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눈빛만 보아도 알아요[손진호의 只今 우리말글]|東亞日報

눈빛만 보아도 알아요[손진호의 只今 우리말글]

  • 東亞日報
  • 入力 2021年 1月 24日 08時 19分


코멘트
동아일보 DB
東亞日報 DB
‘눈부처’란 말이 있다. ‘눈瞳子에 비치어 나타난 사람의 形象’을 말하는데, 童子부처라고도 한다. 장승욱 氏는 著書 ‘재미나는 우리말 도사리’에서 ‘눈은 마음의 窓’이라고 했으니, 사랑하는 사람의 마음의 窓에 自己 自身을 비추어 보고, 그때의 오롯한 마음이 어찌 부처의 마음과 다를 것이냐고 했다. 理解할 듯도 싶다. ‘眞實한 사랑은 눈을 보면 안대요’라는 노랫말이 있듯 눈빛만 봐도 무슨 말을 하려는지, 眞心이 뭔지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말은 눈으로 많은 얘기를 한다. ‘눈썰미’와 ‘눈圖章’, ‘눈총’과 ‘눈毒’ 等이 代表的이다. 눈썰미는 한두 番 보고 그대로 해내는 재주다. ‘귀썰미’도 있는데, 한 番 들은 것을 그대로 흉내 내는 재주를 말한다. 허나 아쉽게도 이 말을 아는 이가 그리 많지 않다. 그런가 하면 사람들은 出席했다고 하는 代身 ‘눈圖章’을 찍었다고도 한다.

눈총은 毒氣를 띠며 쏘아보는 視線이다. 名節 때 조카 等에게 就業, 結婚 等 敏感한 問題를 눈치 없이 던지다간. 어김없이 받는 눈화살이다. ‘눈毒을 들이다’의 눈毒은 欲心을 내어 눈여겨보는 기운이다. ‘눈결’은 눈에 슬쩍 뜨이는 잠깐 동안을 이른다.

마음의 傳令이기도 한 눈의 世界엔 이 밖에도 재미난 낱말들이 많다. ‘白眼視(白眼視)’ ‘靑眼視(靑眼視)’가 그렇다. 白眼視는 남을 업신여기거나 無視하는 態度로 흘겨보는 걸 말하는데, 中國의 陳書(晉書) ‘완적전(阮籍傳)’에 나온다. 秦나라 때 竹林七賢의 한 사람인 頑敵이 반갑지 않은 손님은 白眼(白眼)으로 對하고, 반가운 손님은 靑眼(靑眼)으로 對한 데서 由來한다. 白眼은 흘겨볼 때 흰자가 많이 보이는 데서 생겨난 낱말이다. 白眼視에서 얼굴을 더 틀어 相對를 ‘眼界(眼界)’, 卽 눈으로 바라볼 수 있는 範圍 밖으로 밀어내면 度外視(度外視)나 無視(無視)가 된다. 이마저도 容納 못해 얼굴을 돌려버리면 서로 猜忌하고 미워하는 ‘反目(反目)’과 敵으로 여기는 敵對視(敵對視) 狀態가 된다. 이때쯤이면 가시눈, 도끼눈, 송곳눈이 활개 친다. 하나같이 敵意를 가지고 날카롭게 쏘아보는 눈이다. 이와 달리 靑眼視는 남을 달갑게 여겨 좋은 마음으로 보는 것을 말한다.

누가 뭐래도 눈의 世界에서 돋보이는 낱말은 ‘눈꼬리’가 아닐까 싶다. 한때 ‘눈초리의 잘못’으로 묶여있었지만 言衆의 말 씀씀이에 힘입어 標準語가 됐다. 한番 생각해보라. ‘눈꼬리’와 ‘눈초리’가 같은 말일 수는 없다. 눈꼬리는 볼 수 있지만, 눈초리는 느낄 수만 있으니 말이다.
뉴시스

‘코와 입을 가려도 따스한 눈웃음은 가려지지 않아요.’ 서울圖書館 꿈새金판의 글句처럼 한 番이라도 더 서로에게 微笑를 보내자. ‘눈마중’으로 만나고 ‘눈배웅’으로 헤어졌으면 하는 요즘이다.

손진호 어문기자 songbak@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