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습잠(時習箴)|週刊東亞

週刊東亞 1052

..

韓國古典飜譯院과 함께하는 箴言

시습잠(時習箴)

  • 하승현 先任硏究員

    入力 2016-08-19 15:37:01

  • 글字크기 설정 닫기
    시습잠(時習箴)
    - 착한 것을 믿고 따르理

    하늘이 주신 내 마음
    어떻게 穩全히 지킬까?
    附與받은 것은 같아도
    깨닫는 데는 先後가 있네

    本性이 善함을 환히 알아 本來대로 回復하는 일은
    學問을 발板 삼아야 하니
    마음을 保存하고 깊이 생각해
    한 치도 여기에서 벗어나지 않으리라

    앉을 때는 始動(尸童)처럼 반듯이
    설 때는 財界(齋戒)하듯 端正히
    힘쓰고 힘써야지
    잠깐인들 게을리할까?

    익힌 것이 자연스러워질 때까지
    착한 것을 믿으리
    마음에 푹 젖어들면
    내 마음 기뻐져서
    그만두려 해도 그럴 수 없어
    마침내 聖人의 境地에 들리라



    배운 것을 때맞추어 익히지 않으면
    씨 뿌려놓고 김매지 않는 것이네
    이에 좋은 말을 엮어
    내 마음을 警戒하네


    時習箴 ?

    天?吾衷 曷全所受 賦與雖均 覺有先後
    明善復初 惟學是階 存心思繹 念玆不差
    其坐如尸 其立如齋 勉勉自强 敢怠須臾
    習成自然 有善斯孚 浹洽于中 我心則悅 欲罷不能 終歸聖域
    學不時習 有耕不耘 爰撫嘉言 警我心君???????



    朝鮮時代 學者 栗谷(栗谷) 李珥(李珥·1536~1584)가 지은 글입니다. 사람은 태어나면서 하늘로부터 膳物을 받습니다. 내 마음이 바로 하늘이 주신 貴한 膳物입니다. 善함을 밝게 알아 本性을 回復하는 것이 배우는 者가 밟아나갈 길입니다. 그런 줄 모르거나 알면서도 行하지 않는다면 하늘이 주신 貴한 膳物을 받고도 제대로 쓰지 못하는 것입니다.

    ? - 하승현 先任硏究員



    直接 써보세요
     
    배운 것을 때맞추어 익히지 않으면
    씨 뿌려놓고 김매지 않는 것이네

    學不時習 有耕不耘
    學불시습 유경不運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