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쿠가와 히데타다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도쿠가와 히데타다
?川 秀忠
도쿠가와 히데타다
도쿠가와 히데타다
세 잎의 접시 꽃 가몬
세 잎의 접시 꽃 가몬
第2代 에도 幕府 程頥大將軍
在任 1605年 ~ 1623年
前任 도쿠가와 이에야스
後任 도쿠가와 이에미쓰
無事 情報
時代 아즈치·모모야마 時代 ~ 에도 時代 電氣
出生 1581年 7月 31日
陶土美國 하마마쓰
死亡 1632年 3月 31日 (51歲)
에도 城
幕府 에도 幕府
氏族 도쿠가와 家門
父母 도쿠가와 이에야스
사이고노쓰보네
配偶者 스겐인
子女 조마루 , 이에미쓰 , 多다나가 , 호시나 마사유키
墓所 조조지

도쿠가와 히데타다 ( 日本語 : ?川 秀忠 , 1581年 7月 31日 ~ 1632年 3月 31日 , 在位 1605年 ~ 1623年 )는 에도 幕府 第2代 쇼군 으로, 도쿠가와 이에야스 의 三南이다. 1605年 도쿠가와 이에야스 로부터 程頥大將軍 (征夷大將軍)의 稱號를 물려받아 쇼군이 되었다. 1614年 1615年 2回에 걸친 오사카 攻擊에 쇼군이자 總大將으로 參加, 도요토미 家門의 마지막 堡壘를 무너뜨렸다. 1623年 쇼군의 地位를 아들 도쿠가와 이에미쓰 에게 넘겨주었으나, 아버지가 그랬던 것처럼 1632年 死亡할 때까지 實質的인 權力을 維持하였다.

基督敎 에 對해서는 儒敎 思想을 國家의 統治 理念으로 公表하고, 基督敎 禁令을 平民들에게까지 適用하여 排斥하였다. 이를 爲해서 도쿠가와 바쿠후 는 平民들이 마을의 에 施主하게 하고, 절에서는 施主를 낸 이들의 名單을 내도록 했다. 또한 葬禮 와 祭祀도 僧侶 가 代行하게 했는데, 사람이 죽으면 火葬 後 遺骨을 절에 모시는 日本의 傳統 은 여기에서 由來한다. 이러한 基督敎 排斥 政策은 思想을 一致시키기 爲한 것이었다. [1]

그의 墓所는 도쿄 미나토구 의 조조지(?上寺)에 있다.

生涯 [ 編輯 ]

幼年期 [ 編輯 ]

하마마쓰 性

덴쇼 (天正) 7年 4月 30日 ( 1581年 5月 31日 ) 도쿠가와 이에야스 의 3男으로 陶土美國 하마마쓰(浜松)에서 出生하였다. 生母는 이에야스의 側室 사이고노 쓰步네 이다. 사이고노 쓰보네의 親庭인 사이고 氏는 규슈 기쿠치 氏(菊池氏)의 一族으로, 무로마치 時代 初期에는 도쿠가와 家門의 本據地인 미카와 슈고다이 이기도 했던 名門家였다.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는 히데타다가 태어나기 前 이미 嫡長子인 마쓰다이라 노부야스 와 次男 誤記마루(於義丸, 後日의 유키 히데야스 ) 두 아들이 있었으나, 히데타다가 태어난 해 마쓰다이라 노부야스가 死亡하고 傲氣마루는 後日 도요토미 히데요시 의 養子로 보내졌다가 유키 씨(結城氏)의 後嗣를 이으면서 名文 血族이자 順序상으로도 長男이 된 히데타다가 事實上 이에야스의 後繼者로서 待遇받게 되었다. 乳母는 오오바노 쓰步네 이며, 兒名은 나가마쓰 (長松), 다케치요 (竹千代)이다.

덴쇼 18年( 1590年 ) 誤다와라 征伐 즈음에 事實上 도요토미 히데요시 의 人質로써 교토 에 上京하여 冠禮를 치른 뒤 오다 老父카쓰 의 딸이자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養女인 誤히메(小?, 슌쇼인春昌院)와 婚姻하였다. 그러나 以後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오다 老父카쓰 사이가 틀어지면서 離婚하였다. 以後 주나곤 에 敍任되어 에도노 주나곤(江?中納言)으로 불렸으며 도요토미 히데요시로부터 하시바(羽柴) 星氏가 주어졌다. 分路쿠 4年( 1595年 )에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또 다른 養女이자 오다 노부나가 의 조카딸로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愛妾 尿道 (淀)의 女同生 고우 (江, 에요)와 再婚하였다.

게이初 5年( 1600年 ) 세키가하라 戰鬪 가 勃發하자 도카이道(東海道)를 지나는 이에야스 本隊와 더불어 나카센道(中山道)를 지나는 別動隊를 引率하는 職責을 맡았다. 그러나 날씨 變化로 인한 命令 地緣과 行軍 速度 低下, 시나노國 우에다 性(上田城) 攻擊 遲延 等으로 時間을 虛費한 히데打多義 軍隊는 結局 9月 15日의 세키가하라 본 戰鬪에 合流하는 데 失敗하고 9月 20日에야 오쓰 (大津)의 本陣에 到着하였다. [2] 이 때 히데타다는 勝利를 祝賀하고 時間을 遲滯한 것에 對한 辨明을 하기 위해 卽刻 父親 이에야스를 만나고자 하였으나 이에야스는 「속이 시원치 않다(?分がすぐれない)」는 말과 함께 아들의 面會 要請을 拒絶하였다. 그러나 다음날 또는 3日 뒤 이에야스는 結局 面談을 許容하였다고 한다.

쇼군 就任 [ 編輯 ]

게이初 8年( 1603年 ) 2月 29日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세이이 다이쇼群 의 地位에 올라 에도 바쿠후 를 열었다. 이에야스는 도쿠가와 氏의 쇼군 世襲을 確實히 하기 위하여 히데타다에게 傳統的으로 次期 쇼군 候補에게 주어졌던 職責인 禹코노에곤다이쇼(右近衛大?)의 官職을 내려줄 것을 朝廷에 奏請을 올렸고, 같은 해 4月 16日 許諾을 받으면서 히데타다는 에도노 우다이쇼(江?右大?)라는 別稱으로 불리게 되었다. 이로써 히데타다가 도쿠가와 家門을 相續받는다는 것과 同時에 도쿠가와 家門이 代代로 쇼군의 자리를 잇는다는 것이 事實上 確固해졌으며, 以後 쇼軍歌에서 우다이쇼 (右大?)는 쇼군 後繼者에 對한 呼稱으로 굳어졌다.

세키가하라 戰鬪 以後 도요토미 家門의 威勢를 꺾고 도카이, 간토 等을 完全히 制壓하는 데 成功한 도쿠가와 家門은 名實共히 간토의 獨立 政權을 樹立하였다. 以後 2年 뒤인 게이初 10年( 1605年 ) 이에야스가 후시미性 에서 쇼軍職을 히데타다에게 물려주고 오고쇼 (大御所)로 물러나면서 히데타다는 第 2代 세이이 다이쇼軍으로 就任하였다.

쇼군 時節 [ 編輯 ]

二元 政治 體制 [ 編輯 ]

에도 城 의 천수각.
히데타다 以後로 에도 姓은 도쿠가와 쇼軍歌가 主로 머무르는 本性이 되었다.

히데타다가 正式으로 쇼군 자리를 물려 받은 뒤, 쇼군 히데타다는 에도 城 , 오고쇼 이에야스는 슨푸 性 에 居住하며 두 父子가 함께 政治를 運營하는 二元 政治 體制(二元政治?制)가 設立되었다. 그러나 이에야스가 살아 있는 동안 事實上의 實權은 이에야스에게 있었고, 히데타다는 혼다 마사노부 等의 補佐를 받으며 이에야스를 輔弼하는 役割을 맡았다. 또한 家臣들과 다이묘 統制에 있어서도 이에야스가 相對的으로 다루기 어려운 度자마 다이묘 (外?大名)들을 相對한 反面 히데타다는 도쿠가와 직할령 및 후다이 다이묘 (譜代大名)들을 管理하였다.

게이初 19年( 1614年 ) 오사카 戰鬪 가 勃發하였다. 이 戰爭에서 이에야스와 함께 參戰한 히데타다는 總大將으로 推戴되었다. 이듬해 1615年 오사카 여름 戰鬪 에서는 도요토미 側의 重臣인 오노 하루後嗣 (大野治房)에게 本陣을 威脅받기도 하였다. 이 戰爭에서 도요토미 街의 堂主이자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唯一한 子息이었던 도요토미 히데요리 와 그의 生母 尿道가 自決하면서 도요토미 家門은 滅亡하였고, 도쿠가와의 權力은 鞏固해졌다.

以後 이에야스와 히데타다는 政局 安定을 위한 法律 構想을 推進하여 武家 出身의 다이묘들을 統制하는 부케쇼핫土 (武家諸法度), 調整과 文官들을 統制하는 金中餠工街製法도 (禁中?公家諸法度) 等을 制定하였다.

一說에 따르면 히데타다는 쇼군 地位는 물려받았으나 겐지長子 [3] (源氏長者), 쇼가쿠인(??院) 別堂은 받지 못했다는 說이 있다. 『도쿠가와 實技(?川?紀)』에는 받았다고 되어 있으나, 이는 事後의 追贈이라는 것이다. [4] 이것이 事實이라면 도쿠가와 쇼군으로서는 히데타다가 唯一하게 겐지老쵸쟈가 되지 못했던 쇼군이라는 뜻이 된다.

쇼군 親庭(親政) [ 編輯 ]

겐나 2年( 1616年 ) 이에야스가 死亡하면서 政局의 實權을 쥐었다. 사카이 다다요 , 도이 도시카쓰 等 自身의 最側近 人士들을 로주 (老中)에 임명하여 바쿠후의 中樞를 掌握하였으며, 후쿠시마 마사노리 等 多數의 度자마 다이묘들을 改譯하여 本보기를 보였다. 以後 孤山케 를 構成하는 세 男동생들에게 各各 誤와리 , 기이 , 미토 를 領地로 내리고 次男 多다나가 에게는 스루가 , 度토미 , 가이 를 주었다. 한便으로는 동생 마쓰다이라 다다테루 , 조카이자 사위인 마쓰다이라 다다나오 , 이에야스의 側近인 혼다 마사즈미 等 가까운 人物들 亦是 改譯한 뒤 귀양보내는 等 嚴格한 面貌를 보이기도 하였다. 또한 調整에 對해서도 斷乎한 態度를 取하여 緊縮을 要求하는 한便 막내딸인 마사코 高미즈노誤 天皇 의 皇后로 入宮시켰다. 外交的으로는 鎖國 政策을 追求하여 外國 國籍의 船舶이 寄港할 수 있는 港口를 히라도섬 (平?), 나가사키 (長崎) 等으로 限定하였다.

隱居와 死亡 [ 編輯 ]

겐나 9年( 1623年 ) 쇼군의 地位를 嫡長子인 도쿠가와 이에미쓰 에게 넘겨주고 오고쇼로 물러났다. 그러나 父親 이에야스가 그랬듯이 如前히 實權을 掌握하고 政治에 關與하였다. 오고쇼로 물러난 初期에는 이에야스가 슨푸 城으로 居處를 옮겼던 것처럼 誤다와라性 으로 居處를 옮길 것을 考慮했다고 하나, 結局 에도 城 니시노 마루(西の丸, 現 天皇 一族이 居住하는 교코皇居)에서 政事를 보살폈다.

間에이 6年( 1629年 ) 詩에 事件 [5] 이 發生하면서 調整, 紳士 및 社員에 對한 統制를 한層 强化하였다. 이듬해인 間에이 7年( 1630年 ) 9月 12日 外孫女 이치노미야(一宮)가 메이쇼 天皇 으로 皇位에 오르면서 天皇의 外祖父가 되었다.

間에이 8年( 1631年 ), 次男 도쿠가와 多다나가 의 領地를 沒收하고 蟄居를 命令하였으나, 以後 健康이 極度로 惡化되어 이듬해인 間에이 9年( 1632年 ) 1月 死亡하였다.

容貌 [ 編輯 ]

屍身 調査에서 毛髮과 뼈 等의 調査한 結果 히데打多義 血液型은 O型 으로 四肢 뼈에서 推定한 伸張은 157.6cm였다.

家族關係 [ 編輯 ]

關聯 作品 [ 編輯 ]

드라마 [ 編輯 ]

애니메이션 [ 編輯 ]

사무라이 디퍼 쿄禹 에서의 히데타다는 豪宕한 性格으로 全國을 遊覽하는 泳法社(影法師) 베니토라(紅虎)로 나온다.

各州 [ 編輯 ]

  1. 《敎室밖 世界史旅行》-日本에 上陸한 基督敎:日本人들의 飛上한 文化適應能力/김성환 지음/사계절 p.142-143
  2. 이 때, 우에다 誠意 守備軍 司令官은 사나다 마사유키 와 그의 次男 사나다 有키무라 (?田幸村; 사나다 노부시게(?田信繁))였고, 히데打多義 副官은 사나다 마사유키의 長男 사나다 노부유키 와 도쿠가와 四天王의 한 사람인 사카키바라 야스마사 였다.
  3. 겐지 一族의 縱走에 對한 呼稱. 아시카가 바쿠후 以來로 代代로 쇼군들이 물려받던 地位로 겐지의 代表者를 自處하였던 歷代 쇼군들에게는 正統性의 象徵이었다.
  4. 吳카노 圖謀히코(岡野友彦), 『겐지와 日本國王(源氏と日本?王)』
  5. 바쿠후가 天皇과 調整이 僧侶들에게 마음대로 者의(紫衣, 承服)나 高僧의 稱號를 하사하는 것을 禁止하였으나 當時의 天皇 高미즈노誤 天皇 이 이를 默殺하고 從來대로 數十 名의 僧侶들에게 者의 着用을 許容한 事件.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쓰와 오고쇼 히데타다는 이에 卽刻 反應하여 天皇의 命令을 法도 違反을 理由로 取消하였고, 이는 바쿠후와 쇼군의 命令이 天皇의 命令보다 위에 있음을 온 나라에 闡明하는 契機가 되었다. 이에 憤怒한 高미즈노誤 天皇은 抗議의 表示로 皇位에서 물러났고, 高미즈노誤 天皇의 딸이자 히데打多義 外孫女가 859年만에 女性 天皇으로 皇位에 올랐다. 다카시로 고이치, 『日本의 이中 權力, 쇼군과 天皇』

外部 링크 [ 編輯 ]


前任
도쿠가와 이에야스
第2代 도쿠가와 宗家 堂主
1605年 ~ 1623年
後任
도쿠가와 이에미쓰
前任
空白( 도쿠가와 이에야스 )
태정대신
1626年 ~ 1632年
後任
空白( 고노에 모토히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