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하면서 글쓰는 사람이 眞짜 幸福한 사람이죠”|동아일보

“일하면서 글쓰는 사람이 眞짜 幸福한 사람이죠”

  • 東亞日報
  • 入力 2022年 6月 27日 03時 00分


코멘트

대전대 敎職員이자 小說家 고광률 氏
長篇 ‘聖者의 全盛時代’ 等 出刊
“作家는 時代의 問題에 맞서야…”

고광률 작가가 문인들이 열어준 ‘성자의 전성시대’ 출판기념회에서 집필 배경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고광률 작가 제공
고광률 作家가 文人들이 열어준 ‘聖者의 全盛時代’ 出版記念會에서 執筆 背景에 對해 說明하고 있다. 고광률 作家 提供
대전대 敎職員이자 小說家인 고광률 氏(61)가 最近 長篇 ‘聖者(聖者)의 全盛時代’를 펴냈다.

고 作家는 雜誌社 記者와 出版社 編輯者, 大學 敎職員으로 35年을 生活하면서 이番까지 3卷의 小說集과 4卷의 長篇小說을 냈다.

고 作家가 本格的으로 作家에 길에 들어선 것은 1991年. 실천문학사 앤솔러지 ‘아버지의 나라’에 ‘痛症’을 發表하면서다. 앞서 短篇 ‘어떤 復讐’로 1984年 第1回 대전대 文學賞을 받았고, 1987年 ‘어둠의 끝’으로 최상규, 박범신 作家의 推薦을 받기도 했다.

“어린 時節 畫家가 꿈이었어요. 美大에 合格까지 했으나 色弱으로 抛棄할 수밖에 없었어요. 한동안 挫折에 빠져 있다가 이미지가 아닌 글로 世上을 表現해 보기로 마음먹었죠.”

고 作家의 作品은 줄곧 時代의 問題에 正面으로 맞선다는 評價를 받고 있다. 그는 “누구나 아름다운 小說을 쓰고 싶어 한다”며 “하지만 버젓이 存在하는 醜惡함과 不正義를 外面하는 것은 作家의 職務遺棄 아니냐”고 말했다.

2012年 出刊한 ‘오래된 뿔’은 그런 作家意識의 反映이다. 7年間 5·18民主化運動에 對해 探究하고 取材해 두 卷의 長篇小說에 담아냈다. 이 作品은 쿠데타 勢力 몇몇의 政治 野慾을 넘어 近現代史적 矛盾에서 5·18의 原因을 찾았다는 評價를 받았다.

고 作家는 앞으로 6·25戰爭을 다뤄볼 計劃이다. 戰爭의 原因이었던 이데올로기를 克服하지 못한 채 只今도 兩極端으로 쪼개져 銃聲 없는 戰爭을 치르고 있다는 게 고 作家의 생각이다. 고 作家는 “이데올로기가 本來 幸福과 共의(公義)의 手段인데 그 自體로 神格化되면서 目的으로 變質됐다”며 “作家들이 知識으로서 마땅히 責任意識을 가지고 本質과 原形이 흐트러지기 前에 歷史的 事實(寫實)에 基盤한 作品을 만들어야 한다”고 强調했다.

時間을 쪼개 글을 써야 했던 그로서는 專業 作家가 부럽지 않았을까? 일과 글쓰기를 竝行해야 할 사람들에게는 반가운 對答이 돌아왔다.

“國內에서도 人氣인 北유럽 等의 作家들은 다른 職業 生活을 통해 經驗을 많이 蓄積한 사람들이에요. 삶의 幸福과 苦痛이 녹아들지 않은 글은 空虛할 뿐이죠. 글 쓰면서 일하고, 글 쓰면서 노는 方法을 익혀야 합니다.”

고 作家의 꾸준한 作品 活動은 專業 作家들도 認定할 程度로 有名하다. 現在 그의 컴퓨터에는 發表를 기다리는 3卷 分量의 小說 原稿가 있다. 고 作家는 “글쓰기를 해보고 싶은 사람들에게 ‘天賦的 才能보다는 至難한 努力을 믿으라’고 助言해 주고 싶다”며 “周邊을 돌아봤을 때 이 助言은 陳腐하지만 確實한 眞理”라고 말했다.


지명훈 記者 mhjee@donga.com
#小說家 고광률 氏 #聖者의 全盛時代 #作家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