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老子의 核心은 ‘우리’… 내편 네편 나누는 現實 안타까워”|동아일보

“老子의 核心은 ‘우리’… 내편 네편 나누는 現實 안타까워”

  • 東亞日報
  • 入力 2020年 3月 18日 03時 00分


코멘트

‘老子81張’ 펴낸 윤재근 敎授

윤재근 한양대 명예교수가 16일 서울 광진구 자택의 서재에서 올 초 펴낸 ‘노자81장’(전 2권)을 가슴에 안고 있다. 살아온 지 34년 된 집의 서재에 노장사상의 대중화를 지향해온 윤 교수의 손때가 묻어나는 듯하다. 안철민 기자 acm08@donga.com
윤재근 한양대 名譽敎授가 16日 서울 廣津區 自宅의 書齋에서 올 初 펴낸 ‘老子81張’(前 2卷)을 가슴에 안고 있다. 살아온 지 34年 된 집의 書齋에 노장思想의 大衆化를 志向해온 尹 敎授의 손때가 묻어나는 듯하다. 안철민 記者 acm08@donga.com
“너하고 내가 하나일 때 우리라고 하잖아요. ‘우리’가 말하자면 老將(老莊)思想의 가장 理想的인 낱말입니다. 朝鮮時代 百姓의 두레도 우리랑 같은 거예요.”

84歲의 學者는 내 便, 네 편 나뉘어 서로 눈을 흘겨대는 現實이 못내 안타까운 듯했다. 30年 넘게 老子 長子 孔子 孟子 같은 東洋思想의 大衆化에 힘써온 윤재근 한양대 名譽敎授가 올 初 ‘老子81張’(東鶴寺)을 펴낸 까닭에는 이 같은 답답함도 들어 있다.

16日 서울 廣津區 自宅에서 만난 尹 敎授는 “요새 우리가 사는 게 힘든 理由가 뭐냐 하면 다 相爭(相爭·西로 다툼)하려고 한다. 그러다보니 傷害(相害·西로 해침)하는 것이다. 나 잘살려면 남이 못살아야 한다는 생각이 잠재된 것”이라고 말했다. “(陣營論理에 빠진 사람들이) 왜 불쌍한 줄 아세요? 머릿속에 相爭밖에 없어요.”

佛敎 經典 속, 머리는 두 個지만 몸뚱이는 하나인 새 ‘公明(共命)’의 한쪽 머리가 다른 머리를 猜忌해 毒을 먹고 함께 죽는 寓話를 떠올리게 하는 現實. 이에 對한 解法을 老學者는 ‘老子’에서 찾고자 한 것이다. 다만 남이 떠주는 것이 아니라 老子라는 우물에서 讀者 스스로 샘물을 길어 올리길 바란다.

1, 2卷 合쳐 2100페이지에 이르는 ‘甓돌冊’이지만 各 張, 構文(句文)마다 讀者가 스스로 새겨 意味를 찾아 읽을 수 있도록 했다. 解毒(解讀)에 더 도움이 될까 싶어 英文法까지 動員했다. 冊 두께에 지레 겁먹지 않는다면 挑戰해볼 만하다.

“成人(聖人)은 모든 사람을 할아버지가 孫子 보듯 해요. 할아버지가 孫子한테 하는 말인데 老子나 孔子가 어렵게 말했을 理가 없어요.”

尹 敎授는 火田民村보다 더 깊고 높은 山中 山인촌(山人村)에서 어린 時節을 보냈다. 採藥(採藥·藥草나 藥材를 캐는 일)하는 사람인 山人은 ‘東醫寶鑑’ ‘本草綱目’ 等을 읽어야 했다. 그래서 單 7家口가 살았지만 마을에 書堂이 있었다. 尹 敎授는 書堂에서 漢文을 배운 以來 老子 長子 孔子 孟子를 읽으면 할아버지를 만나는 것처럼 마음이 便했다.

1990年 54歲가 돼서야 100萬 部 以上 販賣한 ‘鶴의 다리가 길어도 자르지 말라’를 出刊한 데에는 이렇게 便하고 쉬운 노장思想을 어렵게만 느껴지게 하는 旣存 學界에 질렸기 때문이기도 하다. 尹 敎授는 “부디 文學하는 분들은 老子 2張을 꼭 읽어 달라”고 請하기도 했다. 미추(美醜), 善惡(善惡)을 對立的인 것으로 兩邊(兩邊)하지 말라는 內容이다.

그럼 相爭은 어떻게 解消할까. 그는 81番째 章 ‘佛海부쟁(不害不爭)’을 꼽았다. 서로 해치지 말고 다투지 말라, 그러면 네 마음이 제 길을 간다는 것. 이는 滿足할 줄 아는 것(知足)이다. 온갖 欲望을 내려놓고 한瞬間만이라도 내가 나를 마주해 보라는 얘기다. ‘나를 이롭게 하기 위해 꾀를 부리는 짓’인 爵位(作爲), 그것이 없는 武威(無爲)의 窮極이기도 하다. 尹 敎授는 “無爲는 英語로 ‘last freedom’, 더할 바 없는 自由라는 뜻”이라고 했다. 우리는 眞正 자유로운가.
 
민동용 記者 mindy@donga.com
#老子81張 #윤재근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