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밝고 鮮明한 寫眞만 眞實일까?[전승훈 記者의 디자인&콜라보]|東亞日報

밝고 鮮明한 寫眞만 眞實일까?[전승훈 記者의 디자인&콜라보]

  • 東亞日報
  • 入力 2020年 11月 25日 14時 00分


코멘트
사진작가 민병헌
寫眞作家 민병헌


● 민병헌의 ‘새’ 寫眞展을 보고
구름 한 點 없이 날씨가 맑은 날. 스마트폰 카메라로 하늘을 찍으면 새파랗게, 丹楓을 찍으면 타오르는 듯 붉게 나온다. 明暗의 對比가 뚜렷한 原色(原色)의 饗宴! 누구나 폰카만 있으면 웬만한 프로 寫眞作家 못지 않게 찍어낼 수 있는 時代다.

그런데 서울 江南區 언주로 갤러리나우에서 만난 寫眞作家 민병헌의 寫眞은 달랐다. 다음달 2日까지 展示되는 민병헌의 ‘새’ 聯作은 온통 희뿌연 寫眞들이다. 짙은 안개가 낀 바다 位, 구름이 잔뜩 낀 하늘, 눈인지 比인지 알 수 없는 진눈깨비가 내리는 湖水에 새들이 날거나 앉아 있다.



“普通 寫眞을 찍는다고 하면 햇볕이 쨍한 날 午後 2時에 電報대를 찍잖아요. 파란 하늘과 흰구름, 그림자의 밝고 어둠의 콘트라스트(對比)가 强烈하죠. 그런데 現實은 늘 그런가요?” 민 作家는 日常에서는 오히려 흐릿한 빛이 더 많다는 事實을 일깨웠다. 假令 寢臺에 누워서 밤에 불을 끄고 있으면 빛이 稀微하게 비친다. 그는 70年代 末에 寫眞을 처음 찍기 始作할 때부터 ‘寫眞은 거짓말을 못한다’는 事實에 魅力을 느꼈다고 했다.

“빛이 剛한 것만 리얼리티가 있는 것일까요. 寫眞이란 結局 光線에 對한 이야기입니다. 빛이 剛하냐, 弱하냐의 差異일 뿐입니다. 새벽 안개가 꼈든, 눈과 비가 오는 날이든 어떤 날씨에서도 빛은 結局 事實입니다. 但只 光線이 宏壯히 어두울 뿐이죠.”

그는 요즘도 徹底히 필름카메라로 찍고 暗室에서 印畫하는 아날로그 作業만 한다. 디지털 技術로 새 한 마리쯤 넣고 빼는 것은 식은 粥 먹기인 時代. 그는 컴퓨터 代身에 구름과 안개와 같은 날씨가 自然的으로 演出해주는 것만 利用할 뿐이다. 그래서 민 作家는 主로 비와 눈이 내리는 날에 카메라를 들고 나선다. 흐릿한 風景을 찍느라 그의 카메라는 늘 濕氣에 젖어 있다. 그래서 몇 年 쓰지 못하고 故障이 난다.



“제가 重刑카메라로는 ‘롤라이플렉스(Rolleiflex) 6008’을 씁니다. 옛날엔 핫셀블라드를 썼는데 暗室作業을 해보면 콘트라스트가 너무 剛하게 나왔어요. 제가 追求하는 寫眞과 달라 바꿨어요. 롤라이플렉스가 斷種되기 前에 미리 3臺를 사놨어요. 그런데 이미 다 故障이 났어요. 카메라는 비맞고 눈맞으면 濕氣 때문에 故障이 잘 나기 때문이죠.”

그의 作業室은 17年間 京畿 楊平郡 서종면 문호리에 있었다. 그는 양수리에서 새벽에 東트기 前에 안개가 津하게 꼈을 때 寫眞을 찍었다. 그는 5年 前부터는 全北 群山의 100年 된 故宅으로 移徙했다. 群山 隣近의 西海 바다의 섬과 湖水에서 새들을 찍는다. 그의 새가 있는 흐릿한 風景 寫眞은 프랑스 出版社(Atelier EXB)에서 ‘DES OISEAUX’라는 題目의 冊으로 出刊됐다.

“저는 潮流 硏究家나 生態寫眞家가 아닙니다. 굳이 말하자면 어떤 對象을 보든지 火因 아트(Fine Art·純粹 美術) 槪念으로 보는 사람입니다. 하늘에서 새가 날아다니는 寫眞을 찍지만, 그것들이 이 畵面 안에서 어떻게 아름답게 構成되는지에 關心이 있죠. 제 寫眞은 흐려서 가까이에서는 잘 안 보이지만, 오히려 조금만 떨어져서 보면 모든 것이 잘 보입니다.”

그래서一家. 어둑어둑하고 濕氣가 찬 듯한 그의 寫眞을 보고 있노라면 마음이 가라앉으면서 깊은 冥想에 빠져든다.



“갈매기 한 마리가 제게 相當히 가까이 날아왔을 때 찍은 寫眞입니다. 저녁이라 어두운 톤이어서 잘 안 보였는데 仔細히 보니까 새의 가슴에 털도 보이고, 새의 눈을 보니까 생각이 느껴지더라고요. 그게 누구의 생각일까. 갈매기의 생각일까. 내 생각일까. 필름을 보면서 어떤 感情을 느끼게 되면 暗室에서 빛의 强弱을 調節하면서, 어떤 部分은 더 흐리게, 더 어둡게 하고 싶을 때가 있어요. 그 感情을 極大化시키는 거죠.”

그는 暗室에서 作業을 할 때면 웬만하면 밖에 나오지 않는다. 하루, 이틀 넘게 밤을 지새우는 날도 많다. 그럴 때면 밥도 暗室에서 먹고, 甚至於 用便도 暗室에서 본다고 한다. 그는 暗室 밖으로 나와버리면 光線이 바뀌고, 感情과 情緖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의 寫眞 作品은 뒤늦게 똑같은 버전을 만들어 낼 수 없다고 한다. 왜냐하면 印畫紙랑 各種 藥品이 달라졌을 뿐 아니라, 暗室에서 느꼈던 感情을 다시 찾기란 不可能하기 때문이다.

―暗室에서 作業할 땐 어떤 氣分인가요.

“暗室에 들어가면 마음이 너무너무 便했습니다. 靑少年期에 劣等感이 反抗心으로 이어졌고, 大學 때도 工夫에는 關心이 없었어요. 그런데 寫眞에 빠지기 始作하니까 헤어나지 못하겠더군요. 劣等感, 疏外感 같은 것이 나를 暗室이라는 空間으로 몰아넣었던 것 같아요. 暗室은 내게 逃避處였습니다. 어두운 그 空間이 너무 좋았어요. 勿論 工夫 熱心히 한다고 1等하는 건 아닌데, 全世界 누구도 나만큼 暗室에서 오래 있던 사람은 없을꺼예요. 正말 無識한 이야기죠. 그 程度로 暗室 안에 있는 時間이 좋았습니다. 젊었을 때는 食飮을 全廢하고 暗室에 있었죠.”

―群山으로 移徙하신 理由는.


“元來 故鄕은 서울입니다. 5年 前에 撮影을 갔다가 마음에 드는 敵産家屋을 發見했죠. 3年 동안 비어서 廢墟처럼 돼 있던 집이었습니다. 群山의 舊市街地가 너무 맘에 들었습니다. 제가 어릴적 鍾路5街 효제국민학교를 다녔는데, 서울이 大都市지만 當時만 해도 저녁 때가 되면 골목의 조용한 雰圍氣가 있었어요. 낮은 建物 뒤로 해가 뉘엿뉘엿 질 때 아이들끼리 뛰어놀다보면 할머니가 辱을 하시면서 ‘밥차려 놨으니 빨리 들어와라’하고 소리치시죠. 群山의 都心地에 그런 雰圍氣가 남아 있더군요. 시골에 田園住宅 짓고 살 곳은 많아요. 그런데 都心인데도 그런 골목 雰圍氣가 남아 있는 곳은 많지 않습니다. 더 늙기 前에 한番 살아보자는 생각이 들었죠. 앞으로 좀더 便安한 마음으로 다니면서 보는 風景도 찍을 計劃입니다.”

● 맺는 말
민병헌 作家의 寫眞을 보면서 내가 그동안 스마트폰으로 찍은 人物 인터뷰 寫眞이나 風景寫眞을 되돌아보았다. 新聞에는 늘 明確한 焦點과 밝은 照明 아래에서 鮮明하게 찍힌 寫眞만 실린다. 焦點이 나가거나, 안개가 낀 흐릿한 寫眞은 실릴 수가 없다. 인터뷰 寫眞은 可及的 野外의 太陽光 아래서 클로즈업 해야 하고, 風景寫眞度 맑은 날 總天然色으로 찍힌 寫眞을 쓰게 마련이다.

그런데 가을비가 추적추적 내리던 어느날. 집으로 가는 아스팔트 길에 街路燈 불빛이 비춰 반짝반짝 빛나는 것을 본 적이 있다. 마치 검은色 아스팔트에 작은 별들이 떠 있는 듯한 모습이었다. 瞬間的으로 携帶폰을 꺼내 寫眞을 찍었다. 어둡고도 흐릿하게 번지는 빛이 때로는 사람의 마음을 慰勞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전승훈 기자가 찍은 ‘비오는 날의 아스팔트’.
전승훈 記者가 찍은 ‘비오는 날의 아스팔트’.

전승훈 記者 raphy@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