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글의 科學性’ 밝히려던 외솔 崔鉉培 先生…後孫이 그 꿈 이루다|동아일보

‘한글의 科學性’ 밝히려던 외솔 崔鉉培 先生…後孫이 그 꿈 이루다

  • 東亞日報
  • 入力 2022年 10月 6日 13時 53分


코멘트
“一生 동안 變치 않는 한 가지를 남겨라.”

日帝로부터 우리말을 지켜낸 외솔 崔鉉培 先生(1894~1970)은 生前 그의 孫子인 최홍식 세종대왕기념사업회腸(69)에게 이런 親筆을 남겼다. ‘朝鮮語學會’ 會員으로 日帝强占期 우리말을 硏究하고 한글날을 制定한 외솔은 “訓民正音은 發音器官의 模樣을 本 딴 科學的인 文字”라는 事實을 밝혀내기 위해 一生을 바쳤다. 그는 只今으로부터 80餘 年 前 訓民正音의 創製 原理를 音聲醫學的인 方式으로 풀어내려 試圖했던 先驅者였다.

외솔 최현배 선생이 생전 남긴 한글교육 관련 저서. 외솔은 50여 권에 달하는 한글교육서 등을 남겼다. 독립기념관 제공
외솔 崔鉉培 先生이 生前 남긴 한글敎育 關聯 著書. 외솔은 50餘 卷에 達하는 한글敎育서 等을 남겼다. 獨立記念館 提供

외솔의 孫子인 최홍식 세종대왕기념사업회腸(69)은 “할아버지가 남긴 課題를 푸는 것이 一生 동안 제가 남겨야 할 變치 않을 한 가지”라고 말했다. 耳鼻咽喉科 醫師이기도 한 그는 4日 午後 進行한 인터뷰에서 “할아버지는 發音器官을 本 딴 한글의 科學性이야말로 우리말이 가진 힘이자 强力한 뿌리라고 말씀하셨다”며 “외솔의 後孫인 나는 그보다 더 正確하고 科學的인 方式으로 할아버지가 지켜낸 우리말의 뿌리를 잇고 싶다”고 했다.

耳鼻咽喉科 醫師인 그가 할아버지를 쫓아 訓民正音을 硏究하기 始作한 건 2012年 무렵이다. 외솔회 理事長을 맡아 祖父가 1941年 처음 出刊한 ‘한글갈’을 처음 接하면서다. 외솔은 이 冊에서 中性子(·, ㅡ, ㅣ)는 하늘과 땅, 사람이 서 있는 模樣을 본떠 만든 ‘天地人(天地人)’ 思想을 本 딴 것이라고 解釋하는 旣存 한글學界 見解와 달리 中性子 亦是 發音器官을 本 딴 象形文字일지 모른다는 새로운 疑問을 提起했다.

“耳鼻咽喉科 醫師로서 發音器官의 構造를 硏究해온 것이 큰 도움이 됐어요. 우리 글字를 發音할 때 發音器官의 模樣을 컴퓨터 斷層 撮影(CT) 等 音聲醫學的인 方式으로 分析한다면 할아버지가 품었던 疑問을 밝혀낼 수 있을 거라는 確信이 있었습니다.”

최홍식 세종대왕기념사업회장은 4일 오후 서울 강남구 자신의 병원에서 조부인 외솔 최현배 선생이 1941년 출간한 ‘한글갈’을 펼쳐보이고 있다. 이소연 기자 always99@donga.com
최홍식 세종대왕기념사업회腸은 4日 午後 서울 江南區 自身의 病院에서 祖父인 외솔 崔鉉培 先生이 1941年 出刊한 ‘한글갈’을 펼쳐보이고 있다. 이소연 記者 always99@donga.com

崔 會長이 最近 大寒後頭音聲言語醫學會誌에 發表한 ‘中性子 制字解에 對한 音聲言語醫學的 考察’이라는 論文에는 2015年부터 6年間 이어온 硏究의 結果가 담겼다. 이 論文에서 崔 會長은 中性子(·, ㅡ, ㅣ)를 發音할 때 口腔과 人喉頭講義 모습을 CT로 撮影해 “中性子 亦是 發音器官의 模樣을 本 딴 象形文字”라고 主張했다. 1941年 외솔이 著書 ‘한글갈’에 품었던 疑問을 그의 孫子가 밝혀낸 것. 그는 “來年에는 自己共鳴映像(MRI) 技法으로 發音器官을 硏究해 只今보다 더 正確한 分析 結果를 내놓을 것”이라고 말했다.

“더 나아가 카이스트(KAIST)와 協業해 우리 글字를 말할 때 發音器官의 模樣을 3D로 입체화하는 硏究를 進行할 計劃이에요. 陰性醫學, 컴퓨터工學을 融合한 저만의 方式으로 한글의 優秀性을 밝혀내고 싶습니다.”

이소연記者 always99@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