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달에 만나는 詩]運命과 싸우는 애처로운 몸부림… 가벼운 詩語로 完成된 무거운 詩|東亞日報

[이달에 만나는 詩]運命과 싸우는 애처로운 몸부림… 가벼운 詩語로 完成된 무거운 詩

  • 東亞日報
  • 入力 2014年 10月 8日 03時 00分


코멘트

성동혁 시인
城東革 是認
琉璃窓에 성에가 낀 고요한 겨울밤, 눈을 기다리는 ‘나’는 잠들지 못하고 있다. 그는 서랍 속 여름옷을 꺼내 펴보거나 부엌 싱크臺 물을 틀며 서성이고 있다. 밤이 깊어질수록 그는 稀薄해지고, 稀微해진다. 그는 마지막 愛人에게 未安한 일이 많았다며 꽃을 膳物하고 싶어 한다. 結婚式 부케用으로 人氣인 리시안셔스의 꽃말은 變치 않는 사랑이다.

‘이달에 만나는 詩’ 10月 推薦作은 城東革 是認(29)의 ‘리시안셔스’다. 2011年 ‘世界의 文學’을 통해 登壇한 詩人의 첫 詩集 ‘6’(민음사)에 실렸다. 推薦에는 김요일 신용목 이건청 利原 장석주 詩人이 參與했다.

性 詩人은 詩集의 ‘詩人의 말’에 딱 한 줄 ‘이곳이 나의 禮拜堂입니다’라고만 썼다. 그는 本報와의 인터뷰에서 “다섯 番의 手術을 거치며 神에 對한 믿음과 사람들에 對한 感謝함이 커졌다. 詩集을 엮으며 이 詩集이 하나의 아름다운 祈禱文이 되길, 하나의 아름다운 便紙가 되길 바랐다”고 했다.

“脈搏이 稀微해질 때가 있었어요. 저를 살리려고 여러 사람들이 獻血을 하고 祈禱를 했어요. 手術室 안에서 열아홉 時間을 보냈어요. 깨어 보니 重患者室이었어요. 人工心肺氣를 끼고 움직일 수도 없는 瞬間이었지만 전 다짐했어요. 이곳을 나가면 手術室 밖에서 기다리던 사람들에게 꼭 사랑한다고 말해야지. 이 詩는 제가 稀薄해지고 稀微해진 瞬間, 저를 붙들고 있던 사람에게 건네는 꽃다발 같은 거예요. 제가 잠든 後에야 잠들던 사람에게 쓴 便紙 같은 거예요.”

장석주 詩人은 “城東革 詩를 읽는 일은 不便하다. 그의 夢幻的 話法이 낯설기도 하거니와 어린아이의 軟弱함을 維持한 채 怪物 같은 自己 運命과 싸우는 모습이 애처롭기 때문이다. 하지만 놀라운 直觀으로 生의 本質들을 꿰어내는 흔치 않은 詩的 才能이 번뜩인다”고 했다.

利原 詩人은 “性동혁의 첫 詩集으로 韓國詩의 淸敎徒 系譜는 더 깊은 方向으로 써지게 됐다. 性동혁은 世上 너머까지 다다르는 稀薄한 言語를 만들어낸다”고 評했다.

신용목 詩人은 손택수 詩集 ‘떠도는 먼지들이 빛난다’(창비)를 推薦하면서 “詩語는 무거워지고 詩는 가벼워지는 時代에 가벼운 詩語로 무거운 詩를 完成할 줄 아는, ‘삶의 丈人’”이라고 했다. 김요일 詩人은 안성덕 詩人의 첫 詩集 ‘몸붓’(文學의전당)을 꼽았다. “五日場에서 불콰하게 한盞 걸치고 구성진 노래 부르며 멀어지는 사내의 뒷그림자를 닮았다. 능청스레 풀어놓은 그의 詩篇들은, 맛있는 비빔밥처럼 諷刺와 隱喩가 제대로 버무려져 읽는 내내 ‘얼쑤’ 하며 맞장구치게 한다.”

이건청 詩人은 김영석 詩集 ‘고양이가 다 보고 있다’(천년의시작)를 골랐다. 그는 “公告하면서도 端雅한 抒情詩의 光彩를 본다. 登壇 45年 만에 다섯 番째 詩集을 펴낸 老詩人의 精鍊된 抒情이, 破格과 逸脫과 무잡스러움이 판치는 요즘 韓國詩 속에서 貴한 個性으로 읽힌다”고 했다.

박훈상 記者 tigermask@donga.com
#리시안셔스 #城東革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