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人間을 理解한다는 건 눈물을 理解하는 것”|東亞日報

“人間을 理解한다는 건 눈물을 理解하는 것”

  • 東亞日報
  • 入力 2022年 6月 29日 03時 00分


코멘트

故 이어령 長官, 죽음 直前까지 쓴 肉筆原稿 ‘눈물 한 방울’ 來日 出刊
삶에 愛着-먼저 간 딸에 未安함 等 마지막 瞬間까지 省察했던 魂 담겨
“남을 위해 흘리는 눈물이 아름다워”

고인은 글뿐만 아니라 직접 그린 그림도 남겼다. 김영사 제공
故人은 글뿐만 아니라 直接 그린 그림도 남겼다. 김영사 提供
時間이 지날수록 原稿는 惡筆이 됐다. 2019年 11月 6日 原稿는 整頓된 글씨로 썼다. 直接 그림을 그리고 色漆도 했다. 이에 비해 2022年 1月 23日 쓴 글은 읽기 힘들 程度로 뒤틀렸다. 검은 펜으로 삐뚤빼뚤 써내려간 글씨에선 肉身의 苦痛이 느껴졌다. 故人은 “죽음이 죽는 瞬間 알게 될 것이다”라는 文章으로 마지막 原稿를 끝맺었다. 30日 出刊되는 高 이어령 初代 文化部 長官 에세이 ‘눈물 한 방울’(김영사)의 肉筆 原稿엔 죽음의 瞬間까지 省察했던 故人의 魂이 담겨 있었다.

서울 중구의 한 카페에서 28일 열린 고 이어령 초대 문화부 장관의 에세이 ‘눈물 한 방울’ 출간 기자간담회에서 고인의 육필 원고를 공개한 장남 이승무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와 고인의 부인 강인숙 영인문학관장. 김동주 기자 zoo@donga.com
서울 中區의 한 카페에서 28日 열린 故 이어령 初代 文化部 長官의 에세이 ‘눈물 한 방울’ 出刊 記者懇談會에서 故人의 肉筆 原稿를 公開한 長男 이승무 한국예술종합학교 敎授와 故人의 夫人 강인숙 靈人文學館長. 金東周 記者 zoo@donga.com
서울 中區의 한 카페에서 28日 열린 記者懇談會에서 이 前 長官의 夫人 강인숙 靈人文學館長은 “先生은 이른 나이부터 컴퓨터로 글을 썼기 때문에 肉筆原稿가 많지 않다”며 “이 冊은 先生이 마지막으로 쓴 肉筆原稿를 그대로 낸 것”이라고 說明했다. 故人은 2月 26日 서울 鍾路區 自宅에서 癌 鬪病 끝에 別世했다. 이날 懇談會에는 長男 이승무 韓國藝術綜合學校 映畫科 敎授, 次男 이강무 白石大 애니메이션과 敎授가 參席했다.

“肉筆原稿에는 健康 狀態 等 그 사람의 全部가 나타나 있습니다. 그러기에 貴重합니다. 先生은 (마우스) 더블 클릭이 안 되고 (컴퓨터) 電磁波 때문에 할 수 없이 노트를 썼어요. 노트를 읽다 보면 혼자 저승으로 가야 하는 人間의 외로움이 배어 있죠.”(강 館長)

新刊엔 故人이 2019年 10月부터 2022年 1月까지 쓴 隨筆과 時 110篇이 담겨 있다. 故人이 群靑色 洋裝本 大學노트에 쓴 147篇의 글 中에 意味 있는 作品을 골라 담았다. 고세규 김영사 代表는 “올 1月 3日 先生이 令人文學觀(서울 鍾路區)으로 불러 ‘願한다면 이 노트를 冊으로 만들어보라. 廉恥 챙기지 말고 作業해 달라’고 當付하셨다”고 말했다.

抗癌治療를 拒否한 故人은 밤이 되면 自身의 弱한 마음을 써 내려갔다. 故人은 2021年 7月 30日 글에서 어머니의 影幀 앞에서 울며 “엄마 나 어떻게 해”라고 말했다고 告白한다. 自身처럼 抗癌治療를 拒否하다 世上을 먼저 떠난 딸 이민아 牧師(1959∼2012)를 向해 “내 아직 살아 있는 것이 未安하다”고 속삭인다. “살고 싶어서 내 마음은 흔들린다” “한밤에 눈뜨고 죽음과 팔뚝 씨름을 한다”고 두려움을 털어놓는다.

故人은 짐승과 달리 人間은 情緖的 눈물을 흘릴 수 있기 때문에 남을 위해 흘리는 눈물이 重要하다고 强調한다. “自身을 위한 눈물은 無力하고 부끄러운 것이지만 나와 남을 위해 흘리는 눈물은 地上에서 가장 아름답고 힘 있는 것”이라며 “人間을 理解한다는 건 人間이 흘리는 눈물을 理解한다는 것”이라고 썼다. 이승무 敎授는 “아버님은 죽음 直前까지 남을 위해 흘리는 눈물을 强調했다”며 “남겨진 그림을 보니 아버님이 어린아이로 돌아가서 童話冊을 쓴 듯하다”고 했다.

이호재 記者 hoho@donga.com
#故 이어령 長官 #눈물 한 방울 #出刊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