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이를 안을까 업을까?[이상곤의 實錄韓醫學]〈132〉|東亞日報

아이를 안을까 업을까?[이상곤의 實錄韓醫學]〈132〉

  • 東亞日報
  • 入力 2023年 2月 24日 03時 00分


코멘트
이상곤 갑산한의원 원장
이상곤 甲山韓醫院 院長
‘國民 畫家’ 朴壽根의 그림 中 ‘아기 업은 少女’라는 作品이 있다. 바쁜 父母를 代身해 아기를 업고 서 있는 少女의 뒷모습은 그의 여느 作品처럼 韓國的 情緖와 庶民의 哀歡을 가득 담고 있다. 하지만 이제 아기를 등에 업은 젊은 엄마의 모습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 乳母車에 태우고 다니거나 가슴 앞으로 안고 다니는 게 日常化되어 있기 때문이다.

우리 祖上들은 왜 아기를 가슴에 안지 않고 업고 다닌 것일까. 여기에는 陰陽의 調和라는 韓醫學的 思惟가 깔려 있다. 韓醫學에서 等은 陽氣(陽氣)가, 배는 陰氣(陰氣)가 흐른다고 본다. 그래서 아기를 업으면 그 自體로 陰陽의 調和가 맞춰지는 것. 배는 本來 차가운 곳으로 여름에도 이불을 덮어야 하는 곳이다. 엄마 等의 뜨거운 熱은 아기의 차가운 배를 따뜻하게 데운다.

우리가 飮食을 먹고 체했을 때 배가 아니라 등을 두드리는 것도 等의 陽氣와 關聯이 깊다. 韓醫學의 古典 難境에는 “등에는 陽氣가 흐르는데 이 部位에 있는 輸血을 刺戟하면 陽氣를 內部로 옮겨 發散한다”는 內容이 있다. 卽, 등을 두드리면 等의 輸血이 刺戟되면서 위로 陽氣가 흘러가고 陽氣를 받은 胃腸은 멈춰 있던 運動을 再開한다는 것.

實際 사람의 등에는 陽氣의 象徵인 督脈(督脈)李 흐른다. 督脈은 온몸의 陽經(陽經)을 統率한다. 人體가 小宇宙라는 前提 아래 督脈은 太陽이 움직이는 軌道다. 東洋의 天文圖에는 太陽의 길인 黃道가 있고 그 지나가는 길에는 28個의 恒星이 存在한다. 督脈에도 恒星처럼 28個의 穴(穴)자리가 存在한다. 腹部에는 陰氣의 象徵인 任脈(任脈)이 있고 24個의 穴자리가 地上에서 24節氣와 같이 흐른다.

越北 韓醫學의 代價인 조헌영 先生(趙芝薰의 아버지)은 自身이 쓴 ‘通俗韓醫學’에서 督脈과 任脈에 對해 이렇게 說明한다. “上司에게 追窮을 當하는 사람은 腹部의 陰脈人 任脈이 作用하여 가슴이 오그라들고 머리가 숙여진다. 反面 意氣揚揚해지면 어깨를 펴고 가슴을 연다. 陽脈人 督脈이 作用하는 것이다.” 그러고 보면 어르신들이 藥水터에서 나무에 등을 繼續 부딪치는 것도 몸속의 陽氣를 깨우기 爲한 方法의 하나임을 알 수 있다. 朝鮮 16代 王 仁祖 때는 賞罰을 제대로 하지 않고 臣下들의 눈치만 보는 賃金을 司諫院이 나서 ‘督脈이 병든 사람’에 比喩하는 上疏를 올리는 일도 있었다.

아이를 가슴으로 안으면 父母의 心臟 소리를 듣고 크면서 情緖的 安定感이 생긴다는 얘기가 있다. 또한 아이와 눈을 맞출 수 있어 感性 發達에 도움이 된다는 分析도 있다. 反面 등으로 업어 키우면 父母의 허리도 保護하고 아기의 배도 따뜻하게 할 수 있는 利點이 있다. 어느 쪽을 選擇할 것인지는 父母의 몫이지만 重要한 點은 等 健康이 온몸의 健康과 直結된다는 事實이다.

東醫寶鑑은 等 管理의 重要性을 强調하며 “健康하게 살려면 가슴을 펴고 살 것”을 注文한다. “等은 가슴 속의 狀態가 나타나는 곳이다 그러므로 등이 구부러지고 어깨가 굽어들면 張差 가슴 속 心臟과 肺가 傷한다.”

이상곤 甲山韓醫院 院長
#아이 #안을까 #업을까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