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나무 다리 건너면 隱者의 땅…悠悠自適 걸어볼까[전승훈의 아트로드]|東亞日報

외나무 다리 건너면 隱者의 땅…悠悠自適 걸어볼까[전승훈의 아트로드]

  • 東亞日報
  • 入力 2022年 7月 9日 14時 00分


코멘트
慶北 영주는 小白山 자락에 둘러싸인 隱者(隱者)의 땅이다. 깊은 山과 맑은 물소리, 글을 읽는 소리가 끊이지 않는 선비의 땅이다. 朝鮮 最初의 書院이자 賜額書院人 紹修書院에서는 只今도 소나무 숲 속에서 글 읽는 소리가 들린다. 휘돌아가는 江물에 둘러싸인 무섬마을은 17世紀 丙子胡亂 後 出仕를 斷念한 선비들이 忠節과 隱者의 精神으로 들어가 살기 始作했던 마을이다. 그런가하면 6.25以後에는 避難民들이 모여들었다. 北韓에서 내려온 避難民들은 風紀人蔘과 風紀人絹을 地域의 名物로 만들었다. 마을 共同體가 살아 있는 文化都市人 榮州에서 品格있는 선비文化를 體驗하는 旅行을 떠났다.




●무섬마을로 들어가는 외나무 다리
이른 새벽, 밤새 내린 비가 그치고 나니 새소리에 잠을 깼다. 江가로 나갔다. 새벽空氣에 江물 위에는 옅은 안개가 끼었다. 金빛 모래가 펼쳐진 들판에는 느릿한 江물이 曲線을 그린다. ‘엄마야 누나야 江邊 살자’는 노래가 저절로 떠올려지는 風景이다.

江물이 山에 막혀 물도리동을 만들어낸 영주의 무섬마을. 무섬은 ‘물 위에 떠 있는 섬’이란 뜻이다. 行政地名은 수도리(水島里)다. 앞은 물로 가로막혀 있고 뒤는 山으로 둘러싸여 섬처럼 孤立된 마을이다. 風水地理上 ‘물위에 핀 蓮꽃(蓮花浮水形)’ 또는 ‘梅花 떨어진 자리(梅花落地形)’로 풀이되는 길지다. 17世紀에 拍手가 丙子胡亂 後 出仕를 斷念하고 이 곳에 들어와 萬죽材를 짓고 살면서 생긴 集姓村이다.

이 마을에 들어가려면 외나무 다리를 건너야 했다. 只今은 널찍한 콘크리트 다리(水道橋)가 놓였지만, 아직도 S字 模樣으로 생긴 외나무 다리(藥 150m)는 그대로 남아 있다. 半圓形으로 자른 나무를 대충 다듬은 뒤 얕은 물길 위에 세운 것이다. 幅이 20~30cm에 不過한 외나무 다리를 건너는 것은 짜릿한 스릴이 넘친다. 외나무 다리에서 怨讐를 만나지 말기만을 바랄 뿐이다. 가끔 가다가 삐걱대고, 덜커덩 거리기도 한다. 是認 位抄하는 ‘무섬幸여나 물여울에 마음을 뺏기면 물멀미가 나고, 均衡을 잃을 수도 있다. 물은 깊지 않지만 옷과 所持品이 젖어 狼狽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혼자 걷는 길이다. 앞서거니 뒷서거니 그렇게 마음이 굽은 듯 외나무 다리를 건너거들랑 물너울에 마음을 뺏기지 말아야 한다’(위초하의 時 ‘무섬 외나무 다리에 서면’)



예전에는 마주오는 사람과 만나면 한 사람이 앉고, 그 위를 넘어갔다고 한다. 只今은 中間中間에 ‘잠깐 비켜다리’를 만들어놔 마주오는 사람과 人事하고 對話도 나눌 수 있다. 무섬마을의 외나무다리는 드라마, 映畫, 廣告 撮影地가 되기도 하고, 韓國의 아름다운 길 100線에 選定돼 名所가 됐다.


다리를 건너서 들어간 무섬마을은 기와집과 草家집이 옹기종기 모여 있는 골목길이 정겹다. 돌로 쌓은 담牆에는 접시꽃이 한창 피었다. 草家집에는 ‘까치구멍집’이라는 說明이 써 있다. 지붕의 龍마루 兩쪽에 구멍이 뚫려 있는 까치구멍집이다. 까치구멍은 暖房이나 調理 時 發生하는 煙氣를 外部로 輩出하고 낮에는 빛을 받아들여 집 안을 밝혀주며 通風과 濕度를 調節하는 숨구멍 役割을 한다고 한다. 무섬마을에서는 까치구멍집, 기와집을 골라서 民泊을 할 수도 있다.


●선비文化 體驗할 수 있는 선비世上


무섬마을에서 나와 발걸음을 紹修書院으로 옮긴다. 1542年 풍기郡守 周世鵬이 最初의 性理學者인 晦軒 安享(1243~1306) 先生을 기리고자 백운동書院을 建立한 것이 書院의 始初다. 紹修書院 入口에 들어서니 鬱蒼한 소나무가 반긴다.


書院 앞 죽계천에는 退溪 李滉이 터를 닦고 ‘醉한대(翠寒臺)’란 이름을 붙인 亭子가 그림같이 놓여 있다. 선비들이 푸른 山의 기운과 시원한 물빛에 醉하여 詩를 짓고 風流를 즐기던 곳이다. 죽계천에는 周世鵬이 쓴 ‘卿(敬)’ 字가 새겨진 바위도 있는데, 그 앞에서 검은 가마우지 한 마리가 놀고 있었다.


書院 안으로 들어가니 장맛비 떨어지는 처마 너머로 글 읽는 소리가 들렸다. 江學堂 안에는 머리에 宕巾을 쓰고 두루마기를 입은 어르신 두 名이 있었다. 황영회(72) 氏는 “紹修書院을 찾는 訪問客에게 선비精神을 보여주기 위해 地域住民들이 組를 짜서 江學堂에서 글을 읽는다”고 말했다.


紹修書院 隣近에는 榮州의 선비文化를 現代的으로 되살린 테마파크도 들어섰다. 9月3日 門을 여는 K-文化 테마파크 ‘선비世上’이다. 韓屋, 韓服, 한글, 韓國音樂, 韓紙, 韓食村 等 6個 테마別 展示館을 造成했다.



지난달 24日 선비世上의 亭子에서 열린 音樂과 冥想이 함께한 ‘웰니스 숨숨公演’은 비오는 날씨에 더욱 어울리는 힐링體驗이었다.


이 곳에서는 선비의 理想鄕을 主題로 한 沒入型 미디어아트와 韓紙뜨기 및 多道體驗, 한글놀이터 等 多樣한 타깃層을 겨냥한 콘텐츠와 體驗프로그램이 運營된다.



壯元及第 行列을 18m 規模로 具現한 ‘오토마타’ 人形劇이 공연되기도 한다. 敷地 面積만 96萬974㎡ 에 達한다. 영주시는 事業費 1700億 원을 投入, 9年 만에 선비世上을 完工했다.


公式 開館을 앞두고 22日부터 8月 15日까지 每週 土, 日曜日과 光復節에 一般人을 對象으로 無料 臨時開放을 進行한다. 이 期間 中에는 선비世上 퍼레이드 公演과 ‘힙(hip)선비’ 크루의 風流한마당, 뮤직콘서트, 저잣거리酒페스티발夜, 한스타日 플리마켓 等 다채로운 이벤트가 열릴 豫定이다.



●마을共同體가 살아 있는 文化都市


이여운 작가의 ’신기루-노동당사‘(캔버스에 수묵화)
이여운 作家의 ’蜃氣樓-勞動黨舍‘(캔버스에 水墨畫)


지난달 24日 榮州市內 경북전문대 안에 있는 148아트스퀘어에서는 이여운 作家가 캔버스 천에 水墨畫로 그린 勞動黨舍 그림 앞에서 민경인 재즈피아니스트의 公演이 펼쳐졌다. 100餘 名의 觀客들은 公演이 끝난 後에 열띤 拍手를 보내며 민경인, 이여운, 권무형 作家와 함께 對話하는 時間을 가졌다.



이곳은 한때 煙草製造廠이었던 담배工場 建物을 리모델링해 地域民을 위한 複合文化藝術 創作空間으로 再탄생시킨 곳이다. 가로 100m, 세로 48m를 뜻하는 148아트스퀘어는 公演場(117席)을 비롯해 展示場, 演習室, 북카페, 創作作業室 等을 갖추고 있다.


옛 榮州驛 周邊의 골목길과 中央市場, 365市場, 厚生市場 近處에는 榮州 近代歷史 文化의 거리가 造成돼 있다. 그 中에서 榮州1棟 頭緖길 一帶 ‘管四骨’을 찾는 사람들의 발길이 이어진다. 이곳은 日帝强占期에 영주역에서 勤務하던 鐵道職員들이 居住하던 官司가 모여 있는 마을. 골목길 곳곳에는 담牆 가득 ‘銀河鐵道 999’가 그려져 있는가 하면, 아예 커다란 汽車 造形物이 設置된 壁도 있다. 굽이굽이 마을 길을 오르며 땀이 맺힐 즈음 숨이 확 트이는 展望臺 ‘부용대’가 나타난다. 부용대에서 바라다보이는 小白山 稜線도 아름답지만, 옹기종기 모여 앉은 市街地가 한눈에 보여 都市 夜景을 보기에도 安城맞춤이다.

沙果로 有名한 영주의 시골길에는 草綠色 沙果가 달린 沙果나무를 곳곳에서 만난다. 一部는 한쪽 面이 붉그스레 익어가기 始作했다. 영주의 特産物 中에는 ‘不석태(콩)’도 有名하다.


우리나라 最高의 木造建物인 無量壽殿이 있는 浮石寺 隣近은 ‘콩 마을’로 불린다. 콩世界 科學館에 가면 不석태 이야기를 보고 들을 수 있고, 榮州 부석면에 있는 콩世界 科學館에서는 不석태 이야기를 보고 들을 수 있다. 隣近 洞네는 ‘콩 마을’로 불린다. ‘不석태 콩타령’을 부르는 ‘콩 할매 合唱團’은 榮州 人蔘祝祭, 謝過祝祭 舞臺에 오르면서 一躍 洞네 스타로 急浮上했다. ‘콩 마을‘은 2020年 慶北道 幸福農村만들기 콘테스트에서 文化·福祉 分野에서 大賞을 受賞했다.



隣近에 廢校된 斧石北部初等學校를 리모델링한 榮州 소백藝術村에는 마을住民들로 構成된 모듬북 打樂팀 ‘落&무‘가 練習과 公演을 한다. 소백藝術村은 ‘劇團 미추’의 마당놀이 資料 保管所와 備品室과 演習室, 衣裳室, 音樂室 等을 갖춘 創作을 위한 空間으로도 活用되고 있다.



小白山 玉女峯 자락에 있는 國立山林治癒願은 숲 속에서 힐링을 體驗하는 施設이다. 山林治癒指導士 80餘 名이 常住해 스트레스 解消와 心身 安定에 卓越한 山林治癒 프로그램을 해준다. 無障礙 데크로드를 따라 숲속 길을 걷고, 소나무 밑에서 해먹에 누워 冥想도 할 수 있다. 數値油센터에선 14가지 種類의 다양한 水壓마사지를 받을 수 있다.

●亂世를 避해 오는 곳

6.25 戰爭 戰後 영주 풍기읍에는 北韓 黃海道와 平安道에서 내려온 避難民들이 몰려들었다. 民草들이 亂世에 몸을 保全할 最適地는 ‘嶠南洋白(嶠南兩白ㆍ嶺南의 소백과 太白 사이)’이라는 ’鄭鑑錄‘에 豫言된 말을 믿고 風紀로 내려온 避難民들이다. 30~40年 前만해도 風紀의 60代 以上 人口의 約 70%가 北에서 내려온 이들이었다고 한다.


이들 中엔 명주의 本고장인 平安道 寧邊 德川 等地서 南下한 織物工場 經營者와 技術者들이 많았다. 그들은 나무에서 실을 뽑은 人絹絲를 原料로 한 人絹織物을 짜기 始作했다. 以後 風紀에는 人絹을 짜는 집이 한때 2000餘 號를 넘었고, 邑內의 골목에선 ‘철커덕 철커덕’ 織造機 소리가 끊이지 않았다고 한다. 人絹은 시원하고 靜電氣가 생기지 않아 ‘에어컨 이불’ ‘冷藏庫 纖維’로 불리며 요즘 같은 끈적끈적한 여름철에 人氣 滿點이다.

風紀人蔘이 名品 브랜드로 자리잡는 데에도 個性과 黃海道 等地에서의 보다 앞선 栽培技術을 익힌 避難民들의 影響이 크다. 풍기읍內 平壤冷麵집人 ‘西部冷麵’도 避難民들 德分에 생겨난 곳이다. 只今은 全國의 冷麵 마니아들이 꼭 들러야 하는 巡禮地로 꼽힌다.



領主에는 묵집度 많다. 山間 地方이 많은 영주는 예부터 메밀 栽培가 흔해 祭祀나 잔치를 지낼 때 메밀묵이 빠지지 않았다고 한다. 그런데 묵집에는 김치찌개와 비슷한 ‘太平初’라는 多少 낯선 이름이지만 맛이 氣가막힌 메뉴가 있다. 잔칫날 먹고 남은 메밀묵과 돼지고기, 김치를 넣어 끓여 먹은 찌개라고 한다. 먹고 살기 힘들던 時節, 어머니께서 묵을 쑤어 배고픈 사람들에게 아낌없이 나눠주던 영주의 鄕土飮食이다.




전승훈 記者 raphy@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