하는데 현대 버마語는 그 以後 時代의 言語를 가리킨다. [10] 만달레이 中心의 上部 미얀마에서 主流이던 버마語는 19世紀 初에 이르면 下部 미얀마에 널리 퍼지게 되어 旣存의 主要 言語이던 몬어 를 밀어내고 酒類 言語의 地位를 차지하게 됐다. [11] 下部 미얀마에는 如前히 몬族 出身 人口가 많으나 繼續된 同和 政策과 버마族의 征服 戰爭에 따라 몬어 使用 話者의 比重이 줄어들게 됐으며 [12] 1962年 부터 强力한 言語 政策에 따라 少數 民族 아이들이 正規 敎育課程에서 母國語인 몬語를 배울 機會가 없어지는 代身 버마語 爲主의 敎育이 이뤄지고 있다. [13] [14]

오늘날 버마 文字의 表記法 大部分은 中企 버마語와 聯關이 깊으며 標準 聲調는 18世紀까지 나타나지는 않았다. 19世紀를 지나가면서 言語學者들은 綴字法에 따른 소리의 重疊 現象을 없애기 위해 文字 表記法을 改革했다. [15] 英國領 印度의 統治를 받게 되면서 버마 文字는 標準化 作業을 거치게 되었고 오늘날 大韓民國 國立國語院 과 같은 役割을 하는 Myanma Salonpaung Thatpon Kyan ????????????????????????????? 이 미얀마 政府 下에 1978年부터 存續해오고 있다. [15]

分類 [ 編輯 ]

미얀마 의 民族言語學的 區分. (1972年 基準)
   버마語

버마語는 티베트버마語派 의 下位 言語이며 中國티베트語族 에 屬하는 言語 中에서는 中國語派 다음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言語이다. [16] 中國語, 티베트語, 西夏 文字 다음으로 文字가 導入됐다. [16]

方言 [ 編輯 ]

大多數의 버마語 話者는 이라와디江 流域에 居住하며, 地域에 따라 사투리가 나타난다. 各 사투리는 語彙나 發音에 差異가 있지만 基本的으로 버마語의 方言이기 때문에 서로 間에 相當 部門 相互 疏通이 可能 하다. 一般的으로는 子音이 모여 쓰는 것과 버마 文字, 4個의 聲調 等이 同一하다는 特徵이 있다. 그러나 一部 方言에서는 語彙나 音調에 懸隔한 差異가 나타나는데 標準 버마語에서 나타나지 않는 語彙나 發音의 差異가 있다. [17]

主要 方言 地域은 다음과 같다.

미얀마 憲法(1974)은 主要 種族이 대변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方言만 100餘 個가 넘는 것으로 推算되며 相當數의 言語와 種族 固有 文化가 傳해져 오고 있다. [19]

이라와디 溪谷 [ 編輯 ]

버마語의 標準語 는 이라와디江 溪谷의 方言에서 由來한 것으로 만달레이 양곤 에 걸친 地域의 사람들이 쓰던 말이다. 上部 미얀마 (만달레이 方言) 地域民의 方言은 anya tha ( ?????? )라 불리며 下部 미얀마 方言은 auk tha ( ???????? )라 불리는데 이는 發音이 아니라 語彙 選擇의 差異에 起因한다. 이라와디 溪谷 一帶에서도 發音의 差異는 나타나는데 스님에게 施主하는 飮食을 指稱하는 單語 ( ????? )가 양곤 一帶에서는 [s????] 로 발음되지만 上部 미얀마 地域에서는 [s?wa?] 로 발음된다.

上部 미얀마의 만달레이 와 下部 미얀마의 양곤 地域에서 쓰는 버마語는 發音이나 單語 使用에 差異가 있다. [20] [21] 一例로 만달레이에서는 1人稱 話者(나)를 뜻하는 單語 짜노( ????????? )를 男女 모두 區分 없이 使用하지만 양곤에서 짜노는 男性만을 指稱하며 女性은 짜마( [t??ma?] )라 發音한다. 또한 親族 名稱에 있어 上部 미얀마 地域의 話者는 兩親에 따라 語彙가 다르지만 양곤 一帶의 버마語에서는 分離하여 表現하지 않는다. [21] 이를 反映하여 標準 버마語에서 1人稱 話者는 짜노(남), 짜마(여)로 分離한다.

이라와디 溪谷 一帶의 方言이 現在의 標準 버마語의 뿌리가 된 것과 關聯해서는 두 가지 理由를 찾아볼 수 있다. [22] 于先, 버마語의 敎育은 査察 을 基盤으로 하여 이뤄지며 이라와디江 一帶는 미얀마人의 오랜 居住 地域이라 差異가 相對的으로 적게 나타난다. 英國 이 미얀마를 合倂한 지 5年 뒤에 實施한 調査에 따르면 꼰바웅 王朝 下 미얀마人의 文解率은 62.5%로 相當히 높은 數値를 보였으며 上部 미얀마 地域의 文解率은 더욱 높았다. 카친族 과 같은 少數 種族을 除外했다면 文解率은 더 높았을 것인데 全國을 分析한 結果 男性(49%), 女性(5.5%)로 나타났다. 둘째로, 下部 미얀마 地域에 버마語 話者가 大擧 移住하게 된 것은 相對的으로 最近에 屬한다. 이 地域은 1700年代 後半에 이르기까지는 몬어가 제1언어였으나 꼰바웅 王朝가 한타와디 王朝 를 무너뜨리면서 양곤 一帶인 下部 미얀마까지 掌握하게 되어 버마語가 널리 퍼지게 된 것이다. 1830年代에 이르러서는 住民 90%가 스스로를 버마族이라 認識했으며 이는 結婚, 移住 等의 積極的 同化政策에 따른 것으로 볼 수 있다. [23]

이라와디 溪谷 以外 地域 [ 編輯 ]

이 外의 大部分의 主要 方言은 이라와디 溪谷 以外의 地域에서 使用되는 말로, 이 地域은 미얀마人의 傳統 居住 地域에서 떨어져 있다. 미얀마 政府는 135個의 少數 種族을 公表하고 있지만 그 또한 正確하다고 볼 수 없다. [14] 一例로 가장 北쪽 國境 地帶인 카친 州 의 카친族은 다시 54個의 部族으로 나뉘기 때문에 方言 또한 여러 갈래로 나뉜다. [14]

미얀마에서 가장 南쪽에 位置한 타닌타리 管區 의 方言은 에익 方言( Myeik ), 打步 方言( Tavoyan / Dawei ) 等인데 두 方言은 類似點이 많으나 聲調, 發音(모음) 等 音聲學的 側面에서는 明確히 說明하기 어렵다. [24] 에익 方言 話者는 25萬 名이며 打步 方言 話者는 40萬 名으로 推算된다. [25] [14]

라카인 週 에서 널리 使用되는 아라칸어( Arakanese , Rakhine )는 標準語와 相互 疏通이 可能하다. 두 言語가 區分되는 가장 큰 特徵은 |?|( r ) 소리가 强調되는 것이다. 이에 反해 버마語는 r 소리가 드물게 나타난다. [14]

實現 [ 編輯 ]

버마語는 兩層言語 로, 文語體 에 쓰는 言語와 一般的으로 쓰이는 口語體 가 다르다. [26] 文語體 미얀마어( ???????? mranma ca ) [27] 는 公式 文件 및 文書에 쓰이며 新聞 , 放送 , 演說 等에서 使用된다. 口語體 미얀마어( ?????????? mranma ca.ka: ) [27] 는 繪畫나 非公式的인 자리에서 쓰이는 말套로, 漫畫 , 文學 作品 等에서 日常 對話를 描寫할 때도 쓰인다.

文語體에서는 一般 對話에서 나타나지 않는 文法 構造나 官舍 , 代名詞 , 所有格 調査 等이 나타난다. [26] 이러한 特徵은 '標識'라 稱해지는데 특정한 言語가 다른 言語와 다른 特性을 갖고 있음을 일컫는다. 미얀마에서 나타나는 表紙의 特徵은 文語體와 口語體 間 聯關性이 거의 없다는 데 있다. [28]

凍死 의 境遇 文語體에서 使用되는 語彙를 여러 個의 動詞를 配列하여 文語體에서 使用되는 複雜한 表現을 醇化하며, 이것을 하나의 敍述語로 取扱하는 傾向이 있다. 또한 文語體에서 使用되는 助動詞 代身 動詞를 통해 '가지다, 얻다'라는 뜻을 가진 ?를 利用하여 當爲性을, '이기다'라는 뜻을 가진 ?????乙 利用하여 能力 或은 可能性을, '오다'라는 ??나 利用하여 方向性을 나타내는 助動詞로 使用하는 것이 그 例이다. [29]

이러한 現象에 該當되는 語彙의 例는 다음과 같다.

  • "李": 文語體 ? i 口語體 ?? di
  • "저": 文語體 ??? htui 口語體 ??? hui

다음 例文은 文魚와 口語에서 나타나는 文法的 差異를 表記한 例示다.

8888 抗爭 이 일어났을 때, 約 3千 名이 죽었다.”
名士 凍死 不變化詞 [註解 1] 名士 不變化詞 搜査 不變化詞 凍死 不變化詞 不變化詞 不變化詞
文語體
(HIGH)
???????????????????? ???? ??????? ?? ???? ???? ??? ?????? ??? ?? ????
口語體
(LOW)
????? ?????? ????? ?? - ????
對稱 8888 抗爭 일어

乙때 사람 把握된다(수가 ~가 되다) 3,000名 大略 復讐 標示 다.

버마語 會話體는 恭遜함을 다양하게 表現할 수 있으며 聽衆을 考慮하여 話者의 地位나 나이를 表現하는 높임말이 있다. 動詞句 뒤에 쓰이는 小使의 一種인 ?? pa 는 恭遜함을 表現하는데 쓰인다. [30] 뿐만 아니라 發音上에서도 禮儀의 程度에 따라 差異가 나타난다. [31] 많은 境遇 先生님이나 事務官, 年長者를 紹介하는 等의 恭遜한 表現을 할 때 1, 2人稱 代身 3人稱 代名詞를 쓰거나 血族 關係를 指稱하는 言語를 使用한다. [32] [33] 語彙의 境遇 佛敎 에 關聯되어 僧侶 와 平信徒를 明確히 區分하는 單語가 口語體에서도 存在한다. [34]

다음은 平信徒와 僧侶에 對해 使用되는 語彙를 보여주는 例이다.(앞: 僧侶, 뒤: 平信徒)

口語體는 '權威와 威嚴이 떨어진다'라는 理由로 蔑視를 받기도 했는데, 1960年代 中盤 一部 미얀마 作家들은 文語體를 버리고 會話體(口語體)를 公式 文體로 써야 한다고 主張하기도 했다. [35] [36] 체코 出身의 버마語 學者인 민 라트는 버마語 쓰임새 自體에서 文語體를 쓰지 않을 것을 提案하기도 했다. [37] 그러나 文語體는 如前히 公式 行政 文件에 使用되고 있으며, 非公式的인 放送 內容이나 文學 作品에서는 會話體가 쓰이고 있다. [15] 오늘날 텔레비전 뉴스 放送이나 漫畫, 商業 廣告는 會話體와 文語體를 섞어 쓰는 傾向도 나타나고 있다. [26]

語彙 [ 編輯 ]

버마語 單語는 主로 단음절이 많으며 티베트버마語族에 屬하는 語群에서 由來한 單語도 많다. 借用語 英語 와 같은 인도유럽어족 言語에서 借用되며 이들은 主로 다음절인데, 몬어나 크메르語에서 借用한 單語들은 2音節이다. [38] 借用語의 大多數는 名詞이다. [38]

上座部 佛敎 에서 意識語로 쓰이는 팔리어 는 버마語 單語 擴大에 큰 影響을 끼쳤으며 言語 自體에 미친 影響도 많다. 두 言語는 音聲學 側面에서 類似한 바가 많으며 버마 文字 는 팔리어 綴字를 正確하게 表記할 수 있다. [39] 팔리어에서 借用된 語彙는 宗敎 , 政府 , 藝術 , 科學 分野에서 使用된다. [39]

팔리어에서 借用한 單語는 크게 네 範疇로 區分된다.

  1. 直接 借用語: 綴字法上 變化 없이 그대로 借用된 境遇
    • “삶”: 팔리어 ??? jiva → 버마語 ??? jiva
  2. 省略한 單語 借用: 音節을 縮小하거나 綴字法을 바꾸어 借用한 境遇 (普通 發音 區別 符號를 單語 맨 마지막 單語에 찍는데 子音 自體로 發音 可能한 母音을 굳이 表記하지 않는 用途로 쓰인다.) [40]
    • “카르마”: 팔리어 ? ??? kam ma → 버마語 ?? ka m
    • “새벽”: 팔리어 ??? ? aru ?a → 버마語 ??? ?? aru n
    • “長點”: 팔리어 ??? ? kusa la → 버마語 ????? ?? kusui l
  3. 二重 借用: 팔리어에서 由來한 두 種類의 雙形語 를 借用한 것 [39]
    • 팔리어 ??? m?na → 버마語 ??? [mana?] “傲慢함”, ???? [ma?] “自信感”
  4. 混種語 ( 飜譯借用 ): 純粹 버마語와 팔리어 或은 팔리어 單語를 結合한 合成語 [41]
    • “飛行機”: ????????? [le j??? bja?] , “空氣 機械 난다”( air machine fly ), ← ?? (“空氣”를 뜻하는 固有語) + ???? (탈 것을 가리키는 팔리어: yana ) + ??? (“날다”를 뜻하는 固有語) [41]

팔리어 外에도 몬어 에서 借用한 單語가 매우 많은데 몬族 은 如前히 下部 미얀마 地域에 사는 主要 種族이다. 몬語에서 借用한 單語는 英國 植民地 以前 數世紀 동안 버마語와 별다른 區分 없이 쓰였기 때문에 借用語인지에 對해서 分揀이 되지 않을 程度로 깊이 녹아 들어 있다. [42] 普通은 動物相 , 植物相 , 纖維, 飮食, 탈것, 工藝品, 建築 用語 等에서 나타난다. [15]

英語로부터 流入된 單語는 英國의 支配에 따른 自然的 結果로 近代的 機關이나 測定 單位, 技術 分野에 關聯된 用語는 다음과 같이 英語에서 借用한 것이 많다.

  1. 直接 借用語: 버마語에 發音 그대로 借用된 單語 [43]
    • democracy : “民主主義” → 버마語 ??????????
    • human rights : “人權” → 버마語 ????????????? ( ??? “人間” + ?????????? "權利")
  2. 混種語: 미얀마어와 英語 單語를 結合한 合成語 [44]
    • to sign: ?????????? [s?a?? t?o] ?????? (“ sign ”) + ???? (버마語 “登錄하다”).

相對的으로 例는 많지 않지만 산스크리트語 (宗敎), 힌디어 (飮食, 行政, 쇼핑), 中國語 (飮食, 놀이)에서 借用한 單語도 있다. [15]

英國의 植民統治機가 끝나자 미얀마 政府는 英語에서 流入된 單語 使用의 制限을 推進하여 새로운 單語를 導入하기도 했다. 代表的인 例는 텔레비전 인데 미얀마 書籍에서는 텔레비전이라는 單語 代身에 “그림을 보고, 소리를 듣는다”는 뜻을 지닌 漁具 ?????????????? 를 쓰도록 했다. [46] 다른 例는 “運送手段”을 나타내는 單語 ???? [j???] 를 쓰도록 한 것인데 會話體에서는 英語에서 借用한 ??? [ka] (英語의 自動車 “car”와 同一)를 使用한다. 이와 같은 政府의 言語 政策으로 英語 借用語는 新造語로 代替됐는데 代表的인 例는 英語의 “ University "이다. 現在는 팔리어에서 由來한 新造語 ????????? [te?k?ðo] 를 導入했는데 이 單語는 現在의 파키스탄 에 位置하던 古代 大學 都市 탁실라 의 綴字法에서 따온 것이다. [46]

陰性 [ 編輯 ]

子音 [ 編輯 ]

버마語 子音은 全部 33個가 있다. 有聲音 ? 無聲音 의 對立, 中國語 韓國語 에서의 有氣音 ? 無氣音 의 區別 等도 찾아볼 수 있다. [47]

초성 子音 이나 여러 子音이 묶음(cluster)으로 올 수 있으며 다음에 母音 이 와서 하나의 音節 이 된다. [48] 다른 아부기다 文字와 같이 母音은 發音區分 畿湖가 子音의 위, 아래, 앞, 뒤에 標示되어 있어 聲調가 區分되는데 子音은 自體的으로 아 소리를 달고 있기 때문에 母音과 結合하면서 변용되고 別途로 發音 區別 表示를 하지는 않는다. [47]

다음의 두 票는 國際音聲記號 上 區分한 것으로 文字의 소리에 따라 順序대로 構成한 것이다. [48] [49]

名稱 자음군
無氣音 ( ????? ) 有氣音 ( ???? ) 有聲音 ( ??? ) 非强音 ( ???????? )
喉頭音
( ????? )
????
? /k/ ? /k?/ ? /?/ ? /?/ ? /ŋ/
????? [ka? d?i] ????? [k?a? ?we] ???? [?a? ŋ??] ????? [?a? d?i] ? [ŋa?]
口蓋音
( ????? )
????
? /s/ ? /s?/ ? /z/ ? /z/ ? / ? /?/
????? [sa? lo??] ????? [s?a? le??] ???? [za? ?w??] ????????? [za? mj??? zw??] ?????/ ????? [?a? d?i]
齒莖音
( ?????? )
????
? /t/ ? /t?/ ? /d/ ? /d/ ? /n/
?????????????? [ta? t?l??? d?e??] ??????? [t?a? w??? b??] ????????? [da? j??? ?a??] ???????? [da? je m?o??] ????? [na? d?i]
齒音
( ????? )
????
? /t/ ? /t?/ ? /d/ ? /d/ ? /n/
??????? [ta? w??? bu] ??????? [t?a? s???? du] ????? [da? dwe] ???????????? [da? ?a?? t??a??] ???? [na? ŋ??]
純音
( ??? )
????
? /p/ ? /p?/ ? /b/ ? /b/ ? /m/
?????? ( [pa? za??] ) ??????? ( [p?a? ?o?? t?o??] ) ??????????? ( [ba? l?? t??a??] ) ?????? ( [ba? ?o??] ) ? [ma?]
기타
規則外
( ???? )
? /j/ ? /j/ ? /l/ ? /w/ ? /θ/
??????? [ja? p?? l??] ??????? [ja? ?a??] ???? [la? ŋ??] ?? [wa?] ?? [θa?]
? /h/ ? /l/ ? /?/
?? [ha?] ????? [la? d?i] ? [?a?]
兩脣音 齒音 齒莖音 後齒莖音
口蓋音
軟口蓋音
脣音化 軟口蓋音
聲門音 기타
非强音 [m?]
[m]
[n?]
[n]
[??]
[?]
[ŋ?]
[ŋ]
  [?]
破裂音 / 破擦音 [p?]
[p]
[b]
[t?]
[t]
[d]
[t??]
[t?]
[d?]
[k?]
[k]
[?]
[?]  
摩擦音   [θ]
[(ð)] 1
[s?]
[s]
[z]
[?]   [h]  
接近音   [(?)] 2 [j] [(w?)] 3
[w]
 
舌側音   [l?]
[l]
 
  1. [ð] 는 같은 音素로 발음되는 이음 에서 [θ] 有聲音을 除外하고는 흔치 않다.
  2. [?] 英語의 r에 該當한다 볼 수 있는 治經接近音 은 버마語에서 드물다. 산스크리트語나 팔리어의 發音이 남아 있는 장소명 或은 英語에서 借用한 單語에서만 나타난다.
  3. [w?] 二重母音은 現代 미얀마에서는 거의 사라져서 外國語 이름이나 一部 固有語를 除外하고는 많지 않다.

母音 [ 編輯 ]

버마語는 아부기다 文字와 恰似한 特性을 갖고 있어 子音이 爲主이며 母音은 子音과 딸려 써야 하기 때문에 單獨으로 쓸 수 없다. 母音은 子音의 아래, 위, 아래, 오른쪽에 位置하여 結合한다. [50]

例를 들어 미얀마의 公式 貨幣인 미얀마 짯 은 현지어로 ???? 이다. 앞글字 ?? ( kya )는 子音 ? (ka)에 모음 ah가 붙어 kya 가 된 것이다.

單母音 二重母音
前舌母音 後舌母音 前舌母音 經過音 後舌母音 經過音
高母音 [i] [u]
中古母音 [e] [o] [ei] [ou]
中母音 [?]
重低母音 [?] [?]
低母音 [a] [ai] [au]
  • 單母音
  • a : "아"
  • i : "李"
  • u : "郵"보다 입술을 더 둥그렇게 한다.
  • e : "에"보다 입을 平平하게 한다.
  • E : "에"보다 입을 크게 벌린다.
  • o : "오"보다 입을 크게 벌린다.
  • O : "오"보다 입술을 둥그렇게 한다.
  • A : 위 母音들이 弱化되어 생기는 非强勢母音. IPA의 “슈와( schwa )”.
  • 鼻母音:‘aN’, ‘iN’, ‘eiN’처럼 母音의 끝이 鼻音化(鼻音化)한다. "-m", "-n", "-ŋ"은 現代 버마語에는 그 區別이 사라져 모두 비음화된다. 버마語의 二重母音, 單母音은 iN , auN , aiN , aN , eiN , ouN , uN(wuN) 을 들 수 있다.
  • 聲門閉鎖音: “앗!”은 목구멍을 통해 느껴지는 소리다. "앗"의 "ㅅ"받침에 가까운 소리로서 "-p", "-t", "-k", "-s"의 끝音이 남아 있는 一部 外來語(/bas ka:/)를 除外하면 聲門閉鎖音으로 變化. 子音嗜好에 아닷(Atha?)과 呼稱 補助記號를 標示한다.
  • 앞의 모음 "i"에 "-p" 그리고 "-t"와 連結되면 "-ei"
  • 앞의 모음 "-u"에 "-p" 그리고 "-t"와 連結되면 "-ou"
  • 앞의 모음 "-O"에 "-k"가 連結되면 "-au"
  • 앞의 모음 "-o"에 "-k"가 連結되면 "-ai"

聲調 [ 編輯 ]

버마語는 聲調言語에 屬하며 母音의 差異에 따라 意味가 달라지므로 音節 의 높낮이, 持續 程度, 强勢, 發聲 等에 影響을 받아 뜻이 달라진다. 그러나 一部 言語學者들은 버마語를 音譯語 의 一種으로 보기도 한다. [51] 버마語는 文字에 聲調 表記가 나타난다. 子音이 自體的으로 갖고 있는 소리(A)가 있다 할 지라도 結合 方式에 따라서 聲調가 달라지므로 意味 또한 달라진다. [52] 中國語 와 같이 聲調에 따라 뜻이 달라지므로 같은 Ah 소리라 하더라도 하강조 Ah (↘)는 바보, 저平調 Ah 는 말싸움, 高平調 Ah (↗)는 自由時間을 갖다의 凍死 뜻이 된다. [53]

  • 저平調: 低音을 維持하여 發音한다. 낮고 길게 높낮음이 거의 없다. 글字에 別途의 表記를 하지 않는다.
  • 高平調: 高音을 維持하여 發音한다. 單語가 文章 끝에 오면 내려가기도 한다. 콜론과 비슷한: 가 標示된다.
  • 하강조: 高音에서 急激히 下降한다. 높고 짧게 發音한다. 이 境遇 글字 아래에 點을 찍는다. [54] [55]

口語體 버마語에 關聯하여 言語學者들은 實質的으로 서너個의 聲調라기보다는 두 個의 聲調가 存在한다고 보는데 高平調와 一般平調로 본다. [註解 2] 高平調 語彙란 破裂音 이나 音높이가 높은 狀態로 終結하는 單語를 말하며 一般平調의 單語는 相對的으로 소리가 낮거나 音幅 變化가 없는 單語를 가리킨다. [57] 成鳥의 形態와 個數에 對한 意見 差異가 있는 것은 네 個의 聲調가 子音과 母音의 結合에 依해 만들어지는데 發音 時 聲調( tone ), 持續( duration ), 强盜( intensity ), 母音의 性格( voice quality ), 結合構造( syllable structure ) 等 다양한 部分에 相互作用을 하기 때문으로 音聲을 分析할 때 文法敎本과 差異가 나타나는 境遇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56] [58]

音節 構造 [ 編輯 ]

버마語의 音節 構造 는 子音(半母音)母音(모음+자음)의 順으로 結合하며 초성 뒤에 半母音 이 結合한다. 中性 宗姓 을 일컫는 라임은 單母音 으로 構成되거나 單母音과 子音이 만나며 二重母音人 境遇 子音 하나를 包含한다. 終聲에 올 수 있는 子音은 /?/ /?/ 둘 뿐이다. [59] [60] 이때 /?/ 는 鼻音이 强한 n 소리를 나타내며 二重母音 뒤에 올 /N/이 올 境遇 軟口蓋音 이 된다. 그렇지 않을 境遇에는 혀끝에서 발음된다. [61]

  • 子音+모음 /me/ “少女”
  • 子音+半母音+모음 /mje/ “地球”
  • 子音+半母音+모음+자음 /mj??/ “눈”
  • 子音+母音母音+子音 /ma??/ 젊은 男性을 指稱하는 말
  • 子音+半母音+모음+모음+자음 /mja??/ “웅덩이”

文字 [ 編輯 ]

버마 文字의 使用例

句讀點 에는 마침標와 쉼標를 쓰며, 버마 特有의 數字도 있다.

버마 文字는 33個의 文字와 12個의 母音으로 構成되며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쓴다. [62] 띄어쓰기 가 使用되지 않으며 現代 버마語에서는 可讀性을 높이기 위해 절이 끝난 뒤에 若干의 空間을 두기도 한다. [6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버마語는 原形으로 생긴 것이 特徵이며 아부기다 의 特性을 갖고 있어서 모든 子音은 딸림 모음 a [a?] 또는 [?] 를 包含한다. [64] 子音은 6個의 子音 그룹으로 나뉘는데 이를 ??? 라 稱하며 발음되는 곳에 따라 區分한다. 聲調나 모음 變化는 왼쪽에서 文字의 上下左右에 標示된다. [15]

綴字法 上으로는 中間 子音 소리 [-l-] [-?-] 가 합쳐진 것에 따른 것으로 文法 構造나 音聲學的 特性이 全般的으로 變한 것은 아니다. [15] 文語體는 비음 소리( [-n, -m, -ŋ] )를 다 包含하고 있지만 口語體에서는 [-?] 하나로 表現된다. 單, 응 소리 [-?] 는 狂母音 [i, e, ?] 等으로 表現된다. 類似하게 다른 子音 소리 [-s, -p, -t, -k] 는 聲門閉鎖音 [-?] 으로 縮小됐다. 類似한 소리의 變化는 上下이어 廣東語 에서도 나타난다.

버마 문자는 文字 自體로 發音하는 境遇에 모음 a를 同伴하며 基本 文字에 特定의 符號를 添加하여 만든다. [65]

文法 [ 編輯 ]

버마語의 基本語順은 主語-目的語-動詞이다. 代名詞는 聽衆의 地位와 性에 따라 變化한다. 基本的으로 버마語 語彙는 단음절이며 各 單語가 다른 言語와 結合 時에는 接頭語 로 使用 可能하다. [66] 動詞 語尾變化가 없는 代身에 凍死 되에 接尾辭 가 붙는다. 例를 들어 "먹다"의 凍死 kha ??? 는 變化 時 動詞 自體가 變化하지는 않는다.

形容詞 [ 編輯 ]

버마語로 表記한 數字(0-9)

미얀마어 自體에는 形容詞가 없으며 實狀은 動詞가 名詞에 붙어서 形容詞의 뜻을 나타내게 하는데 [67] 이를 表現하는 不變化詞가 ??? tai [d??] 인데 文語體에서는 ??? tau: [θ??] 이다. 사람을 뜻하는 單語 lu ( ?? )가 "아름다운"을 뜻하는 形容詞 ????????? 와 結合하여 "아름다운 사람"이라 稱할 때에는 아래와 같이 表現한다.

口語體: ????????? hkyau: tai. lu [t???? d?? lu]
文語體: ????????? hkyau: so: lu
풀이: "아름다운" + 不變化詞 + "사람"

卽, 不便華奢가 形容詞와 名詞 사이에 들어가서 意味를 만드는 것이다. 形容詞가 名士와 結合하여 合成語 를 만들기도 하며 이때에는 不變化詞 없이 두 單價 붙어 "美人"이라는 뜻이 되는데 이때에는 名士+形容詞의 順序이다.

?????? lu hkyau: [lu t????] "사람" + "아름답다").

比較級은 一般的으로 "가" + ?????? htak pui [t?e? po] + 形容詞의 順 [67] 으로 表現되며 "가"는 比較의 對象을 指稱한다. 最上級은 接尾辭 ? a. [??] + 形容詞 + ???? hcum: [zo??] 의 巡으로 表記한다. 搜査 는 限定하는 名詞에 따라 붙는데 聲調의 差異가 나타난다. 저坪型에서 下降型으로 바뀌는 形態를 뛰는데 周邊 單語에 따라 强弱이 바뀌기도 한다.

凍死 [ 編輯 ]

버마語는 SOV型 言語이기 때문에 動詞가 마지막에 나타나므로 主動詞에 한 個 或은 그 以上의 不變化詞 或은 語尾가 붙어서 文章이나 절의 마지막을 標示한다. [68] 動詞에 붙는 語尾는 매우 다양하며 代名詞의 쓰임새에 비해 動詞의 쓰임새가 매우 發達되어 있는 言語이다. [69]

單語 構造에 따라서는 單一 動詞와 다른 2個의 動詞가 結合된 複合動詞로 區分되며 2音節, 3音節, 4音節 複合動詞가 있다. 3音節 複合動詞에는 2音節 名詞와 단음절凍死 或은 단음절形容詞가 結合하여 이뤄진다. 2音節 名詞의 境遇 눈이나 얼굴, 性格 等의 身體에 關聯된 單語들이 包含되는 境遇가 많다. [70]

버마語 動詞의 語根에는 時祭, 意圖, 禮節, 書法 等을 나타내는 語尾가 붙으며 文語體와 口語體의 形態가 다른 境遇도 있다. 動詞에 어미가 없는 境遇는 命令形에 限定된다. [71] 一例로, "먹다"를 뜻하는 凍死 "싸" ??? 가 原形 그대로 쓰일 때는 먹어라의 뜻이 된다.

構造上 動詞가 文章 끝에 있고 動詞 語尾가 붙기 때문에 이를 빼고 봐야 本動詞를 찾을 수 있으며 後置詞나 副詞語句가 本動詞 앞에 있을 수 있기 때문에 綿密히 봐야 한다. [71] 또한 動詞 가운데에서도 다른 動詞의 補格으로 或은 다른 動詞를 取할 수 있는 動詞와 그렇지 않은 動詞가 있다. 一例로, 살다를 뜻하는 凍死 " ne "와 " khyaN " 둘 中 ne 動詞는 다른 動詞의 補格으로 使用될 수 있지만 凍死 " khyaN "는 單獨으로만 쓰인다. 이때 補格으로 쓰이게 되는 動詞는 單獨으로 쓰일 때의 意味와 달라질 수 있으며 이는 文章의 中心 意味가 本動詞에 있기 때문이다. [72]

時祭의 境遇에 接尾語 ??? tai [d??] 는 現在 時祭 或은 一般 事實 技術을 뜻하며 ?????? sa: tai [sa d??] 는 "나는 먹는다"의 뜻이다. 接尾語 ??? hkai. [???] 는 過去 時制를 나타낸다. 但, 이 어미는 過去 時制에 恒常 붙는 語尾는 아니다. 進行形을 뜻하는 語尾는 ?? ne [ne] 이며 英語式 進行形에 該當한다.

???????? ca: ne tai [sa ne d??] "나는 먹고 있다."

不變化詞 ??? pri [bji] 는 主語가 했어야 하는 일이 只今 進行中임을 나타내는 語尾이며 ??? mai [m??] 는 未來型 어미를 가리킨다.

?????? ca: mai [sa m??] "나는 먹을 것이다"

否定語 不變化詞는 크게 세 種類가 있으며 ma ( ? ), nay ( ??? ), bu ( ??? )가 있다. 이 中 마는 接頭語로 오며 나이는 否定命令形을 標示하는 語尾이다. [73]

??????? ma.ca: nai. [m?sa n??] "먹지 마라"
??????? ma.ca: bhu: [m?sa bu] "나는 먹지 않는다"

名士 [ 編輯 ]

名詞에 接尾辭 twe ( ??? )가 붙어 複數型을 만드는데 이 形態 또한 文語體와 口語體 간 사이가 나타난다.

物質名詞와 같이 不可算名詞人 境遇 該當 接尾辭가 붙지 않는다.

"다섯 名의 아이들"
???? ? ?????
hka.le: nga: yauk
[/k??le] [ŋa] [ja??]
아이 5 分類史

버마語는 인도유럽어족 言語와 같이 性變化를 하지는 않지만 動植物의 境遇에는 特別히 區分이 이뤄지곤 한다. 수놈인 境遇에는 普通 띠( ??? ), [t?i] ) 파( ? , [p?a?] ), 피( ??? , [p?o] )가 쓰이며 암놈인 境遇에는 마( ? , [ma?] )가 쓰인다.

數分類史 [ 編輯 ]

이웃 國家의 言語인 泰國語 벵갈어 , 中國語 와 같이 버마語 또한 數分類史 가 있다. 버마語는 韓國語 와 같이 "名詞 + 數冠形詞 + 分類史"로 表現을 하기 때문에 "學生 두 名"과 같은 形態가 나타난다. [74] 數를 셀 때에는 앞에 數分類史가 붙어 기능한다. [75]

基本 形態는 歲야 하는 名詞 + 수 形容詞 + 分類史인데 0으로 끝나는 어림數日 境遇만 除外하여 이때에만 名詞 + 分類史 + 수 形容詞의 順序를 띤다. 單, 10이 붙을 때에만 基本 形態를 따른다. [68]

時間 單位인 "時間"( ???? ), "일"( ??? ), "月"( ? )에는 數分類史가 붙지 않는다. 다음은 一部 數分類史의 例이다.

버마語 MLCTS IPA 用法 備考
????? yauk [ja??] 사람 口語體
?? u: [?u] 사람 文語體 및 宗敎人 對象
??? pa: [ba] 사람 佛敎 僧侶 에만 使用
????? kaung [ka??] 動物
?? hku. [k??] 一般 分類史 動物을 除外하고 大部分의 名詞와 竝用
???? lum: [lo??] 原形의 物體
???? pra: [pja] 平平한 物體
?? cu. [s?] 무리지어 있는 對象 [z?] 로 竝用 可能

造語 [ 編輯 ]

버마語는 造語 使用이 매우 많으며 600年 以上 存在한 것으로 推定되는데 [6] 이를 버마語에서 ??????? 라 指稱한다. 自然히 이들 單語는 韓國語 의 調査와 같이 別途로 解釋이 되지 않으며 單語 앞이나 뒤에 位置하여 尊敬, 時祭, 書法 等을 나타낸다. [6]

1993年 出刊된 《미얀마어-英語 辭典》은 449個의 造語가 있다고 明示하고 있으며 造語 또한 文魚와 口語의 差異가 相當하다. [6]

一部 造語는 品詞 를 바꾸는 役割을 하는데 가장 흔한 것은 "어"( ? [?] )로 動詞나 形容詞 앞에 붙어서 名詞나 動詞로 變換한다. 例를 들어 "들어가다"의 뜻을 지닌 버마語 ??? ? 가 붙으면 出口( ???? )라는 뜻이 된다. "山"( ???? [sa?] )이라는 造語는 命令法을 나타내는 造語이다. 動詞 變化 時에 結合하는 境遇도 찾을 수 있다.

代名詞 [ 編輯 ]

普通 主語에 代名詞가 쓰여 使用되며 命令形이나 口語體에서는 省略되는 것도 흔하다. 一般的으로 口語體에서는 主語에 ? ( [?a?] )가, 文語體에서는 , ??? ( [θi] )가 반드시 붙어야 한다. 目的語로 쓰이는 代名詞에는 바로 뒤에

年長者, 先生님, 異邦人 等 尊稱語가 必要한 境遇에는 3人稱 代名詞를 使用한다. 韓國語의 "저"와 類似한 表現으로 男性의 境遇 쩌노( ????????? ), 女性은 쩌마( ?????? kya. ma. )라 稱한다. 이 單語는 "當身의 下人"이란 뜻이며 自身을 낮추는 表現이다. [76]

손아래 사람이나 親舊와 이야기할 때에는 나를 뜻하는 單語 응아 ?? ( [ŋa] ) 그리고 너를 뜻하는 單語 닌 ??? ( [n???] )이 쓰인다. 그럼에도 3人稱 話者 表現이 쓰이기도 한다. [77] 基本的인 代名詞는 다음과 같다.

人稱 斷水 復讐*
非格式 格式 非格式 格式
1人稱 ??
nga
[ŋa]
?????????
kywan to
[t??n??]

??????
kywan ma.
[t??ma?]
??????
nga tui.
[ŋa do?]
?????????????
kywan to tui.
[t??n?? do?]

??????????
kywan ma. tui.
[t??ma? do?]
2人稱 ???
nang
[n???]

????
mang:
[m???]
???????
khang bya:
[k??mja]

????
hrang
[????]
???????
nang tui.
[n??? do?]
???????????
khang bya: tui.
[k??mja do?]

????????
hrang tui.
[???? do?]
3人稱 ??
su
[θu]
(?)???
(a.) sang
[(??)θi?]
??????
su tui.
[θu do?]
???????
sang tui.
[θi? do?]
* 複數型 造語 基本形은 ???? ( tui. )이며 口語體에서는 ?? (?? dui. )를 쓴다.
男性話者 使用
女性話者 使用

다른 範疇의 代名詞는 僧侶를 만났을 때 使用하는 代名詞인데 bhun ( ?????????? )이 있다. 이 單語는 僧侶를 뜻하는 單語 phun ( ????????? )에서 由來한 것으로 그 身分에 따라 쓰이는 單語가 조금씩 다르다. 一例로 a.hrang bhu.ra ( ?????????? , [?????? p??ja] )는 "나리"라는 뜻이다. 스스로를 가리킬 때에는 "司祭"를 뜻하는 單語 타 파니 ( ????????? ) 或은 da ka ( ??? , [d??a] 가 쓰이며 寄與者라는 뜻이다. 스님과 얘기할 때 쓰이는 代名詞는 다음과 같다.

人稱 斷水
非格式 格式
1人稱 ?????????
ta.pany. do
???
da. ka
[d??a]
2人稱 ??????????
bhun: bhun:
[p?o?? p?o??]

(??)???????
(u:) pasang:
[(?u) b?zin]
??????????
a.hrang bhu.ra:
[?????? p??ja]

???????
chara dau
[s??jad??]
造語 ma. ? 는 女性 話者의 境遇 接頭語로 쓰임
住持 스님과 같이 큰스님의 境遇에 使用됨

文章에서 代名詞가 下平聲(低音)으로 發音될 境遇 所有格은 省略된다. 但, 口語體에서만 發生하며 文語體에서는 이때 이(?, [?] )를 使用하여 후치刑으로 所有格을 標示한다.

  • ?? [ŋa] "나" + ??? (所有格 후치型) = ??? [ŋa?] "나의"
  • ??? [n???] "너" + ??? (所有格 후치型) = ???? [n???] "너의"
  • ?? [θu] "그, 그女" + ??? (所有格 후치型) = ??? [θ?] "그(女)의"

親族 名稱 [ 編輯 ]

親族 名稱은 이라와디 溪谷 一帶의 버마語 話者 가운데에서도 發音의 差異가 있다. 上部 미얀마와 下部 미얀마의 差異點이 있다면 만달레이를 中心으로 한 北部 地域에서는 如前히 母系와 父系의 親戚 名稱을 달리 부른다는 데 있다.

名稱 上部 미얀마 下部 미얀마 方言
  • 큰姑母
  • 작은 姑母
  • 큰姨母
  • 작은 姨母
  • 큰 叔父
  • 작은 叔父
  • 外三寸
  • 작은外三寸
用語 上部 미얀마 地域의 表現 標準語
  • 오빠
  • 男동생(話者가 男子)
  • 男동생(話者가 女子)
  • 누나
  • 언니
  • 女同生(話者가 男子)
  • 女同生(話者가 女子)

搜査 [ 編輯 ]

버마語 數詞는 騎手와 鉏數를 나타낸다. 1부터 10까지는 數分類史와 結合 時 특별한 變化가 없지만 다른 數字의 境遇 形態 變化가 나타나기도 한다. [78]

數字 버마語
버마語
表記
表記法
( MLCTS )
IPA 發音
0 ? ??? 1
(su.nya.)
[θo???a?] 뚜냐
1 ? ???
(tac)
[t??]
2 ? ????
(hnac)
[n???] 흐닛
3 ? ????
(sum:)
[θo??]
4 ? ???
(le:)
[le]
5 ? ???
(nga:)
[ŋa] 응아
6 ? ??????
(hkrauk)
[t??a??]
7 ? ?????
(hku. hnac)
[k???? n???] 2 쿠닛
8 ? ????
(hrac)
[???]
9 ? ????
(kui:)
[ko]
10 ?? ???/????
(hcai/ta.hcai)
[s???/t?z??] 새, 띳새
  1. 0을 의미하는 單語 뚜냐는 산스크리트語 ??nya에서 왔다. [79]
  2. 數字 7은 콘으로 發音하기도 한다.

疊語 [ 編輯 ]

남인도어 系統에서 흔히 나타나는 疊語 現象은 버마語에서 흔히 나타나며 形容詞 意味를 强化하거나 弱化하는데 쓰인다. [63] 例를 들어 “아름답다”의 뜻을 지닌 單語( ???? , [t????] )가 두 番 붙어서 매우 아름답다의 뜻이 된다. 特別히 두 音節로 된 形容詞는 두 番 붙어서 府使 로 기능하게 되는데 이는 動詞나 名詞에도 適用된다. 一例로 자꾸( ?? )이라는 뜻을 지닌 單語가 두 番 붙으면 “자꾸자꾸”( ???? )라는 뜻이 된다.

一部 名詞는 複數型 表記를 위해 疊語가 되는데 國家를 뜻하는 單語 ( ???? , [pji] )는 疊語가 되어 “國家”이라는 뜻이 되어 “國際的인”( ???????????????? , [?pji pji s?a?? ja] )이라는 뜻이 된다.

로마字 表記法 [ 編輯 ]

버마語 로마字 表記法 은 繼續的인 論議가 있었으나 公式的으로 마련되지는 않았다. [63] [80] 이는 로마字 表記法으로 버마語를 옮기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팔리어와 連繫하여 미얀마 言語委員會 戰死 시스템 이 미얀마 言語 委員會에 依해 提唱되었다.(1990) 但, 이는 口語體의 特性을 反映하지는 못하고 있으며 音聲學에 비해 綴字法에 焦點을 맞춘 것이 限界이다. [81]

標準化된 로마字 表記法이 없기 때문에 이름 ???? ( [w???] )은 英語 로 옮겼을 時 Win , Winn , Wyn , Wynn 等으로 다양하며 ????? ( [k?a??] )는 Khaing , Khine , Khain 으로 옮겨진다.

컴퓨터 [ 編輯 ]

버마語는 쿼티 字板으로 使用 可能하며 가장 널리 使用되는 폰트는 Zawgyi 인데 이 폰트는 유니코드 와 互換되지는 않으며 英語로 表現되도록 하는 機能이 있다. [82] 유니코드와 互換되는 폰트는 Padauk 이며 모든 文字를 表記하기 때문에 버마語와 聯關된 少數 言語 또한 表現할 수 있다. [82]

윈도 體制에서 使用하는 버마語 키보드는 미얀마 NLP硏究센터( Myanmar NLP Research Center )에서 開發하여 使用 可能하다. [83]

버마語 硏究 [ 編輯 ]

런던 大學校 東洋 아프리카 硏究 學院 은 버마語를 비롯해 東南아시아 國家들의 여러 言語를 敎育하는 代表的인 敎育 機關이며 [84] 代表的인 버마語 學者인 존 誤켈이 敎授로 活動하기도 했다. 美國 의 代表的인 버마語 敎育硏究機關은 노던일리노이 大學校 1986年 設立된 미얀마學 센터이며 이곳에서 The Journal of Burma Studies 를 發行하고 있다. [85]

韓國語 話者 內에서의 미얀마어 敎育은 大韓民國 釜山의 부산외국어대학교 미얀마語課가 唯一하며 1992年 設立됐다. [86]

各州 [ 編輯 ]

內容主
  1. 不變化詞(或은 素砂) 는 語形이 바뀌지 않는 單語를 일컬으며 버마語는 韓國語 와 같이 SOV型 言語이기에 動詞 뒤에 動詞의 時制를 나타내는 言語가 不變化詞로 나타난다.
  2. 1920年 Taylor L. F.의 硏究 以來 여러 學者들은 버마語의 聲調를 5個, 3個, 4個 等으로 다르게 解釋하였다. 一例로 Firth(1945)는 中立母音을 別途의 聲調로 보아 버마語 聲調가 5個라고 主張했다. [56]
參照週
  1. (英語) Ch.5Language Families 5쪽. 오슬로대學校 出版部
  2. Nationalencyklopedin "Varldens 100 storsta sprak 2007" The World's 100 Largest Languages in 2007
  3. 或은 /mja?.ma.ba.θa/ , [mja?.ma.ba.θa] ; /mj?.ma.ba.θa/ , [mj?mabaθa]
  4. Chapter XV, Provision 450, 미얀마 聯邦 憲法(2008)
  5. Chang 2003 .
  6. (英語) 폴렛 好플, 〈Burmese Particles as Boundary Marking Units of Text〉, 1-3쪽, SIL International and Payap University Linguistics Institute
  7. Harvey 1925 , 307쪽.
  8. Aung-Thwin 2005 , 167?178, 197?200쪽.
  9. Lieberman 2003 , 136쪽.
  10. (英語) Michael Aung-Thwin, Maitrii Aung-Thwin, 《A History of Myanmar Since Ancient Times: Traditions and Transformations》, 328쪽
  11. (英語) A Making of Modern Burma 탄 밋油,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英語) Register in Burmese Archived 2014年 3月 30日 - 웨이백 머신 데이빗 브래들리(1982年), 127쪽
  13. (英語) Languages, Identities, and Education in Relation to Burma/Myanmar Archived 2014年 3月 30日 - 웨이백 머신 Thein Lwin, 2011
  14. (英語) Burma(Country Report 英國國境靑, 90-94쪽. 2012-02.
  15. Herbert & Milner 1989 .
  16. Bradley 1993 , 147쪽.
  17. (英語) John Okell, 〈Three Burmese Dialects〉, University of London
  18. (英語) Okell, John (1995). “Three Burmese Dialects” (PDF) .  
  19. (英語) Ethnic Group in Burma Archived 2014年 3月 30日 - 웨이백 머신 마르틴 스미스, Anti-slavery International ISBN 0-90918-34-9
  20. (英語)Hnin Tun, San San, 《Burmese Phrasebook 》, 9쪽, 2001.
  21. (英語) E. J. S. Henderson, South-East Asian Linguistics(1989), 147-148쪽, 東洋 아프리카 硏究 學院
  22. (英語) 그래햄 투르굿, 랜디 J. 라폴라, 《The Sino-Tibetan Languages》, 195쪽. 2006
  23. Lieberman 2003 , 202-206쪽.
  24. (英語) The Myeik(Beik) Dialect of Burmese Archived 2018年 11月 3日 - 웨이백 머신 카토 아츠히코, 오사카大學校, Journal of Asian and African Studies, 83號, 2012
  25. Lewis 2009 .
  26. Bradley 2010 , 99쪽.
  27. Bradley 1995 , 140쪽.
  28. Bradley 1996 , 746쪽.
  29. Mathias & San San 2021 , 8쪽
  30. Hnin Tun & San San 2001 , 39쪽.
  31. Taw Sein Ko 1924 , 68-70쪽.
  32. Hnin Tun & San San 2001 , 48-49쪽.
  33. Hnin Tun & San San 2001 , 26쪽.
  34. Houtman 1990 , 135-136쪽.
  35. Herbert & Milner 1989 , 5?21쪽.
  36. Aung Bala 1981 , 81?99쪽.
  37. Aung Zaw 2010 , 2쪽.
  38. Wheatley 2013 .
  39. Wheatley & Tun 1999 , 64쪽.
  40. UC 2012 , 370쪽.
  41. Wheatley & Tun 1999 , 65쪽.
  42. Wheatley & Tun 1999 .
  43. Wheatley & Tun 1999 , 81쪽.
  44. Wheatley & Tun 1999 , 94쪽.
  45. (英語) 檢索結果
  46. Wheatley & Tun 1999 , 68쪽.
  47. An insatiable appetite for ancient and modern tongues-Burmese
  48. Antony Dubach GreenWord, 〈Foot, and Syllable Structure in Burmese〉, 포츠담大學校
  49. “캠브리지대學校 言語學센터” . 2014年 7月 28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4年 7月 23日에 確認함 .  
  50. (英語) Language Group Specifi Informational Reports - Burmese 로드아일랜드 大學校
  51. Jones 1986 , 135-136쪽.
  52. 미얀마어
  53. (英語) Burmese - Tones
  54. 최재현, 〈基礎 미얀마어 會話〉(2013), 10-11쪽, 三知事
  55. (英語) Burmese classification
  56. U Thein Tun, 〈Some acoustic properties of tones in Burmese〉
  57. Taylor 1920 , 91?106쪽.
  58. Gruber, James Frederick, An Articulatory, Acoustic, and Auditory Study of Burmese Tone, 2011, 조지타운대學校
  59. 안토니 더바크 그린, 〈Word, Foot, and Syllable structure in Burmese〉, 포츠담 大學校, 1-2쪽
  60. 윌리암 코르닌, 《Outline of Burmese Grammar》, Language , 20-34쪽. 1944
  61. (英語) J. 프레이저 베넷(Bennett), F. K. 레흐만(Lehman), 〈Towards an optimality-theoretic account of Burmese sandhi effcts 〉, Southeast Asin linguistics society IV , 1994.
  62. (英語) Burmese Archived 2014年 3月 30日 - 웨이백 머신
  63. (英語) The Unicode Standard, Ver.6.1, Ch.11 Southerneast Asia Scripts, 368-371쪽
  64. (英語) Burmese script-Notable features Archived 2012年 4月 28日 - 웨이백 머신 Omniglot.com
  65. 최재현, 《가장 알기 쉬운 基礎 미얀마어 會話》, 7-8쪽
  66. Taw 1924 , viii쪽.
  67. (英語) Hnin Tun, San San, 《Burmese Phrasebook 》, 33쪽, 2001.
  68. (英語) UCAL Language Material Project - Burmese Archived 2014年 3月 29日 - 웨이백 머신 UCLA
  69. (英語) Win Win Thant, Tin Myat Htwe, Ni Lar Thein, 〈Syntactic Analysis of Myanmar Language〉, University of Computer Studies Yangon, Myanmar
  70. 최재현,〈미얀마어에 있어서의 複合動詞의 構造에 關한 硏究〉, 《外大語文論集》, Vol.20(2005), 59-76쪽
  71. (英語) Thet Thet Zin, Khin Mar Soe, Ni Lar Thein, 〈Myanmar Phrases Translation Model with Morphological Analysis for Statistical Myanmar to English Translation System〉, University of Computer Studies, Yangon, Myanmar, 134-135쪽
  72. Graham Thurgood, 〈BURMESE HISTORICAL MORPHOLOGY〉, California State University, Fresno
  73. 존 벤자민스, 《Aspect in Burmese: Meaning and Function》, 41-43쪽
  74. 퓨퓨민, 〈韓國語와 미얀마어 分類史의 對比 硏究〉, 圓光大學校 , 2011年, 17쪽.
  75. (英語) 앨리스 비트란트, 〈Classifier Systems and Noun Categorization Devices in Burmese〉, 130-131쪽. Lacito-CNRS / Universite Paris VIII
  76. Bradley 1993 , 157?160쪽.
  77. Bradley 1993 , 160쪽.
  78. (英語) 메리 로사몬드 해스(Mary Rosamond Hass), 《Language, Culture and History: Essays》, 634
  79. (英語) Learn Burmese
  80. (英語) Writing systems: Conversion of names from one writing system into another language romanization UNstats.un.org, 1982
  81. (英語) 존 誤켈, 《A Guide to the Romanization of Burmese》(2002), "3. SURVEY OF THE THREE METHODS OF ROMANIZATION 3.l Transliteration", 7쪽
  82. (英語) 미얀마어 폰트
  83. (英語) Unicode-버마語
  84. (英語) Burmese studies Archived 2014年 4月 7日 - 웨이백 머신
  85. (英語) 노던일리노이大學校 미얀마學 센터 Archived 2006年 9月 1日 - 웨이백 머신
  86. “부산외국어대학교 미얀마語學과” . 2014年 4月 15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4年 3月 31日에 確認함 .  

參考 資料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