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끊겨버린 傳統 배의 命脈[김창일의 갯마을 探究]〈96〉|東亞日報

끊겨버린 傳統 배의 命脈[김창일의 갯마을 探究]〈96〉

  • 東亞日報
  • 入力 2023年 6月 1日 03時 00分


코멘트
김창일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
김창일 國立民俗博物館 學藝硏究士
朝鮮時代에 많은 사람이 漂流해 죽었고, 一部는 歸還해 이야기를 남겼다. 特히 濟州와 뭍을 오가던 배가 難破되거나 漂流하는 境遇가 많았다. 10餘 篇의 漂流記가 收錄된 ‘지영록’(2018年 寶物 指定) 飜譯書 編纂 業務를 擔當할 때 궁금한 點이 있었다. 지영록에 ‘김대황表解日錄’이라는 漂流記가 있는데 濟州에서 24名을 태운 배가 뭍으로 가다가 추자도 隣近에서 北東風을 만나 베트남까지 漂流한 後 歸還한 內容이다. 어떤 배였기에 며칠間의 暴風雨에도 沈沒하지 않고 31日 동안 茫茫大海를 떠다니다가 베트남 호이안에 닿을 수 있었을까.

배에 關한 詳細한 記錄은 없지만 덕板倍로 推定할 수 있다. 뱃머리에 두껍고 넓은 나무板人 덕板을 大暑 濟州 海岸의 날카로운 暗礁에 부딪혀도 견디는 耐久性을 지닌 배다. 날렵하지는 않았지만, 濟州에 적합한 傳統 배였다. 1996年 濟州道 昇格 50周年 記念 事業으로 ‘덕板倍 復元 事業’을 進行해 길이 9m, 幅 4.5m 規模로 復元한 적이 있다. 이미 命脈이 끊긴 배를 復元했으므로 論難이 일었다. 製作 技術이 斷絶된 狀態였고, 덕板倍 製作에 關한 公式 記錄조차 없었기에 제대로 만들어졌는지를 누구도 評價할 수 없었다.

傳統 배 製作 技術 傳授가 이뤄지지 못한 根本的인 原因은 朝鮮 後期로 거슬러 올라간다. 조운제度 廢止(1894年), 三道水軍統制營과 各 道 水營 革罷로 水軍이 해산됨에 따라 漕運船과 軍船의 脈이 끊겼다. 朝鮮 後期 國力의 衰落으로 造船 産業은 沒落의 길을 걸었다. 1910年代 以後에는 개량형 漁船 普及 政策이 始作돼 日本式 漁船이 漸進的으로 增加했다. 日本 政府는 漁獲量 擴大를 위해 導入한 鮟鱇網, 巾着網, 席眺望 等의 日本式 語句 및 語法에 적합한 漁船을 늘리려 했다. 名目上으로는 朝鮮 在來式 漁船을 改善한다는 趣旨였으나, 魚族 資源의 大量 確保를 위한 方策이었다. 日本人 水産業者들과는 달리 우리 漁民들은 零細했다. 高價의 日本式 漁船 購入이 어려워 한동안 在來式 배가 維持됐으나 오래가지는 않았다. 1930年代에 朝鮮總督府의 입맛에 맞게 標準型 船舶 乾燥를 誘導하면서 傳統 漁船은 사라져 갔다.

康津에서 900섬을 싣고 오던 漕運船이 遭難된 內容이 孝宗實錄(1661年)에 收錄돼 있다. 肅宗實錄(1728年)에는 1711年 坡州에서 租稅美 1000餘 섬을 싣고 廣興倉에 到着한 內容이 있다. 쌀 基準으로 1섬을 144㎏(時代와 穀物에 따라 偏差가 있음)으로 換算하면 漕運船의 規模를 斟酌할 수 있다. 軍船의 種類는 大選, 中大選, 重船, 兵船, 快選, 猛船, 別膳, 추왜별선 等 13種, 829隻에 이른다고 世宗實錄地理志(1454年)에 記錄돼 있다. 相當한 規模의 漕運船과 다양한 軍船을 運用했음을 알 수 있다. 雙돛을 단 당두리(길이 約 15m, 너비 4.5m)와 하나의 돛을 단 야거리(길이 4m, 너비 2m) 等 수많은 漁船은 韓半島 바다에서 물고기를 잡았다. 漕運船과 軍船 製作 技術은 命脈이 끊겼고, 漁船은 멸치잡이 倍인 統營의 통구민배와 新安 가거도倍 程度가 1960年代 後半까지 傳統 漁船의 痕跡을 지니고 있었다.

韓國 造船 産業은 2023年 1分期(1∼3月) 受注 占有率 40% 確保로 世界 1位다. 韓國에서 만든 배가 世界의 바다 구석구석을 누비고 있다. 傳統 배의 끊긴 命脈이 더욱 아쉽게 느껴진다.


김창일 國立民俗博物館 學藝硏究士
#傳統 배의 命脈 #조운제度 廢止 #韓國 造船 産業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