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경훈의 트렌드 읽기]‘관계맺기’에 語塞한 韓國人의 SNS|東亞日報

[김경훈의 트렌드 읽기]‘관계맺기’에 語塞한 韓國人의 SNS

  • 東亞日報
  • 入力 2017年 2月 3日 03時 00分


코멘트
김경훈 한국트렌드연구소 소장
김경훈 韓國트렌드硏究所 所長
 韓國人은 모바일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世界에서 斷然 디지털 强國의 名聲을 이어가고 있다. 스마트폰 等 모바일에서의 SNS 加入率은 壓倒的 世界 1位다. 그런데 다른 項目의 調査가 우리를 놀라게 한다.

 SNS를 使用하면서 우리는 하루 平均 1.1時間을 보내는데 이것이 調査對象國 가운데 거의 꼴찌인 것이다. 使用時間 1位 필리핀의 3.7時間, 2位 브라질의 3.3時間은 좀 非正常的인 것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이탈리아(2時間)의 折半 程度고 美國(1.7時間), 스페인(1.6時間), 英國(1.5時間), 中國(1.5時間) 等보다 몇十 分씩 적다. 獨逸이 우리와 비슷하고 우리보다 적은 나라는 日本(0.3時間)李 唯一하다. 最高의 接續 環境과 加入率을 가지고 있는 나라가 使用 時間은 아주 적은 축에 屬하는 것이다. 왜 이런 結果가 나온 것일까.

 因果關係는 比較的 쉽게 推論이 可能하다. 알다시피 SNS는 낯선 사람들에게 自身을 公開하고 그들과 쉽게 關係를 맺을 수 있다는 것이 特徵이다. 그런데 韓國人은 낯선 사람에게 쉽게 곁을 내주지 않는다. 卽 SNS에서 모르는 사람들과의 關係맺기가 많지 않은 便이기 때문에 使用 時間도 적은 것이다. 使用 時間이 極端的으로 적다고 할 수 있는 日本에 對해 그들이 낯선 사람과의 對話 自體를 꺼리기 때문이라는 分析이 나오는 것과 비슷한 脈絡이다.

 그런데 트렌드 硏究者로서 나의 關心은 다른 範疇로 달려간다.

 바로 未來다. 只今 世界는 4次 産業革命과 超連結 時代로 가고 있는데 韓國人은 過去의 文化的 慣習을 그대로 간직한 채 未來를 맞이할 것인가 하는 點이다. 民族마다 心理的 特徵은 長短點이 있는 것이니 살던 대로 생긴 대로 살면 되지 이게 무슨 問題가 될까. 그런데 問題가 될 수 있다.

 요즘 廣告를 통해 ‘우리가 어떤 民族입니까’라는 멘트를 種種 듣는다. 韓國人은 類似 家族的 關係의 울타리 안에서는 宏壯히 편안해하고 쉽게 信賴를 보내며 좀처럼 關係를 끊지 않는다. 反面 그 울타리 바깥은 다른 世上이다. 信賴 주기에 인색하고 關係맺기 自體에 語塞해하고 甚至於 排他的 態度를 보인다. 다름 아닌 ‘心理的 距離두기(detaching)’다. 元來 心理的 距離두기는 危險 回避를 위해 他人과의 關係에 일정한 防禦線을 치는 것으로, 普遍的인 人間 心理다. 하지만 韓國人은 主觀的인 類似 家族의 境界를 中心으로 防禦線 안쪽과 바깥의 사람들에 對한 差異, 差別이 甚한 便이다.

 이 問題를 深刻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될까. 4次 産業革命과 超連結 時代의 일, 作業 環境, 關係맺기의 方式은 SNS나 디지털 네트워크의 屬性을 따른다. 이 時代에는 낯선 사람들과 對面, 非對面으로 만나고 協力하고 일하는 것이 더욱 日常化될 뿐만 아니라 이런 方式이 物質的 富와 情緖的 價値 創出의 母胎가 될 것이다. 따라서 適應과 適者生存의 觀點에서 關係맺기에 對한 우리의 慣性的 認識을 省察할 必要가 있다.
  
김경훈 韓國트렌드硏究所 所長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스마트폰 #心理的 距離두기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