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겨울나기의 時間[동아廣場/김금희]|東亞日報

겨울나기의 時間[동아廣場/김금희]

  • 東亞日報
  • 入力 2021年 12月 8日 03時 00分


코멘트

不可避하게 맞닥뜨리는 ‘人生의 放學’
“겨울을 삶 안으로 받아들이는 法” 배워야
傷處에 蠶食되지 않고, 이 時間을 건너길

김금희 객원논설위원·소설가
김금희 客員論說委員·小說家
윤성희 作家의 ‘날마다 萬愚節’에는 人生의 放學을 맞이한 사람들이 登場한다. 아이들이 아니고 어른들 얘기다. 다니던 私學財團에서 自意 半 他意 半으로 退職을 한 病者 氏는 마지막 退勤길에 自己 自身을 위한 꽃다발을 事故 家族의 슬픈 歷史를 떠올리게 하는, 돌림字가 든 이름을 버리고 改名할 計劃도 짠다. 하지만 그때 그가 버리려고 하는 바로 그 이름, 病者 氏를 부르며 過去의 누군가가 電話를 건다. 丙子 氏의 不遇한 집안 事情을 들먹이며 豫備 媤父母가 退字를 놓았을 때 나서서 辯護하지 않고 슬그머니 離別을 選擇해버린 前 愛人이다.

‘날마다 萬愚節’을 읽으면서 나는 많은 登場人物들이 그間 大體로 小說化되지 않은 나이帶의 女性들이라 반가웠다. 主로 家族制度 內의 ‘엄마’로 登場하거나, 젊은 世代들의 오늘을 되짚機 위한 背景 程度로 登場했던 이들이 主人公으로 登場해 人生의 한 時節을 열어 보였기 때문이다. 이제 勞動市場에서도 徐徐히 물러나야 하는 時期에 이들은 課題를 마친 사람으로서가 아니라 如前히 世上에 對해 풀지 못한 疑問이 있고 그래서 끊임없이 어딘가를 서성여야 하는 사람이 되어 삶의 또 다른 모퉁이를 돈다. 愛情과 보살핌으로 維持되었다고 생각했던 幼年이 알고 보면 서로 間의 傷處와 反目으로, 때론 暴力으로 이루어졌음을 目睹해야 하는 課題가 놓이고, 只今 내가 現在 이룬 家族 亦是 그런 ‘블랙홀’ 같은 時間을 通過하고 있다는 事實을 배워가야 하는 宿題도 있다. 그리고 죽음이 가까워져 있다. 人生의 放學에는 바로 그런 슬픔이 몰려들며 스스로 그 喪失感에서 벗어나야 하는 狀況이 된다.

하지만 作家는 그런 時期의 分明한 回復力度 놓치지 않는다. 放學은 暫時 日常에서 놓여나 可能한 限 가장 느리고 길게 놀이時間을 갖는 時期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作品集에는 공기놀이나 킥보드, 얼음땡 같은 놀이들이 每番 登場하는데, 人物들이 그를 통해 自身이 가장 充滿했던 過去의 어느 時節과 遭遇하는 場面은 傷處에 잠식당하지 않으려는 이의 아름답고 눈물겨운 努力들이 된다.

겨울이 되면서 나 亦是 어느 程度의 沈滯의 時間을 보내고 있다. 올해 몸 狀態가 좋지 않아 原稿들을 거의 쓰지 못한 것, 젊다거나 새롭다거나 하는 美德으로 더 以上 評價받기 어려운 經歷이 되었다는 것, 팬데믹이 長期化되면서 漸漸 더 沈滯되는 出版 市場을 바라봐야 하는 것, 來年이면 父母님 모두 일흔이 넘는 年歲라는 것, 곧 내가 언제 혼자 남겨져도 異常할 나이가 아니라는 것. 언젠가부터는 그런 未來가 아주 厭世的으로 그려지기도 한다. 며칠 前에는 사람들과 點心食事를 함께하고 헤어져 돌아섰는데, 집으로 혼자 돌아갈 勇氣가 나지 않아 거리를 無酌定 걸었다. 그렇게 많은 수다를 떨고 웃었는데 왜 마음이 이렇게 쓸쓸할까, 얼음처럼 차디찬 悲觀과 슬픔이 남아 있을까 생각하면서.

그런 마음으로 읽게 된 冊 中에는 캐서린 메이의 ‘우리의 人生이 겨울을 지날 때’도 있었다. 原題가 ‘윈터링(Wintering)’인 이 冊은 人生의 “休閑期”에 對해 이야기하는 에세이다. 作家는 누구나 한 番쯤 겨울을 겪고, 때론 겨울을 反復해서 겪기도 한다고 말한다. 그런 겨울은 疾病이나 死別, 아이의 出生 같은 큰 事件으로 찾아올 수도 있고 恥辱이나 失敗, 人間關係의 終結, 加重되는 돌봄의 負擔에서도 온다. 이렇듯 우리는 人生의 겨울을 不可避하게 맞닥뜨리지만 그 時間을 어떻게 살아낼지는 얼마든지 ‘選擇’할 수 있다고 作家는 말한다. 그리고 그를 위해서는 겨울을 無視하거나 없애버리려는 試圖 代身 “겨울을 삶 안으로 받아들이는 法”을 배워야 한다고 提案한다. 돌이켜보면 植物과 動物은 겨울과 싸우지 않는다고, 겨울이 오지 않을 것처럼 行動하며 여름에 살아온 方式 그대로 살지 않는다고 作家가 指摘할 때 나는 잊고 있었던 重要한 事實을 깨달은 것처럼 눈이 밝아졌다.

이제 윈터링, 겨울나기가 本格的으로 始作되는 이 時間에 나는 윤성희 小說에서 만난 이들을 자주 떠올릴 것 같다. 前 愛人의 뒤늦은 拘礙에 “그러지 마요”라고 一蹴함으로써 自己 自身을 過去의 傷處에서 救援했던 病者 氏를, 킥보드를 타고 가다 事故를 當해 누워 있으면서도 自身을 發見한 靑年에게 只今 自身은 얼음땡을 하고 있으니 “땡”이라고 말해 달라 弄談하던 ‘나’를. 그들 모두는 只今 가지치기를 하고 조용히 겨울을 견디려는 街路樹들, 깃털을 새로 내고 찬 空氣를 날 準備를 하는 窓밖의 새들을 닮았다. 그들이 겨울을 건너가고 當然히 우리도 그럴 것이다.

김금희 客員論說委員·小說家
#날마다 萬愚節 #겨울나기 #人生의 放學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