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푸른 龍의 해, 龍틀임하는 봄날의 섬 트레킹[전승훈의 아트로드]|東亞日報

푸른 龍의 해, 龍틀임하는 봄날의 섬 트레킹[전승훈의 아트로드]

  • 東亞日報
  • 入力 2024年 3月 30日 15時 00分


코멘트

統營 연화도 追悼 섬트레킹

섬은 基本的으로 山이다. 正確히는 물에 빠진 山이다. 그래서 섬 길은 가파르다. 海岸線을 따라 굽이굽이 둘레길을 걷다가 稜線에 오르면 展望이 氣가 막히다. 윤슬이 반짝이는 푸른 바다와 점점이 떠 있는 섬. 海岸 絶壁으로 有名한 慶南 統營 연화도(蓮花島)와 追悼는 섬 트레킹의 眞髓를 맛보게 해준다. 푸른 龍의 해 甲辰年, 龍틀임하는 섬 트레킹으로 봄 旅行을 始作해보자.

統營 연화도 寶德庵에서 바라본 龍머리 海岸.
●용이 꿈틀대는 연화도

아직 해도 뜨지 않은 이른 새벽. 慶南 統營旅客船터미널 앞 西湖市場에서 시락국(시래깃국)을 먹는다. 長魚 뼈를 푹 고아서 만든 국물에 시래기를 넣고 끓인 後 제피가루, 靑陽고추를 넣어서 먹는 統營 別味다. 시락국으로 아침을 먹고 나니 解酲이 되면서 힘이 난다. 午前 6時 半 연화도-욕지도행 배를 타니 바다 위로 해가 떠오른다.

통영항에서 出發한 배에서 바라본 日出.
統營에서 南쪽으로 24km 떨어져 있는 연화도에 1時間 만에 到着한다. 먼바다에서 바라보면 蓮꽃 模樣을 닮았다고 하는 연화도는 여름에 섬 全體에 피어나는 水菊으로 有名한 섬이다. 연화浦口에 내려서 마을을 걷다 보면 全校生이 달랑 2名뿐인 元良初等學校 연화分校를 만난다. 學校 옆에는 煙火師가 있고, 더 올라가면 海岸 絶壁에 아슬아슬하게 서 있는 寶德庵이 있다.

연화分校.
바닷가에 있는 절들이 大部分 그러하듯 寶德庵度 觀音聖地(觀音聖地)다. 연화도 龍머리 海岸이 바라보이는 絶景에 한 가지 所願은 꼭 들어준다고 하는 觀世音菩薩像이 서 있다. 講院 襄陽 洛山寺 紅蓮癌, 仁川 江華 席毛島 낙가산 普門寺, 慶南 南海 보리암 等 바닷가에 있는 절에는 해수관음상이 모셔져 있다.

統營 연화도 寶德庵 해수관음상.
觀世音菩薩이 元來 남(南)印度 바닷가에 있는 ‘ 補陀落加算(普陀洛迦山)’에 살고 있었다고 傳해지기 때문이다. 寶德庵 해수관음상으로 가는 길에는 冬柏꽃이 통째로 떨어져 붉은 주단 길을 만들었다.

연화도 寶德庵 冬柏꽃길.
연화도 트레킹은 最高峯인 연화봉(212m)에서 始作한다. 연화봉에서는 섬 全體가 한눈에 들어온다. 稜線을 타고 東쪽에 있는 동두마을로 걸어간다. 연화도 東쪽 奇巖絶壁으로 形成된 海蝕崖(海蝕崖·海岸 浸蝕과 風化 作用으로 생긴 낭떠러지)인 龍머리바위 年俸 위를 걷는 길이다. 이 길은 ‘統營 8頃’의 하나로 꼽힐 程度로 天下絶景이다. 삐죽삐죽 솟은 봉우리들은 용이 大洋을 向해 헤엄쳐 나가는 모습처럼 꿈틀댄다. 섬 一周(一周) 觀光버스 技士님 解說에 따르면 봉우리들은 龍 목 部分 위에 튀어나온 ‘龍의 비늘’이며, 龍머리는 바닷속에 잠겨 있다고 한다. 龍이 바다 위로 머리를 들어 올리는 날, 저 바위들이 솟구치면서 波濤를 뚫고 하늘로 날아가리라.

龍머리 海岸 트레킹 中 展望 좋은 곳에 자리를 잡고 西湖市場에서 사온 忠武김밥과 컵라면으로 點心을 먹는다. 周邊을 둘러보니 露地(露地)에서 피어난 野生 갓이 자라고 있었다. 갓잎을 따다가 맛을 보니 알싸한 香氣가 코를 찌른다. 입맛을 돋구는 봄의 맛이다.

龍머리 海岸으로 向하는 트레킹 코스에는 곳곳에 奇巖絶壁과 海松, 冬柏 숲이 어우러진다. 筋肉質 바위들이 海岸을 감싸고, 北韓産 私募바위 같은 네모난 돌이 絶壁 꼭대기에 올라가 있기도 하다.

연화도 望夫石.
龍머리 海岸 끝에 동두마을이 있다. 둥근 海岸線에 푸른 물결이 넘실대는데, 그 위 네모난 養殖場들이 圖形美를 膳賜한다.

연화도 동두마을.
龍머리 年俸을 이어주는 잘록한 峽谷 사이에는 출렁다리가 놓여 있다. 하늘 위를 걷는 듯한 威容을 자랑한다.

연화도 출렁다리.
바닷가에 핀 冬柏꽃.
龍머리 바위 길에서 다시 돌아와 동두마을 海邊으로 내려온다. 海邊 마을버스 停留場에서 ‘需要應答型 마을버스’에 電話를 건다. 1000원을 내니 마을버스 運轉士가 연화도 港口로 다시 데려다 준다. 이 運轉士는 가파른 山길을 能熟한 솜씨로 드라이브하면서 섬 곳곳을 說明해준다. “여름에 水菊 꽃이 필 때 섬에 한 番 더 오이소.”

●‘섬 映畫祭’ 열리는 追悼

統營 앞바다 閑麗水道에는 수많은 섬이 있다. 통영항 周邊에 宿所를 定해 놓고 每日 아침에 섬 한 곳씩 다녀오는 트레킹 旅行客도 있다.

‘追悼 섬마을 映畫祭’ 象徵物이 세워져 있는 統營 追悼 對抗馬을 船着場.
통영항에서 南西쪽으로 14.5km 海上에 있는 追悼는 觀光客이 북적대는 섬이 아니라 住民들만 살고 있기 때문에 호젓하게 트레킹을 즐길 수 있다. 걸어서 2時間 程度면 섬을 한 바퀴 돌 수 있는 追悼에는 미조, 對抗 두 港口 마을에 住民 70~80名이 살고 있다.

미조항 마을에는 統營 名物 ‘追悼 厚朴나무’가 있다. 1984年 天然記念物로 指定된 追悼 厚朴나무는 높이 10m, 가슴 높이 줄기 둘레가 3.67m에 이른다. 樹齡 500年假量의 이 나무는 四方으로 뻗은 가지가 東西 15m, 南北 14m에 이르며 넓은 그늘을 만들어낸다.

樹齡 500年으로 推定되는 天然記念物 統營 追悼 厚朴나무.
미조항에서 出發해서 섬을 一周하는 길을 걷는다. 道路 周邊에 있는 키 큰 소나무에 덩굴이 늘어지며 密林처럼 우거져 있다. 용두암 近處 바다에서 거북손이 다닥다닥 붙어 있는 배를 타고 미역을 따는 어르신 모습이 봄을 느끼게 했다.

追悼 龍頭岩.
對抗馬을 方向으로 좀 더 걸어가니 追悼의 가장 아름다운 景致로 꼽히는 샛갯끝이 나온다. 샛개란 ‘사이에 있는 바다’라는 뜻. 샛갯끝은 海岸으로 삐죽하게 600m假量 튀어나온 串이다. 솔잎 쌓인 오솔길에는 빠알간 冬柏꽃이 뚝뚝 떨어져 있다. 샛갯끝은 연화도 龍머리海岸을 걷는 것과 비슷한 海岸 絶壁 絶景을 보여준다.

바위 옆으로 바라보이는 바닷가 물결 위로 햇살이 부서진다. 반짝반짝 빛나는 윤슬이다. 낚싯배가 미끄러지듯 달려오면서 물거품 자국으로 援護를 그린다.

샛갯끝 앞에는 ‘개와 늑대의 時間’ ‘라스트 필름’ 等을 찍은 映畫監督 전수일(경성대 敎授)의 집이 있다. 그리스 산토리니처럼 푸른 바다를 내려다보는 언덕 위에 지어진 펜션에는 ‘追悼 컬처클럽 리조트’란 看板이 걸려 있다. 전수일 監督은 “4年쯤 前 追悼에 처음 와서 閑寂함과 조용함에 反해 追悼에 눌러살게 됐다”고 말했다. 前 監督은 “다른 섬처럼 觀光地로 開發이 되지 않고 조용한 것이 追悼의 魅力”이라고 말했다.

‘追悼 섬마을 映畫祭’가 열리는 追悼 컬처 클럽의 바다가 내려다보이는 圓形劇場.
펜션 앞마당에는 地中海처럼 시퍼런 바닷물을 背景으로 圓形 舞臺가 設置돼 있다. 約 100名까지 앉을 수 있는 客席 앞에서 音樂會나 콘서트, 詩 朗誦會 等이 열린다고 한다. 저녁에 스크린을 걸어놓으면 그대로 野外 映畫館이 되는 이곳에서 前 監督은 지난해부터 ‘追悼 섬마을 映畫祭’를 開催하고 있다.

5月 17~19日 열리는 올해 ‘追悼 섬마을 映畫祭’의 主題는 ‘詩(詩)와 섬’. 映畫監督 3名이 約 1週日間 追悼에서 머물면서 詩를 모티브로 撮影한 短篇映畫 3篇을 上映할 豫定이다. 映畫祭가 열리는 섬이라 그런지 港口 防波堤 곳곳에는 映畫 필름 模樣으로 새겨진 ‘追悼’ 看板과 나무彫刻 裝飾이 붙어 있다.

前 監督은 “푸른 바다를 背景으로 映畫를 鑑賞하고 俳優와 監督, 게스트와 文學人들이 함께 어우러져 詩 朗誦과 콘서트를 즐기는 섬 映畫祭는 平生 꿈꿔 오던 祝祭”라고 말했다.

追悼 梅花.

전승훈 記者 raphy@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