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新舊잠(愼口箴)|週刊東亞

週刊東亞 1064

..

韓國古典飜譯院과 함께하는 箴言

新舊잠(愼口箴)

  • 하승현 先任硏究員

    入力 2016-11-21 15:47:41

  • 글字크기 설정 닫기
    新舊잠(愼口箴)     
    - 一鍼을 加하기 어려우면 입을 꽉 다무는 게 낫다

    말失手할까 싶은 게
    君子의 걱정
    말을 두고 荀 賃金은 戰爭을 일으키기도 한다 했고
    部熱(傅說)은 부끄러움을 일으킨다 했네

    말을 쉽게 하면 허튼소리가 되고
    말을 많이 하면 지루해지네
    내가 함부로 말하면 相對도 거슬리고
    가는 말이 거칠면 오는 말도 틀어지네
    흰 돌의 티끌은 갈아 없앨 수 있지만
    말은 사마*로도 따라잡기 어렵네

    (中略)

    나는 眞心을 말하지만
    相對는 눈을 흘기고
    어제의 벗이
    오늘의 怨讐가 되기도 하네



    一鍼을 加하기 어려우면
    입을 꽉 다무는 게 낫네**
    잠을 지어 壁에 걸어
    보면서 省察하려네

    愼口箴   

    樞機之失 君子所憂 舜謂興戎 說云起羞
    易誕煩支 肆?悖違 圭?尙磨 駟舌難追
    (中略)
    我則輸心 人多側目 昔者朋類 今爲仇敵
    難施一針 可法三緘 作箴揭壁 用備省監

    * ‘사마(駟馬)’는 수레를 끄는 네 匹의 말을 가리킨다.

    ** 原文의 ‘加法三緘(可法三緘)’은 세 겹으로 봉한, 쇠로 만든 사람(金人)을 본받는다는 뜻으로 한 말이다. 孔子가 主(周)나라 太廟(太廟)에 갔을 때 쇠로 만든 사람을 봤는데, 등 뒤에 ‘옛날에 말操心을 하던 사람이다. 警戒하여 많은 말을 하지 말지어다. 말이 많으면 失敗가 많다’는 글이 새겨져 있었다고 한다(‘공자가어(孔子家語)’ 貫珠(觀周) 便).


    朝鮮時代 文身 晦軒(悔軒) 조관빈(趙觀彬·1691~1757)이 지은 글입니다. 말을 쉽게 하고 지키지 못하면 허튼소리를 하는 사람이 돼 信賴를 잃고, 말을 많이 하면 듣는 사람이 지루해져 함께 이야기하기를 꺼리게 됩니다. 無心코 내뱉은 한마디가 相對의 마음을 거스르고, 거칠게 건넨 말에 돌아오는 말도 곱지 않습니다. 가장 잘하기 어려운 일이 말하기입니다. 
    - 하승현 先任硏究員



    直接 써보세요
     
    一鍼을 加하기 어려우면
    입을 꽉 다무는 게 낫네

    難施一針 可法三緘
    亂視一鍼 加法三緘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