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에서 가장 슬픈 文’ 앞에 세워진 汎宗敎的 神聖 空間|週刊東亞

프리츠커 프로젝트

‘서울에서 가장 슬픈 文’ 앞에 세워진 汎宗敎的 神聖 空間

올해 再誕生한 ‘西小門歷史公園 및 西小門城地歷史博物館’

  • 권재현 記者

    confetti@donga.com

    入力 2019-10-04 17:00:01

  • 글字크기 설정 닫기
    박물관 지하 3층에 위치한 ‘하늘광장’ [김도균]

    博物館 地下 3層에 位置한 ‘하늘廣場’ [金度均]

    [지호영 기자]

    [지호영 記者]

    서울 都心에 位置한 西小門歷史公園이 6月 새로 門을 열었다. 鬱蒼한 나무와 잔디로 둘러싸인 公園에는 都心 속 職場人에게 좋은 散策路가 생겼다. 그 散策路에 붉은色 甓돌담이 군데군데 보인다. 담벼락을 따라 온갖 種類의 薔薇꽃이 심겨 있다. 그래서 처음엔 조경용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公園 內 3곳에 設置된 엘리베이터를 타고 地下 3層으로 내려가 ‘하늘廣場’에 들어선 뒤에야 비로소 그 甓돌담의 實體를 깨달았다. 地下 3層부터 地上 1層 3m 담벼락까지 18m 높이의 甓돌담에 둘러싸인 33×33m의 正方形 空間으로 푸른 하늘이 넘실거리며 쏟아져 들어왔다.

    崇古를 體驗할 수 있는 空間

    地下 깊은 어둠의 空間을 豫想했다 하늘빛이 對策 없이 쏟아지는 空間을 만났을 때 느낌을 뭐라 해야 할까. 에드먼드 버크와 에마뉘엘 칸트 以後 美學者들이 崇古(the sublime)라고 부르는 感情이다. 이는 比例와 調和, 均衡과 破格에서 人間이 느끼는 아름다움(beauty)과 다르다. 崇高는 壓倒的으로 巨大하거나 無限한 것 앞에서 느끼는 한없는 초라함과 더불어 ‘나보다 더 크고 나도 어쩔 수 없는 그 무엇’에 對한 驚歎과 敬畏의 마음을 품게 하는 體驗이다. 

    古代人은 이를 宗敎的 神聖 體驗과 그로 인한 마음의 淨化와 連結시켰고, 20世紀人은 스펙터클의 再現을 통한 大衆 煽動과 動員 手段으로 써먹었다. 하늘廣場에서 느껴지는 崇高는 그 背後에서 作動하는 宗敎·政治·經濟的 目的意識이 排除된 純粹한 느낌에 더 가깝다. 거기엔 崇拜와 熱狂보다 슬픔과 敬虔의 느낌이 剛하다. 붉은 甓돌로 이뤄진 그 廣場의 한便에 鐵道用 枕木을 再活用한 設置美術品 ‘서 있는 사람들’(정현 作)도 이런 느낌에 照應한다. 하늘을 向해 서 있는 그들이 말하고자 하는 것 亦是 讚揚보다 悲痛에 가깝다고 느껴진다.


    ‘하늘광장’ 그 맞은편 실내에 위치한 ‘콘솔레이션 홀’. [김도균]

    ‘하늘廣場’ 그 맞은便 室內에 位置한 ‘콘솔레이션 홀’. [金度均]

    1 박물관 지하 3층 콘솔레이션 홀의 ‘빛의 우물’을 근접 촬영한 사진. 2 박물관 지하 3층 콘솔레이션 홀 안쪽에서 ‘하늘광장’을 바라본 풍경. 3 박물관 지하 3층에서 지하 2층으로 올라가는 긴 회랑의 통로 ‘하늘길’. 권석만 작가의 자연석 조각품인 ‘발아’가 설치돼 있다. 4 박물관 지하 3층 14m 지하의 어둠을 품은 콘솔레이션 홀. 지상의 채광창으로부터 흘러내려온 자연광이 빛의 우물을 만들어내고 있다. [지호영 기자, 김도균]

    1 博物館 地下 3層 콘솔레이션 홀의 ‘빛의 우물’을 近接 撮影한 寫眞. 2 博物館 地下 3層 콘솔레이션 홀 안쪽에서 ‘하늘廣場’을 바라본 風景. 3 博物館 地下 3層에서 地下 2層으로 올라가는 긴 回廊의 通路 ‘하늘길’. 권석만 作家의 自然石 彫刻品인 ‘發芽’가 設置돼 있다. 4 博物館 地下 3層 14m 地下의 어둠을 품은 콘솔레이션 홀. 地上의 採光窓으로부터 흘러내려온 自然光이 빛의 우물을 만들어내고 있다. [지호영 記者, 金度均]

    하늘廣場과 連結된 琉璃門을 지나면 다시 對照的 方式으로 崇古를 體驗하게 하는 室內空間을 만나게 된다. 땅속 14m 깊은 어둠을 품은 ‘콘솔레이션 홀’이다. 英語로 慰安의 空間이란 뜻이다. 



    사람들이 오갈 수 있게 바닥으로부터 2m假量 띄워놓고 25×25m 四方을 검은色 鐵板으로 둘러싼 이 空間은 하늘庭園과 反對로 깊은 어둠에 沈潛하게 한다. 그 어둠에 빛을 밝히는 것은 地上의 採光窓으로부터 垂直으로 떨어지는 稀微한 ‘빛의 우물’뿐이다. 가끔 四方 壁에 冥想的 느낌의 슬라이드 寫眞과 隱隱한 音樂이 흐르지만 內面에 깊이 沈潛하게 해주는 空間이라는 事實엔 變함이 없다.

    地上엔 平和, 地下엔 追慕

    5 캐나다 조각가 티모시 슈말츠의 ‘노숙자 예수’. 6 갖가지 장미꽃이 핀 공원 벽돌 담벼락. 7 박물관 지하 3층 상설전시관. 살짝 단조로운 전시 품목을 보완하기 위해 가장 화려한 인조대리석과 특수조명을 썼다. [지호영 기자, 김도균]

    5 캐나다 彫刻家 티모시 슈말츠의 ‘露宿者 예수’. 6 갖가지 薔薇꽃이 핀 公園 甓돌 담벼락. 7 博物館 地下 3層 常設展示館. 살짝 단조로운 展示 品目을 補完하기 위해 가장 華麗한 人造大理石과 特殊照明을 썼다. [지호영 記者, 金度均]

    休息과 平和를 담은 安穩한 地上 空間인 公園, 崇古와 追慕의 느낌이 담뿍 담긴 地下 空間인 博物館. 서울의 새 名物로 자리 잡게 될 이 空間의 眞面目이다. 이 空間에 對한 歷史的 背景知識이 없는 사람도 이 둘을 오가다 보면 절로 묻지 않을 수 없다. 이곳이 大體 무슨 歷史를 품고 있기에…. 

    韓孃은 본디 4大門과 4所聞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東西南北에 位置한 4大門이 興仁之門, 敦義門, 崇禮門, 肅靖門이다. 그 사이로 다시 4個의 所聞이 있었으니 東北의 惠化門(俗稱 東小門), 南西의 昭義門(俗稱 西小門), 東南의 光熙門(俗稱 屍口門), 西北의 창의문(俗稱 紫霞門)이다. 


    8 서소문역사공원 중간 지점으로 올라가는 계단 근처의 표지석. 9 칼 형태로 변형된 십자가 조각. 10 현양탑. [지호영 기자]

    8 西小門歷史公園 中間 地點으로 올라가는 階段 近處의 標識石. 9 칼 形態로 變形된 十字架 조각. 10 顯揚塔. [지호영 記者]

    이 가운데 가장 슬픈 門이 昭義門이었다. 宮闕에서 屍體가 나갈 때 利用된 2個의 門이 昭義門과 光熙門이다. 光熙門이 屍體가 나가는 門이라는 屍口門(屍口門)으로 불린 理由도 여기 있다. 그럼에도 昭義門이 더 悲劇的인 것은 그 바로 앞에 處刑場이 있었던 데다 敦義門과 더불어 여태까지 그 자취를 찾을 수 없는 門이기 때문이다. 特히 辛酉迫害(1801), 己亥迫害(1839), 丙寅迫害(1866)를 거치면서 天主敎人 100餘 名이 處刑된 곳이기도 하다. 이 中 44名이 諡聖되면서 天主敎 歷史上 가장 많은 成人을 輩出한 곳이 됐다. 그래서 1984年 ‘西小門 밖 殉敎者 顯揚塔’이 세워졌고, 2014年 8月 訪韓한 프란치스코 敎皇이 그들의 넋을 기리고자 그곳을 參拜하기도 했다. 

    하지만 그 顯揚塔 南쪽으로 約 2萬1100㎡(6400坪) 規模로 길게 造成된 公園은 1997年 外換危機 以後 主로 露宿者의 空間으로 刻印돼 一般 市民들이 忌避하는 空間이 됐다. 그래서 서울市와 天主敎가 손잡고 700億 원을 投資해 새롭게 丹粧한 것이다.

    ‘汎宗敎的 神聖함’을 담다

    박물관 지하 2층 ‘성 정하상 기념경당(소성당)’ 내부. 벽면에 십자가를 설치하지 않은 점이 눈에 띈다(왼쪽). ‘성 정하상 기념경당(소성당)’ 밖에 설치된 정하상- 정정혜 남매의 조각상. [김도균]

    博物館 地下 2層 ‘性 정하상 記念경당(小聖堂)’ 內部. 壁面에 十字架를 設置하지 않은 點이 눈에 띈다(왼쪽). ‘性 정하상 記念경당(小聖堂)’ 밖에 設置된 정하상- 정정혜 男妹의 彫刻像. [金度均]

    2014年 懸賞公募를 통해 當選한 現 建築設計의 모토는 ‘地上은 綠地空間으로, 地下는 追慕空間으로’였다. 處刑場에서 犧牲된 殉敎者들의 피가 스며든 땅속에 이를 받들고 기리는 그릇을 造成한다는 이념적 構想이었다. 現實的으론 1996年 公園 地下에 지어진 地下 4層의 公營駐車場(900代 車輛 受容) 가운데 230代 駐車空間을 除外한 나머지를 展示館, 圖書館, 小聖堂, 講演場이 들어선 複合博物館으로 탈바꿈시키는 것이었다. 


    ‘성 정하상 기념경당(소성당)’의 출입문. 청동문을 쉽게 열고 닫을 수 있는 회전문으로 제작했다(왼쪽). 박물관 지하 2층 기획전시공간. [지호영 기자, 김도균]

    ‘性 정하상 記念경당(小聖堂)’의 出入門. 靑銅門을 쉽게 열고 닫을 수 있는 回轉門으로 製作했다(왼쪽). 博物館 地下 2層 企劃展時空間. [지호영 記者, 金度均]

    그렇지만 이곳이 天主敎라는 特定 宗敎의 聖地라는 徵標는 거의 發見되지 않는다. 天主敎 聖地 하면 떠오르는 十字架와 스테인드글라스, 大理石 列柱를 거의 發見할 수 없다. 地上에선 앞서 言及한 顯揚塔과 칼 形態로 變形된 十字架 조각 程度만 눈에 띌 뿐이다. 地下 博物館에서도, 300席 規模의 小聖堂(‘性 정하상 記念경당’) 內 十字架는 說敎臺에 그려진 것이 唯一하다. 또 미사를 進行할 때는 非信者 觀覽客을 配慮해 靑銅回轉門을 닫는다. 


    1 지하 1층의 역사박물관. 1만 권의 장서를 소장하고 있다. 2 박물관 지하 1층에 있는 150석 규모의 강연장 ‘명례방’. 3 박물관 지하 1층의 통로 겸 자유 전시공간. 여러 개의 모듈구조를 붙이는 방식으로 독립감과 연속성을 동시에 확보했다. [지호영 기자, 김도균]

    1 地下 1層의 歷史博物館. 1萬 卷의 藏書를 所藏하고 있다. 2 博物館 地下 1層에 있는 150席 規模의 講演場 ‘明禮坊’. 3 博物館 地下 1層의 通路 兼 自由 展示空間. 여러 個의 모듈構造를 붙이는 方式으로 獨立감과 連續性을 同時에 確保했다. [지호영 記者, 金度均]

    設計에 參與한 3個의 建築士事務所 가운데 座長인 윤승현 代表는 “汎宗敎的 神聖함을 담아내기 위해서였다”고 말했다. 地域別 特徵을 積極 受容하면서 普遍 宗敎를 志向하는 天主敎의 特徵을 살리고, 大多數 사람들 속에 內藏된 神聖함에 對한 渴望을 담아내는 데 焦點을 맞췄다고 했다. 그래서 甓돌과 콘크리트, 나무와 돌 等 친숙한 建築資材를 選擇했으며, 누구나 拒否感 없이 接近할 수 있도록 開放的이면서 모듈型 單位로 構成된 展示空間을 構想했다는 說明이었다. 

    그 說明을 들으니 地上 公園 벤치에 누워 있는 露宿者 形象의 예수 銅像이 떠올랐다. 이곳이 殉敎者와 露宿者 같은 ‘호모사케르’의 空間임을 잊지 않는 것, 그러면서도 어둠 속에서 저 푸른 하늘을 바라보는 것을 잊지 않는 것, 그것이 곧 神聖 아니겠는가.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