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갈비로 ‘追憶 召喚’… 特化거리 만든뒤 訪問客 20% 增加|東亞日報

고갈비로 ‘追憶 召喚’… 特化거리 만든뒤 訪問客 20% 增加

  • 東亞日報
  • 入力 2017年 11月 21日 03時 00分


코멘트

[우리洞네 골목市場] <3> 釜山 西區 충무동市場

고갈비 특화 시장으로 꾸며진 부산 충무동골목시장. 같은 모양의 지붕을 두고 나란히 붙어 있는 가게들이 고갈비와 파전을 파는 
곳들이다. 최근 기온이 갑자기 떨어지면서 야외 좌석에는 사람이 많지 않다. 초여름부터 초가을까지 저녁이 되면 직장인과 대학생들이 
삼삼오오 야외 좌석에 앉아 고갈비를 즐기는 풍경을 볼 수 있다. 부산=박경모 기자 momo@donga.com
고갈비 特化 市場으로 꾸며진 釜山 충무동골목市場. 같은 模樣의 지붕을 두고 나란히 붙어 있는 가게들이 고갈비와 巴戰을 파는 곳들이다. 最近 氣溫이 갑자기 떨어지면서 野外 座席에는 사람이 많지 않다. 初여름부터 初가을까지 저녁이 되면 職場人과 大學生들이 三三五五 野外 座席에 앉아 고갈비를 즐기는 風景을 볼 수 있다. 釜山=박경모 記者 momo@donga.com
고등어는 國民 生鮮으로 불린다. 庶民들이 차려내는 저녁 밥床에 오르는 단골 메뉴다. 다른 生鮮보다 통통한 살을 크게 떼어내 물면 쫄깃한 食感이 立案에서부터 飽滿感을 가져다준다. 區이라면 짭조름한 맛이 밥숟가락을 쉬이 부른다. 只今도 많은 韓國人이 사랑하지만 過去에는 그 사랑이 더 津했다. 低廉한 價格에 배불리 먹을 수 있는 蛋白質 供給源이었기 때문이다. 값비싼 肉類는 아니지만 고기 먹는 氣分을 느끼고 싶었던 걸까. 아님 正말 고기 맛이 났던 걸까. 언젠가부터 고등어구이는 ‘고갈비’로 불리고 있다.

時期는 正確히 알 수 없지만 고갈비라는 말이 처음 쓰이기 始作한 곳은 釜山이다. 고갈비를 우리 地域에서 처음 使用했다고 主張하는 사람은 釜山에서만 만날 수 있으니 釜山이 援助가 맞을 듯하다. 具體的으로는 고등어를 半으로 갈라 석쇠에 구워 내는 게 고갈비란다. 기름氣가 많아 구울 때 煙氣가 많이 나는 모습이 돼지갈비와 비슷해 고갈비로 부르기 始作했다는 由來가 있다. 釜山 土박이 정창준 氏(69)는 “별다른 뜻이 있을까. 그냥 갈비 먹는 氣分이나 내자고 그랬겠지”라며 웃었다. 釜山의 고등어 사랑은 유별나다. 다른 地域 사람들에게는 槪念조차 生疏한 ‘詩語(市魚)’가 있는데 다름 아닌 고등어다. 오래前부터 庶民들이 많이 오가던 釜山 골목에는 고등어구이 집이 몇 個씩 있었다. 紙匣이 얇았던 職場人들이 退勤길에, 大學生들은 親舊끼리 三三五五 고등어구이에 燒酒나 막걸리 盞을 기울였다.

釜山 西區 충무동2街·3街 一帶도 고갈비 집이 옹기종기 모여 있던 골목 中 하나였다. 고갈비 집을 비롯해 巴戰, 아나고로 불린 붕長魚 等 庶民 按酒를 파는 食堂과 露店 그리고 市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가게들이 골목을 채운 이곳은 예전부터 ‘충무동골목市場’으로 불렸다. 권용달 충무동골목市場 商人會長은 “日帝强占期부터 골목마다 商店들이 있었고 6·25戰爭 때 避亂 온 사람들도 자리를 잡으며 市場이 커졌다”고 말했다. 많은 傳統市場이 그러하듯 충무동골목市場도 1990年代 中盤까지 蕃盛했다가 2000年代 들어 衰落했다.

충무동골목시장 대표 먹거리인 고갈비(왼쪽)와 파전. 고갈비 한 마리에 7000원, 파전은 5000원으로 즐길 수 있다. 부산=박경모 기자 momo@donga.com
충무동골목市場 代表 먹거리인 고갈비(왼쪽)와 巴戰. 고갈비 한 마리에 7000원, 파煎은 5000원으로 즐길 수 있다. 釜山=박경모 記者 momo@donga.com
충무동골목市長이 復活을 위해 내세운 것은 고갈비다. 오래前부터 자리를 지킨 商人들이 가장 많이 팔던 飮食 中 하나다. 國內 고등어의 80% 以上을 流通하는 ‘釜山 共同魚市場’李 近處에 있어 싱싱한 고등어를 供給하기 수월한 地理的 利點도 考慮됐다. 商人들은 고갈비를 통해 골목市場이 사람들로 다시 북적이는 瞬間을 期待하고 있다. 충무동골목市場은 지난해 中小벤처企業部(當時 中小企業廳)와 小商工人振興公團에서 進行한 ‘골목型 市場 育成事業’에 選定됐다. 그러면서 고갈비를 테마로 市場을 탈바꿈시켰다. 충무동골목市場은 올해 2月 고갈비 테마 거리 宣布式을 여는 等 積極的으로 弘報에 나서고 있다.

10日 찾은 충무동골목市場 메인 거리에는 고갈비 專門 飮食店 7곳이 나란히 늘어서 있었다. 같은 模樣의 검은色 지붕들이 붙어 있어 統一된 느낌을 줬다. 가게 이름이 적힌 검은色 板들 亦是 模樣과 높이가 同一했다. 검은 板 곳곳에는 고등어를 形象化해 디자인한 캐릭터가 붙어 있었다. 고갈비 거리 造成을 위해 디자인業體인 ‘디자인釜山’에 依賴해 만든 캐릭터인 ‘꼬등어’다. 디자인釜山은 꼬등어를 活用한 文句 商品도 開發하고 있다. 市場을 代表하는 캐릭터를 만드는 것은 日本의 特色 있는 傳統市場들이 많이 선보인 戰略이다. 市場을 알리는 데 도움이 되고 무엇보다 젊은층에게 市場이 친숙하게 느껴지도록 하는 데 效果的이다.

꼬등어는 市場 入口에 세워진 大型 立看板 꼭대기에도 있다. 꼬등어 옆에 새겨진 市場 이름 앞에 쓰인 文句는 ‘그때 그 時節’이다. 충무동골목市場은 歷史가 오래된 만큼 자리를 지켜온 商人들의 삶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고갈비 專門 飮食店 中 한 곳인 ‘燈臺巴戰’의 量政府 氏(77)는 1940年 日本 후쿠오카에서 태어났다. 1945年 光復과 함께 釜山으로 건너왔다. 젊어서는 자갈치시장에서 일했다. 遠洋漁船 뱃사람들이 먹을 고기를 大量으로 納品하는 일이었다. 충무동골목市場으로 온 건 1988年이다. 그때 市場에는 活氣가 넘쳤다. 1990年代 中盤까지는 장사가 꽤 잘됐다. 現在 메인 거리인 고갈비 特化 거리 가운데는 露店들이 가득 찼다. 當時에는 市場 商人 數가 700名에 이르렀다. 只今은 150名 程度에 不過하다. 市場이 蕃盛했던 時節에 襄 氏는 고갈비보다 單價가 비싼 回를 팔았다. 그래도 가게는 늘 사람들로 붐볐다. 事實 이곳은 過去 ‘완월동’이라고 불렸던 釜山의 代表的인 歡樂街와 가깝다. 완월동을 찾는 손님과 가게 從業員들은 골목市場을 찾는 손님 中 꽤 큰 比重을 차지했다. 1990年代 後半 性賣買 團束이 强化되면서 市場 訪問客은 빠르게 줄었다. 周邊에 大型마트들이 생겨나고 아파트 等 大型 建物이 세워진 것도 市場 雰圍氣를 위축시켰다.

한창 好況이던 時節에 비하면 아직은 허전한 雰圍氣가 감돌지만 商人들은 이제 希望을 얘기한다. 權 會長은 고갈비 特化 거리 造成 以後 平均 訪問客이 20%假量 늘었다고 傳했다. 충무동골목市場 隣近에서 50年 가까이 살았다는 장某 氏는 “率直히 예전에는 歡樂街 訪問客이 많이 찾던 市場이라 밤에는 가기가 꺼려졌다. 只今은 雰圍氣가 많이 밝아져서 種種 찾는다”고 말했다. 最近 충무동골목市場을 찾는 새로운 顧客層은 맛집을 찾아다니는 젊은이들이다. 고갈비와 巴戰을 파는 ‘세名빈대떡’의 박외순 氏(57·女)는 “인터넷에서 보고 찾아왔다는 젊은 사람들이 漸漸 늘고 있다. 그들 亦是 訪問 後期를 블로그 等에 올린 걸 봤다”고 傳했다. 충무동골목市場에서 파는 고갈비는 한 마리에 7000원, 파煎은 5000원이다. 이곳 商人들은 “두 名이 2萬 원 가지고 즐겁고 배불리 먹을 수 있는 곳이 別로 없지 않으냐”며 “이곳이 過去처럼 庶民들이 哀歡을 털어놓고 追憶을 쌓아가는 空間이 됐으면 좋겠다”고 입을 모았다.

釜山=한우신 記者 hanwshin@donga.com
#市場 #釜山 #충무동市場 #고갈비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