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달에 만나는 詩]몸으로 몸을 일으키는 오뚝이처럼… 슬픈 人生이여!|동아일보

[이달에 만나는 詩]몸으로 몸을 일으키는 오뚝이처럼… 슬픈 人生이여!

  • 東亞日報
  • 入力 2014年 9月 4日 03時 00分


코멘트
“詩에서 말하는 者는 ‘저녁의 人間’이라고 할 수 있어요. 낮의 騷亂과 騷動이 사라진 저녁에 勞動에서 놓여난 ‘빈손’을 문득 들여다보면, 或은 버려진 듯한 ‘두 손’을 모으면, 무엇인가 懇切해지고 슬퍼지고 寂寞해지고 그리워지는 氣分에 감싸이는, 그런 저녁을 가진 人間의 肖像을 그려보고 싶었어요.”

‘이달에 만나는 詩’ 9月 推薦作은 김행숙 是認(44·寫眞)의 ‘누구를 위하여 鐘은 울리나’다. 1999年 登壇해 올해 登壇 15年 次를 맞은 詩人이 내놓은 네 番째 詩集 ‘에코의 肖像’(문학과지성사)에 실렸다. 江南大 國語國文科 敎授인 金 詩人은 비슷한 時期에 첫 詩集을 出刊한 황병승 김경주 김민정 詩人 等과 함께 未來波로 불리며 韓國 現代 時 變化를 主導한 人物로 꼽힌다. 推薦에는 김요일 신용목 이건청 利原 장석주 詩人이 參與했다.

金 詩人은 오뚝이를 떠올리며 詩를 썼다. 그는 “문득, 마냥 끄덕끄덕하기만 하는 오뚝이에게는 팔도 없고 손도 없구나, 그런 생각을 했는데, 異常하게 그게 그렇게 슬프게 느껴졌다. 손으로 몸을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몸으로 몸을 일으키고 넘어지는구나, 그런 생각”이라고 했다.

오뚝이는 어린아이의 장난감이다. “우리가 모두 軟弱한 어린아이였다는 事實, 그 모든 記憶들이 어느 날 저녁의 風景 속으로 들어왔어요. 빈손을 가슴에 묻고, 가슴에 모은 存在들의 그 無力한 氣道를 밤의 沈默 속에서 들은 것 같았어요. 그렇게 손을 모으는 저녁이 있었어요.”

장석주 詩人은 “김행숙의 詩들은 恒常 낯설다. 이 낯섦은 詩에 對한 친숙함의 期待를 배반하고, 讀者를 時 바깥으로 튕겨나가게 한다. 그 낯섦에 흠칫 놀라지만, 우리는 그 눈부심에 다시 이끌린다. 김행숙의 낯섦은 世界의 다양한 存在들이 내는 목소리에도 또렷하다. 詩人은 이 낯섦 속에, 或은 낯섦의 方式 속에 自身의 初喪과 當代의 肖像을 겹쳐놓는다”며 推薦했다.

利原 詩人은 “感覺으로 世界를 直照하는 김행숙이 ‘人間의 時間’에 닿았다. 透視라기보다는 突破로 이루어졌다는 點에서 김행숙 市의 터닝포인트다”고 했다. 신용목 詩人은 “한 個人의 正面으로 화살처럼 날아오는 世界의 異物感을 가장 물컹한 肉體의 防牌로 견디고 있는 詩”라며 推薦했다.

김요일 詩人은 金이듬 詩集 ‘히스테리아’(문학과지성사)를 推薦하며 “金이듬의 詩 世界는 불경스럽고 淫蕩하며 不安하다. ‘히스테리아’ 속에 登場하는 ‘非正常·保菌者·變態·病身’의 찌그러진 呻吟들이 對位法처럼 交叉하며 아프게 아름다운 夢幻의 抒情을 그려낸다”고 했다.

이건청 詩人은 최금진 詩集 ‘사랑도 없이 개미鬼神’(創批)을 꼽았다. “이 詩集은 特異한 個性을 보여준다. 精製되지 않은 것 같은 이미저리(Imagery)들이 그의 詩 속에서 衝突을 일으키고 있고, 相互 鬪士를 試圖하기도 한다. 이런 詩人의 試圖가 想像의 外延을 넓히고 있고, 낯선 光彩를 지닌 文體를 만든다. 詩人이 自身의 文體를 이뤄내는 일은 어려운 일이다. 최금진의 詩에서 市의 빛과 힘을 본다.”

박훈상 記者 tigermask@donga.com
#김행숙 #누구를 위하여 鐘은 울리나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