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너 하이젠베르크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하이젠베르크 에서 넘어옴)

베르너 카를 하이젠베르크
하이젠베르크 (1933년)
하이젠베르크 (1933年)
出生 1901年 12月 5日 ( 1901-12-05 )
獨逸 帝國 바이에른 王國 뷔르츠부르크
死亡 1976年 2月 1日 ( 1976-02-01 ) (74歲)
西獨 바이에른州 뮌헨
安息處 뮌헨 발트프리트호프
主要 業績
配偶者 엘리자베트 슈마허(結婚 1937)
子女 7 ( 요헨 마르틴 包含)
受賞 마테憂恥 메달 (1929)
바나드 메달 (1930)
노벨 物理學賞 (1932)
막스 플랑크 메달 (1933)
王立學會 外國人 會員 (1955) [1]
科學과 藝術을 위한 푸르 르 메리트 (1957)
美國 科學 아카데미 外國人 準會員 (1961)
닐스 보어 國際 金메달 (1970)
科學的 經歷
分野 理論物理學
所屬 괴팅겐 大學校
코펜하겐 大學校
라이프치히 大學校
베를린 훔볼트 大學校
뮌헨 大學校
學位 論文 液體 흐름의 安定性 및 暖流에 關하여(Uber Stabilitat und Turbulenz von Flussigkeitsstromen) (1923)
博士 敎授 아르놀트 조머펠트
기타 敎授 닐스 보어
막스 보른
博士 學生 펠릭스 블로흐

에드워드 텔러
루돌프 파이얼스
라인하르트 外메
프리드바르트 빈터베르크
세르半 티테이카
이반 수펙
에리히 바게
헤르만 아서 얀
한스 하인리히 오일러

有名한 學生 윌리엄 V. 휴스턴

귀도 벡
우고 罷駑
에토레 마요라나
헤르베르트 바그너

影響을 줌 로베르트 度펠
카를 프리드리히 폰 바이츠제커
서 名

베르너 카를 하이젠베르크 ( 獨逸語 : Werner Karl Heisenberg , [?v??n? ka?l ?ha?zn?b??k] ; 英語 發音: /haiz?nb??ːrg/ ; 1901年 12月 5日 ~ 1976年 2月 1日 ) [2] 는 獨逸의 理論物理學者 利子 量子力學 의 主要 先驅者 中 하나이다. 그는 1925年에 劃期的인 論文 을 發表했다. 막스 보른 파스쿠알 요르단 과 함께 쓴 後續 論文에서는 量子力學의 行列力學 이 더욱 精巧해졌다. 그는 1927年에 發表한 不確定性 原理 로 有名하다. 하이젠베르크는 1932年 "量子力學의 創案에 對한 功勞로" 노벨 物理學賞 을 받았다. [3] [노트 1]

하이젠베르크는 또한 暖流 流體動力學 理論, 原子核 , 强磁性 , 宇宙船 , 그리고 아원자 粒子 에 重要한 貢獻을 했다. 하이젠베르크는 第2次 世界 大戰 途中 나치 獨逸 의 核武器 開發 프로그램 우란프로옉트 의 總責任者이기도 하였다. 그는 또한 1957年 뮌헨 硏究用 原子爐 와 함께 카를스루에 에 最初의 原子爐 를 計劃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第2次 世界大戰 後, 그는 카이저 빌헬름 協會 (곧 막스 플랑크 協會 로 改名됨)의 所長으로 任命되어, 1958年 뮌헨으로 옮겨지기 前까지 그 硏究所의 所長이었다. 그리고 나서 그는 1960年부터 1970年까지 막스 플랑크 物理學 및 天體物理學 硏究所(Max Planck Institute for Physics and Astrophysics) 의 所長이 되었다.

하이젠베르크는 또한 獨逸 硏究協會 의 會長 [4] , 原子力 物理學 委員(Commission for Atomic Physics) 委員長, 核 物理學 硏究 그룹(Nuclear Physics Working Group)의 議長, 그리고 알렉산더 폰 훔볼트 財團(Alexander von Humboldt Foundation) 의 會長이었다. [1]

어린 時節과 學業 [ 編輯 ]

어린 時節 [ 編輯 ]

베르너 하이젠베르크는 獨逸 뷔르츠부르크 에서 카스派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하이젠베르크 Kaspar Ernst August Heisenberg [5] 아내인 애니 베클레인 Annie Wecklein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大學 시스템에서 中世와 現代 그리스語 硏究에 對한 獨逸의 唯一한 오르덴틀리헤르 ordentlicher 敎授 (一般 敎授)가 된 古典 言語 의 中等學校 敎師였다. [6]

하이젠베르크는 루터교 基督敎人으로 자랐다. [7] 하이젠베르크는 十代 後半에 바이에른 알프스에서 하이킹을 하면서 플라톤 의 《 티마이오스 》를 읽었다. 그는 뮌헨, 괴팅겐 및 코펜하겐에서 科學 敎育을 받는 동안 同僚 學生 및 敎師와 原子 理解에 對한 哲學的 對話를 나누었다. [8] 하이젠베르크는 나중에 "哲學, 플라톤 等을 硏究함으로써 내 마음이 形成되었다." [9] 그리고 "現代 物理學은 確實히 플라톤에게 유리하게 決定되었다. 事實 物質의 가장 작은 單位는 一般的인 意味의 物理的 對象이 아니라; 그것들은 오직 數學的 言語로만 明確하게 表現될 수 있는 아이디어인 形態들이다."라고 表明했다. [10]

하이젠베르크는 1年 前 樹立된 바이에른 評議會 共和國 과 싸우기 위해 1919年 自由群團 의 一員으로 뮌헨에 到着했다. 50年 後 그는 그 時節을 "警察, 强盜 等의 놀이; 그것은 全혀 深刻하지 았았던 것"과 같은 젊음의 즐거움으로 回想했다; [11] 그의 任務는 "'빨간色' 行政 建物에서 自轉車나 打字機를 押收"하고 "빨간色" 罪囚로 疑心되는 사람들을 保護하는 것으로 制限되었다. [12]

大學校 學業 [ 編輯 ]

1924年의 하이젠베르크

1920年부터 1923年까지 그는 루트비히-막시밀리안 뮌헨 大學校 에서 아르놀트 조머펠트 빌헬름 빈 에게, 게오르그-아우구스트 괴팅겐 大學校 에서 막스 보른 제임스 프랑크 에게 物理學과 數學을 그리고 다비트 힐베르트 에게 數學을 工夫했다. 1923年 뮌헨에서 좀머펠트 밑에서 博士學位를 받았다.

괴팅겐에서, 보른 아래에서, 그는 1924年에 變則的인 제이만 效果 에 對한 下빌리타치온 論文(Habilitationsschrift)으로 그의 下빌리타치온 을 完了했다. [2] [13] [14] [15]

1922年 6月 조머팰트는 하이젠베르크를 괴팅겐으로 데려가 '補語 祝祭'에 參加했는데, 조머펠트는 그의 學生들에게 眞摯한 關心을 가지고 있었고 原子 物理學 에 對한 닐스 보어 의 理論에 對한 하이젠베르크의 興味를 알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 行事에서 補語는 客員 講師였고 兩者 原子 物理學에 對한 一連의 包括的인 講義를 했으며 그리고 하이젠베르크는 補語를 처음으로 만났는데, 이는 그에게 持續的인 影響을 미쳤다. [16] [17] [18]

조머펠트 提案한 主題인 하이젠베르크의 博士學位 論文은 暖流 에 關한 것이었는데; [19] 그 論文은 層流 의 安定性 과 暖流 의 性質 둘다를 論議했다. 安定性 問題는 層流로부터의 작은 攪亂을 위하여 4次 線型 微分方程式人 오르-조머팰트 方程式(Orr?Sommerfeld equation) 을 使用하여 調査되었다. 그는 第2次 世界大戰 後에 暫時 이 主題로 돌아왔다. [20]

그는 젊은 時節에 獨逸 스카우트 協會 利子 獨逸 靑年 運動 의 一員인 '노이파드핀데르(Neupfadfinder)'의 會員이자 스카우트 리더였다. [21] [22] [23] 1923年 8月 로베르트 魂젤 Robert Honsell 과 하이젠베르크는 뮌헨에서 이 協會의 스카우트 그룹과 함께 핀란드 旅行을 計劃했다. [24]

個人的 生活 [ 編輯 ]

하이젠베르크는 클래식 音樂 을 즐겼고 뛰어난 피아니스트였다. [2] 音樂에 對한 그의 關心은 未來의 아내를 만나는 것으로 이어졌다. 1937年 1月, 하이젠베르크는 個人 音樂 發表會에서 엘리자베스 슈마허 Elisabeth Schumacher (1914?1998)를 만났다. 엘리자베트는 有名한 베를린 經濟學 敎授의 딸이었고, 그女의 오빠는 《 작은 것이 아름답다 》의 著者인 經濟學者 에른스트 프리드리히 슈마허 였다. 하이젠베르크는 4月 29日 그女와 結婚했다. 1938年 1月에 二卵性 雙둥이 마리아 Maria 와 볼프강 Wolfgang 이 태어났으며, 이에 따라 볼프강 파울리 는 하이젠베르크의 "雙 創造"-基本 粒子 物理學에서 雙生成 의 過程에 對한 單語 놀이-를 祝賀했다. 그들은 以後 12年 동안 다섯 名의 子女를 더 두었다; 바바라 Barbara , 크리스틴 Christine , 요헨 Jochen , 마르틴 Martin , 베레나 Verena . [25] [26] 1936年 그는 獨逸 南部 우르펠트 癌 발첸第(Urfeld am Walchensee) 에 家族을 위한 여름 別莊을 購入했다.

敎育 經歷 [ 編輯 ]

괴팅겐, 코펜하겐, 라이프치히 [ 編輯 ]

하이젠베르크는 1924年부터 1927年까지 괴팅겐의 프리바트度젠트(Privatdogent) 였는데, 이것은 그가 敎授職이 없이 獨立的으로 가르칠 資格이 있다는 것을 意味한다. 1924年 9月 17日부터 1925年 5月 1日까지, 國際 敎育 委員會 록펠러 財團 硏究費로써, 그는 코펜하겐 大學校 의 理論物理學 硏究所 所長인 닐스 보어 와 硏究하러 갔다. 1925年 9月 그의 세미나 論文인 "運動學科 力學 關係의 兩者 理論的인 再解釋(Uber quantentheoretische Umdeutung kinematischer und mechanischer Beziehungen)"李 出版되었다. [27] 그는 괴팅겐으로 돌아와 막스 보른 파스쿠알 요르단 과 함께 約 6個月에 걸쳐 量子力學 行列 力學 을 開發했다. 1926年 5月 1日, 하이젠베르크는 코펜하겐에서 大學 講師와 보어의 助敎가 되었다. 1927年 코펜하겐에서 하이젠베르크는 量子力學의 數學的 基礎를 硏究하면서 不確定性 原理 를 發展시켰다. 2月 23日, 하이젠베르크는 同僚 物理學者 볼프강 파울리 에게 便紙를 써서 처음으로 그의 새로운 原理를 說明했다. [28] 하이젠베르크는 그 原理에 關한 論文에서, [29] 不確定性이 아닌 "不正確性(Ungenauigkeit)"이라는 單語를 使用했다. [2] [30] [31]

1927年, 하이젠베르크는 라이프치히 大學校 의 理論物理學 一般 敎授(ordentlicher Professor-professor ordinarius)이자 物理學部의 學部長으로 任命되었고; 1928年 2月 1日 그곳에서 就任 講義를 했다. 라이프치히에서 出版된 그의 첫 番째 論文에서, [32] 하이젠베르크는 强磁性 의 수수께끼를 풀기 위해 파울리 排他 原理 를 利用했다. [2] [14] [30] [33]

在任 期間 동안, 그와 함께 工夫하고 일했던 博士課程 學生들과 大學院生 및 硏究 同僚들의 높은 資質은 後에 讚辭를 받는다. 여러 期間 동안에 그들은 에리히 바게 Erich Bagge , 펠릭스 블로흐 , 우고 罷駑 Ugo Fano , 지그프리드 플뤼게 Siegfried Flugge , 윌리엄 버밀리언 휴스턴 William Vermillion Houston , 프리드리히 훈트 , 로버트 멀리컨 , 루돌프 파이얼스 , 조지 플라제크 George Placzek , 이지도어 아이작 라비 , 프리츠 滋雨터 Fritz Sauter , 존 C. 瑟레이터 John C. Slater , 에드워드 텔러 , 존 해즈브룩 밴블렉 , 빅吐어 바이스코프 , 카를 프리드리히 폰 바이츠제커 , 그레고르 벤첼 Gregor Wentzel , 그리고 클라렌스 제너 Clarence Zener 等을 包含했다. [34]

1929年 初, 하이젠베르크와 파울리는 相對論的 兩者章論 의 基礎를 닦는 두 論文 中 첫 番째 論文을 提出했다. [35] 또한 1929年에 하이젠르크는 中國, 日本, 印度, 美國을 巡廻 講演했다. [30] [34] 1929年 봄, 그는 시카고 大學校 의 客員講師으며, 거기서 陽子力學을 講義했다. [36]

1928年, 英國의 數理物理學 폴 디랙 이 量子力學의 相對論的 波動 方程式 을 導出했는데, 이것은 兩極의 電子의 存在를 暗示했고, 나중에 陽電子 로 命名되었다. 1932年, 宇宙船의 안개 箱子 寫眞을 통해, 美國의 物理學者 칼 데이비드 앤더슨 陽電子 에 依해 만들어진 자취(track)임을 確認했다. 1933年 中盤, 하이젠베르크는 陽電子 理論을 發表했다. 디랙의 理論과 그 理論의 追加 展開에 對한 그의 생각은 두 個의 論文에 提示되었다. 첫 番째인 "陽電子에 關한 디랙의 理論에 關한 言及(Bemerkungen zur Diracschen Theorie des Positrons)"은 1934年에, [37] 두 番째인 "陽電子에 關한 디랙 理論의 結果(Folgerungen aus der Diracschen Theorie des Positrons)"는 1936年에 出版되었다. [30] [38] [39] 그는 디랙 方程式 을 비- 交換子 (anti-commutators)를 包含하는 量子化 條件에 따라 스핀 ħ/2의 모든 點 粒子에 對해서 "古典的" 腸 方程式 으로 再解釋한 最初의 사람이었다. 이와같이 하이젠베르크는 그것을 電子들을 正確하게 記述하는 (量子) 腸 方程式으로 再解釋하여, 物質을 粒子 生成과 破壞의 可能性을 許容하는 相對論的 兩者 腸 方程式에 依해 記述되는 電磁氣學 과 같은 基礎 위에 놓았다. ( 헤르만 바일 은 이미 1929年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에게 보낸 便紙에서 이것을 記述했다.)

行列 力學과 노벨賞 [ 編輯 ]

陽子力學을 確立한 하이젠베르크의 論文 [40] [노트 1] 은 物理學者와 歷史家들에게는 수수께끼였다. 그의 方法은 讀者가 크라머르스 -하이젠베르크 轉移 確率 計算에 친숙하다고 假定한다. 主要 새로운 아이디어인 非可換 行列 은 觀察할 수 없는 量을 拒否함으로써 正當化된다. 그가 當時에 行列 數學的 理論에 익숙하지 않았음에도 不拘하고, 對應 原理 에 기초한 物理的 推論에 依한 行列 의 '비 可換 곱셈'을 導入한다. 이러한 結果로 이어지는 經路는 1977年 매키논 MacKinnon 에서 再構成되었으며, [41] 仔細한 計算은 아이치슨 Aitchison 等에서 遂行되었다. [42]

코펜하겐에서 하이젠베르크와 헨드릭 크라머르스 는 原子보다 波長이 큰 輻射線 原子의 分散 或은 散亂에 關한 論文을 共同으로 作成했다. 그들은 以前에 크라머르스가 開發한 成功的인 公式이 보어 軌道를 基盤으로 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 理由는 前이 周波數가 일정하지 않은 레벨 間隔을 基盤으로 하기 때문이다. 對照的으로, 正確한 苦戰 軌道의 푸리에 變換 에서 發生하는 周波數는 同一한 間隔이다. 그러나 이 結果는 들어오는 輻射線이 原子가(valence), 또는 外郭에서는, 電子를 崩壞되는 假想 狀態로 들뜨게 하는 反(semi)-古典的 假想 狀態(virtual state) 模型에 依해서 說明될 수 있었다. 後續 論文에서 하이젠베르크는 이 假想 振動子(virtual oscillator) 模型이 螢光 複寫의 편광도 說明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두 成功과, 보어-조머펠트 模型이 非正常的인 지만 效果 의 뛰어난 問題를 說明하는 데에서의 繼續的 失敗는 하이젠베르크로 하여금 假想 振動子(virtual oscillator) 模型을 使用하여 스펙트럼 周波數를 計算하도록 했다. 하지만 이 方法은 現實的인 問題에 卽時 適用하기에는 너무 어려워서, 그는 더 簡單한 曳引 非調和 振動子(anharmonic oscilator) 로 方向을 바꾸었다.

雙極子 振動子(dipole oascillator)는 外部 電荷와 같은 外力에 依해 攝動을 일으키는 스프링 相議 荷電 粒子 로 생각되는 單純 調和 振動子(simple harmonic oscilator) 로 構成된다. 振動하는 電荷의 運動은 그 振動子의 周波數에서 푸리에 級數 로 表現될 수 있다. 하이젠베르크는 두 가지 다른 方法으로 兩者 擧動을 解決했다. 첫째, 그는 假想 振動子 方法으로 시스템을 處理하여 外部 소스에 依해 生成될 레벨 間의 轉換을 計算했다.

그리고 그는 비調和(anharmonic) 포텐셜 港을 調和 振動子 에 對한 攝動으로 取扱하여 그와 보른 이 開發한 攝動 方法 을 使用하여 同一한 問題를 解決했다. 두 方法 모두 1次 및 매우 複雜한 2次 修正 項에 對해 同一한 結果를 가져왔다. 이것은 매우 複雜한 計算 뒤에 한 一貫된 設計(consistent scheme)가 있음을 示唆했다.

그래서 하이젠베르크는 假想 振動子 模型에 對한 明示的인 依存 없이 이러한 結果를 公式化하기 始作했다. 이를 위해서, 그는 空間 座標에 對한 푸리에 擴張을, 假想 振動子 方法의 轉移 係數에 該當하는 行列로 代替했다. 그는 量子力學은 觀察 可能한 것으로 制限되어야 한다는 보어 對應 原理 와 量子力學은 觀測 可能한 것으로 制限되어야 한다는 파울리 의 學說(doctrine)에 呼訴함으로써 이러한 代替를 正當化했다.

7月 9日, 하이젠베르크는 보른에게 이 論文을 檢討를 위해 주었고 또한 出版을 위해 提出했다. 보른이 그 論文을 읽었을 때, 그는 公式이 그가 브레슬라우 大學校 의 數學者 야콥 로자네스 Jakob Rosanes [43] 에게 배운 行列의 體系的인 言語로 옮겨지고 擴張될 수 있는 公式임을 알았다. [44] 보른은 그의 助手이자 前 學生이었던 파스쿠알 요르단 의 도움으로 卽時 戰死 및 展開을 始作했고 出版을 위해서 結果를 提出했는데; 이 論文은 하이젠倍르크의 論文이 發表된 지 60日 만에 接受되었다. [45] 3名의 著者 모두가 年內 發表를 위해서 後續(follow-on) 論文을 提出했다. [46]

이때까지 物理學者들은 行列을 거의 使用하지 않았다. 그들은 純粹數學 의 領域에 屬하는 것으로 看做되었다. 구스타프 美에 Gustav Mie 는 1912年 電氣力學에 關한 論文에서 그것들을 使用했고 보른은 1921年 決定의 格子 理論에 關한 硏究에서 그것들을 使用했다. 이러한 境遇에 行列이 使用되었지만, 行列의 곱셈이 있는 行列의 代數學은 量子 力學의 行列 公式化에서 같은 描寫(picture)에는 들어가지 않았다. [47]

1928年,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은 하이젠베르크, 보른, 요르단을 노벨 物理學賞 候補로 指名했다. [48] 1932年 노벨 物理學賞 發表는 그해 11月로 延期되었다. [49] 하이젠베르크가 "陽子力學, 그中에서도(inter alia) , 水素의 同素體(allotropic) 形態 의 發見으로 引導한 그 適用의 量子力學의 創案으로" 1932年 受賞者로 發表된 것은 그 때였다. [50] [51]

兩者 理論의 解釋 [ 編輯 ]

量子力學의 發展과 무엇이 "實在"인지에 對한 明白한 矛盾的 含意는 科學的 觀察이 眞情으로 의미하는 바를 包含하여 深奧한 哲學的 含意를 가졌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과 루이 드 브로이 는 粒子가 恒常 客觀的으로 참된 運動量과 位置를 가지고 있다고 믿었던 實在論者들이었으나 (둘 다 測定할 수는 없더라도), 하이젠베르크는 "實在"의 直接的인 知識은 科學의 範圍를 벗어난다는 反實在論者(anti-realist)였다. [52] 하이젠베르크는 그의 《冊 物理學者의 自然 槪念(The Physicist's Conception of Nature)》 [53] 에서 쓰기를, 窮極的으로 우리는 粒子에 對한 무엇인가(something)를 記述하지만 粒子 自體에 對한 "眞正한" 接近은 決코 가질 수 없는 '知識'(票에서의 數字)에 對해서만 말할 수 있다고 主張하기를: [52]

우리는 더 以上 觀察 過程과 獨立的으로 粒子의 擧動에 對해 말할 수 없다. 最終 結果로 兩者 理論에서 數學的으로 公式化된 自然 法則은 더 以上 基本 粒子 自體가 아니라 基本 粒子에 對한 우리의 知識을 다루고 있다. 이 粒子들이 時空間에 存在하는지 客觀的으로 묻는 것도 더 以上 不可能하다... 우리 時代의 嚴密한 科學에서 自然의 그림을 말할 때 우리는 自然의 그림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自然과 우리의 關係의 그림'을 말한다. ... 科學은 더 以上 客觀的인 觀察者로서 自然을 對面하지 않고 人間과 自然 사이의 이러한 相互 作用에서 스스로를 行爲者로 본다. 分析하고, 說明하고 및 分類하는 科學的 方法은 介入에 依해 調査 對象을 變更하고 再創造한다는 事實에서 發生하는 限界를 認識하게 되었다. 다른 말로, 方法과 客體는 더 以上 分離될 수 없다. [52] [53]

親衛隊(SS) 調査 [ 編輯 ]

1932年 제임스 채드윅 中性子 를 發見한 直後, 하이젠베르크는 核의 中性子-陽性子 模型 에 對한 세 個의 論文 [54] 中 첫 番째 論文을 提出했다. [30] [55] 1933年 아돌프 히틀러 가 執權한 後 하이젠베르크는 言論에서 "白人 유대人" [56] 이라는 攻擊을 받았다. 도이체 物理學(Deutsche Physik) 또는 獨逸 物理學(또한 아리안 物理學(Aryan Physics)으로 알려짐)의 支持者들은 아르놀트 조머펠트와 하이젠베르크를 包含한 主要 理論 物理學者들에 對한 惡意的인 攻擊을 始作했다. 1930年代 初盤부터 反유대主義 및 反理論物理學 運動인 도이체 物理學 은 量子力學과 相對性理論 에 關心을 기울였다. 大學 環境에서 適用되었듯이, 가장 두드러진 두 支持者가 노벨 物理學賞 受賞者 필리프 레나르트 [57] 요하네스 슈타르크 [58] 였음에도 不拘하고 政治的 要因이 學問的 能力보다 優先했다. [59] [60]

하이젠베르크를 많은 獨逸 大學의 敎授로 임명하려는 試圖는 여러 番 失敗했다. 아르놀트 조머펠트의 後繼者로 任命받으려는 그의 試圖는 도이체 物理學 運動의 反對 때문에 失敗했다. [61] 1935年 4月 1日, 루트비히-막시밀리안 뮌헨 大學校 에서 하이젠베르크의 博士學位 顧問인 著名한 理論 物理學者 조머펠트는 名譽敎授(emeritus) 地位를 取得했다. 그렇지만, 조머펠트는 1939年 12月 1日까지 걸린 後任者 選出 過程 동안 그의 자리를 維持했다. 뮌헨 敎授團의 選擇과 獨逸 敎育部 도이체 物理學 의 支持者들 사이의 學問的, 政治的 差異로 인해서 그 過程은 오래 걸렸다.

1935年 뮌헨 敎授團 理論物理學의 一般 敎授이자 뮌헨 大學의 理論物理學 硏究所 所長인 조머펠트를 代身할 候補者 目錄을 作成했다. 세 名의 候補者는 모두 조머펠트의 移轉 學生이었는데: 노벨 物理學賞 을 受賞한 하이젠베르크; 1936年 노벨 化學賞 을 受賞한 피터 디바이 ; 그리고 리처드 베커 Richard Becker 였다. 뮌헨 敎授團은 李 候補者들을 確固하게 支援했으며 하이젠베르크가 첫 選擇이었다. 그러나 도이체 物理學 의 支持者들과 敎育部(REM)의 要員들은 그들만의 候補者 目錄을 가지고 있었고, 그 싸움은 4年 以上 繼續되었다. 이 時期에 하이젠베르크는 도이체 物理學 의 支持者들의 猛烈한 攻擊을 받았다. 한 攻擊은 하인리히 힘러 가 이끄는 親衛隊(SS) 의 新聞인 《검은 軍團(The Black Corps)》 에 실렸다. 여기서 하이젠베르크는 "사라져야" 마땅한 "白人 유대人"(卽, 猶太人처럼 行動하는 아리아인 )이라고 불렸다. [62] 유대人들이 暴力的인 攻擊을 받고 投獄됨에 따라서 이러한 攻擊은 深刻하게 받아들여졌다. 하이젠베르크는 問題를 解決하고 名譽를 되찾기 위해 한 社說과 힘러에게 보내는 便紙와 더불어 反擊했다.

어느 날, 하이젠베르크의 어머니는 힘러의 어머니를 訪問하였다. 두 女性은 하이젠베르크의 外할아버지와 힘러의 아버지가 바이에른 하이킹 클럽의 牧師이자 會員이었기 때문에 서로를 알고 있었다. 結局, 힘러는 1938年 7月 21日 親衛隊 集團指導者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 와 하이젠베르크에게 두 通의 便紙를 보내서 하이젠베르크 事件을 진정시켰다. 하이드리히에게 보낸 便紙에서 힘러는 하이젠베르크가 한 世代의 科學者들을 가르치는데 有用하기 때문에 獨逸은 그를 잃거나 沈默시킬 理由가 없다고 말했다. 힘러는 하이젠베르크에게 이 便紙가 家族의 推薦으로 보내졌다며 하이젠베르크에게 專門的인 物理學 硏究 結果와 關聯 科學者들의 個人的이고 政治的인 態度를 區別하라고 警告했다. [63]

빌헬름 뮐러 Wilhelm Muller 가 루트비히-막시밀리안 뮌헨 大學校에서 조머펠트의 자리를 꿰찼다. 그러나 뮐러는 理論物理學者度 아니었고, 物理學 저널에 論文을 發表하지 않았으며, 獨逸 物理學會 會員도 아니었다. 그의 任命은 嘲弄거리로 여겨졌고 理論物理學者들을 敎育하는데 惡影響을 끼쳤다. [63] [64] [65] [66] [67]

하이젠베르크의 親衛隊(SS) 搜査를 이끈 세 名의 調査官은 物理學 敎育을 받았다. 實際로 하이젠베르크는 라이프치히 大學校 에서 그들 中 한 名의 博士 試驗에 參與했었다. 세 名 中 가장 影響力 있는 사람은 요하네스 줄프스 Johannes Juilfs 였다. 그들은 하이젠베르크뿐만 아니라 理論物理學 및 學界에서 '도이체 物理學' 運動의 理念 政策에 反對하는 支持者가 되었다. [68]

獨逸 核武器 프로그램 [ 編輯 ]

戰爭前 物理學 硏究 [ 編輯 ]

1936年 中盤, 하이젠베르크는 두 個의 論文에서 宇宙船 의 샤워 理論을 發表했다. [69] 그 後 2年 동안 4篇의 論文 [70] [71] [72] [73] 이 더 나왔다. [30] [74]

1938年 12月 獨逸의 化學者 오토 한 프리츠 슈트라스만 《自然科學(The Science of Nature)》 우라늄 에 中性子들로 衝突시킨(bombarding) 後에 바륨 元素를 檢出했고 오토 韓銀 우라늄의 '爆發(bursting)'로 결론짓는 原稿를 보냈고; [75] 同時에 그해 7月에 네덜란드로 避身하여 그後 스웨덴으로 간 親舊 裏題 마이트너 에게 이 結果들을 連絡했다. [76] 마이트너와 조카 오토 로버트 프리쉬 Otto Robert Frisch 는 恨과 슈트라스만의 結果를 核分裂 로 올바르게 解釋했다. [77] 프리쉬는 1939年 1月 13日 實驗的으로 이것을 確認했다. [78]

1939年 6月과 7月에 하이젠베르크는 앤아버 에 있는 미시간 大學校 에서 사무엘 구드스미트 Samuel Goudsmit 를 訪問하기 위하여 美國으로 旅行했다. 그렇지만, 하이젠베르크는 美國으로 移住하는 招請을 拒絶했다. 그는 6年 後 구드스미트가 第2次 世界大戰 끝무렵에 알소스 作戰(Alsos Mission) 의 首席 科學 助言者가 될 때까지 그를 다시 보지 못했다. [30] [79] [80]

우란베라仁義 멤버쉽 [ 編輯 ]

'우란베라인(Uranverein)'으로 알려진 獨逸의 核武器 프로그램 은 1939年 9月 1日 第2次 世界大戰 이 勃發한 날 形成되었다. '陸軍 倂記靑(Heereswaffenamt, HWA)'은 ' 帝國 敎育部(Reichserziehungsministerium, REM '에서 ' 帝國 硏究委員會(Reichsforschungsrat, RFR '를 만들어서 軍事 後援 下에 公式的인 獨逸 原子力 프로젝트를 始作했다. 이 프로젝트는 1939年 9月 16日 첫 會議를 가졌다. 이番 會議는 쿠르트 디브너 Kurt Diebner HWA 顧問이 主管하고 베를린에서 열렸다. 招請人으로는 발터 보테 , 지크프리트 플뤼게 Siegfried Flugge , 한스 가이거 , 오토 한 , 폴 下텍 Paul Harteck , 게르하르트 호프만 Gerhard Hoffmann , 요제프 마타憂恥 Josef Mattauch , 게오르그 슈테터 Georg Stetter 가 包含되었다. 곧이어 하이젠베르크, 클라우스 클라우視우스 Klaus Clusius , 로베르트되펠 Robert Dopel , 카를 프리드리히 폰 바이츠제커 等이 두 番째 會議를 열었다. 베를린-달렘(Dahlem) 에 位置한 카이저-빌헬름 物理學 硏究所(KWIP)는 다이브너가 管理所長이 되어 HWA의 權限에 屬하게 되었고, 核 硏究에 對한 軍事 統制가 始作되었다. [81] [82] [83] 디브너가 HWA 프로그램 下에서 KWIP를 管理하던 時期에, 디브너와 카를 비츠 Karl Wirtz 카를 프리드리히 폰 바이츠제커 를 包含한 하이젠베르크의 內部 서클 사이에 相當한 個人的, 職業的 敵對感이 發展하였다. [30] [84]

느리게 움직이는 中性子가 우라늄-235 原子의 核에 吸收되어 빠르게 움직이는 두 個의 가벼운 要素(分裂 生成物)와 追加 中性子로 分裂되는 誘導 核分裂 事件의 視覺的인 表現. 放出된 에너지의 大部分은 核分裂 生成物과 中性子의 運動 速度의 形態이다.

1942年 2月 26~28日 카이저 빌헬름 物理學 硏究所에서 열린 陸軍 武器 事務局이 召集한 科學 會議에서 하이젠베르크는 獨逸 帝國 官吏들에게 核分裂을 통한 에너지 獲得에 關한 講義를 했다. [85] "우라늄 核分裂路부터 에너지 生成을 위한 理論的 土臺(Die theoretischen Grundlagen fur die Energiegewinning aus der Uranspaltung)"라는 題目의 講義는 第2次 世界大戰 後 하이젠베르크가 사무엘 구드스미트에게 보낸 便紙에서 告白한 바와 같이 "帝國 長官의 知的 水準에 맞추었다." [86] 하이젠베르크는 核分裂의 엄청난 에너지 潛在力에 對해 講義하면서 原子核의 分裂을 통해 2億 5千萬 전자볼트가 放出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하이젠베르크는 連鎖 反應을 達成하기 위해 純粹한 U-235를 얻어야 한다고 强調했다. 그는 同位元素 235
92
U
를 純粹한 形態로 얻는 우라늄 濃縮과 機械 속에서 一般 우라늄과 減速材의 代替 積層 方法 및 包含한 다양한 方法을 探究했다. 그는 이 機械가 車輛, 船舶 및 潛水艦에 燃料를 供給하는 데 實用的인 方法으로 使用될 수 있다고 言及했다. 하이젠베르크는 이러한 科學的 努力에 對한 陸軍 武器 事務所의 財政的, 物質的 支援의 重要性을 强調했다. 두 番째 科學 會議가 이어졌다. 國防과 經濟에 決定的으로 重要한 現代物理學의 問題들에 對한 講義가 들렸다. 會議에는 베른하르트 루스트 帝國 科學敎育文化部 長官이 參席했다. 會議에서 루스트 長官은 카이저 빌헬름 協會에서 核開發 計劃을 撤回하기로 決定했다. 帝國 硏究委員會가 그 프로젝트를 맡기로 되었다. [87] 1942年 4月, 陸軍은 物理學 硏究所를 카이저 빌헬름 協會(KWIP)에 返還하고, 하이젠베르크를 硏究所長으로 임명했다. KWIP에서 이 職責을 맡으면서 하이젠베르크는 첫 番째 敎授職을 얻었다. [61] 피터 디바이 는 如前히 硏究所의 所長이었지만, HWA가 KWIP의 管理權을 掌握했을 때 獨逸 市民이 되는 것을 拒否한 後 美國으로 떠났다. 하이젠베르크는 또한 아직 라이프치히 大學校에 로베르트되펠 Robert Dopel 과 그의 아내 클라라 되펠 Klara Dopel 에 依해 우란베라人을 위한 硏究를 遂行해온 그의 物理學科를 갖고 있었다. [30] [84]

1942年 6月 4日, 하이젠베르크는 獨逸의 軍部수 長官인 알베르트 슈페어 에게 우란베라인 硏究룰 核武器 開發로 轉換할 可能性에 對해 報告하도록 召喚되었다. 會議에서 하이젠베르크는 슈페어에게 相當한 資金力과 人力을 必要로 하기 때문에 1945年 以前에는 爆彈을 만들 수 없다고 말했다. [88] [89]

우란베라인 프로젝트는 帝國 硏究會의 指導 下에 配置된 後 原子力 生産에 重點을 두어 '戰爭의 重要性(kriegswichtig)' 地位를 維持했고; 따라서 出資는 軍隊에서 繼續되었다. 原子力 프로젝트는 우라늄 中搜 生産, 우라늄 同位元素 分離 및 原子爐 (Uranmaschine 우라늄 機械)의 主要 領域으로 分類되었다. 그 後 프로젝트는 本質的으로 여러 硏究所로 나뉘었고, 이 곳에서는 監督이 硏究를 主導하고 自身의 硏究 議題를 設定했다. [81] [90] [91] 軍隊가 獨逸 核武器 프로그램에 對한 統制를 抛棄한 1942年의 時點은 人員數로는 프로젝트의 絶頂이었다. 約 70名의 科學者가 이 프로그램을 위해 일했으며 約 40名의 科學者는 時間의 折半 以上을 核分裂 硏究에 割愛했다. 1942年 以後, 應用 核分裂을 硏究하는 科學者의 數는 劇的으로 減少했다. 主要 硏究所와 함께 일하지 않는 많은 科學者들은 核分裂 硏究를 中斷하고 보다 時急한 戰爭 關聯 硏究에 努力을 기울였다. [92]

1942年 9月, 하이젠베르크는 가본 粒子 物理學의 産卵 行列 또는 S-行列에 對한 3部作 시리즈의 첫 番째 論文을 提出했다. 처음 두 個의 論文은 1943年에 出版되었고, [93] [94] 세 番째 論文은 1944年에 出版되었다. [95] S-行列은 衝突 過程에서 入射 粒子의 狀態, 衝突에서 나오는 粒子의 狀態 및 安定的인 境界 狀態만을 說明하고; 干涉 狀態에 對한 參照는 없을 것이다. 이것은 그가 1925年에 觀察 可能한 것들만을 使用하여 量子力學의 行列 公式化의 基礎가 된 것으로 判明된 것과 같은 先例였다. [30] [74]

1943年 2月, 하이젠베르크는 프리드리히-빌헬름스-大學校(現在는 베를린 훔볼트 大學校 )의 理論物理學 議長으로 任命되었다. 4月에는 프로이센 科學 아카데미 의 選出이 承認되었다. 같은 달, 그는 베를린에서 聯合軍의 爆擊이 增加함에 따라 家族을 우르패트(Urfeld) 에 있는 隱身處로 옮겼다. 여름에 그는 같은 理由로 카이저 빌헬름 物理學 硏究所의 첫 番째 職員을 헤칭겐(Hechingen) 슈바르츠발트 가장자리에 있는 그 이웃 마을인 하이겔로흐(Haigerloch) 로 派遣했다. 10月 18日부터 26日까지 그는 獨逸이 占領한 네덜란드를 旅行했다. 1943年 12月, 하이젠베르크는 獨逸이 占領한 폴란드를 訪問했다. [30] [96]

1944年 1月 24日부터 2月 4日까지 하이젠베르크는 獨逸軍이 보어의 理論物理學 硏究所 를 沒收한 後 占領된 코펜하겐으로 旅行했다. 그는 4月에 짧은 歸國 旅行을 했다. 12月에 하이젠베르크는 中立國 스위스 에서 講義했다. [30] 美國 戰略事務局 은 某 버그 遙遠 Moe Berg 을 보내 拳銃을 갖고 講義에 參席하도록 했으며, 講義에서 獨逸이 原子爆彈 完成에 가까워졌다는 內容이 나오면 하이젠베르크를 射殺하라는 命令을 내렸다. [97]

1945年 1月, 하이젠베르크는 나머지 職員 大部分과 함께 카이저 빌헬름 物理學 硏究所에서 슈바르트발트 內의 施設로 移徙했다. [30]

第2次 世界大戰 以後 [ 編輯 ]

1945: 알소스 任務 [ 編輯 ]

하이겔로흐에서 捕捉되어 解體된 獨逸 實驗用 原子爐의 複製品

알소스 任務(Alsos Mission)는 獨逸이 原子爆彈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는지 確認하고, 美國의 利益을 위해 獨逸의 原子 關聯 施設, 硏究, 物資, 科學 人力을 利用하려는 聯合軍의 努力이었다. 이 作戰에 投入된 兵力은 一般的으로 聯合軍의 統制 下에 있던 地域으로 移動했지만, 때로는 如前히 獨逸軍의 統制 下에 있는 地域에서 作戰을 遂行하기도 했다. [98] [99] [100] 베를린은 많은 獨逸 科學 硏究 施設의 位置였다. 死傷者와 裝備의 損失을 줄이기 爲해, 戰爭 末期에 이 施設들 中 多數는 다른 地域으로 分散되었다. 카이저 빌헬름 物理學 硏究所(KWIP)는 1943年과 1944年에 大部分 슈바르츠발트 끝자락에 있는 헤칭겐과 그 隣近 마을인 하이겔로흐로 옮겨졌고, 結局 프랑스 占領 地域에 包含되었다. 이를 통해 알소스 任務의 美國 特殊部隊는 核 硏究와 關聯된 많은 獨逸 科學者들을 拘禁할 수 있었다. [101] [102]

3月 30日, 알소스 任務團은 하이델베르크 에 到着하여 [103] 발터 보테 , 리하르트 쿤 , 필리프 레나르트 , 볼프강 거트너를 包含한 重要한 科學者들을 逮捕했다. [104] 調査 結果 오토 韓銀 테일핑겐에 있는 그의 實驗室에 있었고, 하이젠베르크와 막스 폰 라우에 헤칭겐 의 하이젠베르크의 實驗室에 있었으며, 하이젠베르크 팀이 베를린에 建設한 天然 우라늄 原子爐는 하이겔로흐로 옮겨졌다. 以後 알소스 任務의 主要 焦點은 뷔르템베르크 地域의 核 施設에 있었다. [105] 하이젠베르크는 1945年 5月 3日 우르펠트에서 獨逸軍이 掌握하고 있는 領土에서 山岳 作戰을 벌이다 붙잡혀 逮捕되었다. 그는 하이델베르크로 옮겨져 1939年 앤아버 訪問 以後 처음으로 5月 5日 구드스미트를 만났다. 獨逸은 이틀 만에 降伏했다. 하이젠베르크는 프랑스와 벨기에를 가로질러 1945年 7月 3日 英國으로 移動하면서 8個月 동안 家族을 다시 보지 못했다. [106] [107] [99]

1945: 히로시마에 對한 反應 [ 編輯 ]

우란베라인 의 一員으로 《 核物理 硏究報告書(Nuclear Physics Research Reports) 》에 報告書를 發表한 著名한 獨逸 科學者 中 9名 [108] 은 알소스 作戰에 依해 逮捕되어 엡실론 作戰(Operation Epsilon) 아래 英國에서 投獄되었다. [109] 하이젠베르크를 비롯한 10名의 獨逸 科學者들이 英國의 팜 홀(Farm Hall 에 抑留되었다. 그 施設은 英國의 海外 情報局 MI6 安全家屋 이였다. 拘禁된 동안 그들의 對話는 錄音되었다. 知的 價値가 있다고 생각되는 對話는 戰士되어 英語로 飜譯되었다. 錄取錄은 1992年에 發表되었다. [110] [111] 1945年 8月 6日 팜 홀의 科學者들은 言論 報道를 통해 美國이 日本 히로시마 에 原子爆彈을 떨어뜨렸다는 事實을 알게 되었다. 처음에는 爆彈이 만들어지고 떨어졌다는 事實이 믿기지 않았다. 그 後 몇 週 동안 獨逸 科學者들은 美國이 어떻게 爆彈을 만들 수 있었는지 論議했다. [112]

팜 홀 記錄 에 따르면 하이젠베르크는 오토 恨과 카를 프리드리히 폰 바이츠제커 를 包含하여 팜 홀에 抑留된 다른 物理學者들과 함께 聯合軍이 第2次 世界大戰에서 勝利한 것을 기뻐했다고 한다. [113] [114] 하이젠베르크는 다른 科學者들에게 自身은 爆彈을 생각해 본 적이 없으며 에너지를 生産하는 原子 파일만 생각했다고 말했다. 나치를 위한 爆彈 製作의 道德性도 論議되었다. 少數의 科學者들만이 核武器의 可能性에 對해 眞正한 恐怖를 표했고, 하이젠베르크 自身도 이 問題에 對해 論議하는 데 신중했다. [115] 獨逸의 核武器 프로그램이 原子爆彈 製作에 失敗하자, 하이젠베르크는 "우리는 1942年 봄에 政府에게 原子爆彈을 建設하기 위해서 120,000名을 雇用해야 한다고 勸告할 道德的 勇氣가 없었을 것이다."라고 言及했다. [116]

戰後 硏究 經歷 [ 編輯 ]

하이젠베르크의 老年 胸像, 뮌헨 近處 가르稱(Garching) 막스 플랑크 協會 캠퍼스에 展示

獨逸 硏究 機關의 任員 職位 [ 編輯 ]

1946年 1月 3日, 10名의 엡실론 作戰 抑留者들이 獨逸의 알스웨데로 移送되었다. 하이젠베르크는 聯合軍이 占領한 獨逸의 英國 地域인 괴팅겐에 定着했다. [117] 하이젠베르크는 卽時 獨逸에서 科學 硏究를 促進하기 始作했다. 聯合軍 統制 委員會(Allied Control Council) 에 依해 카이저 빌헬름 協會 가 廢止되고 英國 地域에 막스 플랑크 協會 가 設立된 後 하이젠베르크는 막스 플랑크 物理學 硏究所(Max Planck Institute for Physics) 의 所長이 되었다. 막스 폰 라우에 가 副所長으로 任命되었고 칼 비르츠 Karl Wirtz , 카를 프리드리히 폰 바이츠제커 , 루트비히 비어르만 Ludwig Biermann 이 合流하여 하이젠베르크의 硏究所 設立을 도왔다. 하인츠 빌링 Heinz Billing 은 電子 컴퓨팅 開發을 促進하기 위해 1950年에 合流했다. 硏究所의 核心 硏究 焦點은 宇宙船 이였다. 硏究所는 每週 土曜日 午前에 콜로키움을 開催했다. [118]

하이젠베르크는 헤르만 라인 Hermann Rei 과 함께 포르슝스라트(Forschungsrat)(硏究 委員會)를 設立하는 데 重要한 役割을 했다. 하이젠베르크는 새로 設立된 獨逸 聯邦 共和國 과 獨逸에 基盤을 둔 科學界 사이의 對話를 促進하기 위해 이 포르슝스라트를 計劃했다. [118] 하이젠베르크는 포르슝스라트의 會長으로 任命되었으며. 그 機關은 1951年 獨逸 科學 非常 協會( Notgeminshaft der Deutschen Wissenschaft )와 統合되었고 같은 해 獨逸 硏究協會 (Deutschungsgemeinshaft)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合倂에 이어서 하이젠베르크는 會長으로 任命되었다. [30]

1958年에 막스 플랑크 物理學 硏究所(Max Planck Institute for Physics) 는 뮌헨으로 移轉되어 擴張되었으며 막스 플랑크 物理學 및 天體 物理學 硏究所(Max-Planck-Institut fur Physik und Astrophysik) (MPIFA)로 이름이 變更되었다. 그 사이에 하이젠베르크와 天體物理學者 루트비히 비어르만 Ludwig Biermann 은 MPIFA의 共同 責任者였다. 하이젠베르크는 또한 루트비히 막시밀리안 뮌헨 大學 의 正敎授가 되었다. 하이젠베르크는 1960年부터 1970年까지 MPIFA의 單獨 責任者였다. 하이젠베르크는 1970年 12月 31日에 MPIFA의 責任者職을 辭任했다. [14] [30]

國際 科學 協力 促進 [ 編輯 ]

1951年 하이젠베르크는 유럽의 核物理學 硏究所 設立을 目標로 유네스코 會議에서 獨逸聯邦共和國 의 科學代表가 되는 데 同意했다. 하이젠베르크의 目標는 西歐圈 科學者들의 資源과 技術을 活用하여 大型 粒子 加速器 를 만드는 것이었다. 1953年 7月 1日 하이젠베르크는 獨逸 聯邦 共和國을 代表하여 CERN 을 設立하는 協約에 署名했다. CERN의 創立 科學 責任者가 되어 달라는 要請을 받았지만 그는 拒絶했다. 代身, 그는 CERN의 科學 政策 委員會 議長으로 任命되었고 CERN에서 科學 프로그램을 決定했다. [119]

1953年 12月 하이젠베르크는 알렉산더 폰 훔볼트 財團의 會長이 되었다. [119] 會長 在任 期間 동안 78個國에서 온 550名의 훔볼트 學者들이 科學 硏究 補助金을 받았습니다. 하이젠베르크는 죽기 直前에 會長職을 辭任했다. [120]

硏究 關心事 [ 編輯 ]

1946年에 오브닌스크 의 第5硏究所 所長인 獨逸 科學者 하인츠 포즈 Heinz Pose 는 하이젠베르크에게 蘇聯에서 硏究하도록 招待하는 便紙를 썼다. 이 便紙는 蘇聯의 勞動 條件과 可用 資源, 獨逸 科學者에 對한 蘇聯의 好意的인 態度를 稱讚했다. 配達員이 1946年 7月 18日子 採用 便紙를 하이젠베르크에게 傳達했다. 하이젠베르크는 鄭重하게 拒絶했다. [121] [122] 1947年에 하이젠베르크는 케임브리지 , 에든버러 , 브리스톨 에서 講演을 했다. 하이젠베르크는 1947年 [123] 과 1948年 [124] [125] 에 두 個의 論文으로 超傳導 現象의 理解에 寄與했는데, 그 中 하나는 막스 폰 라우에 와 함께 였다. [30] [126]

第2次 世界 大戰 直後의 期間에 하이젠베르크는 博士學位 論文의 主題인 暖流로 暫時 돌아왔다. 1948年에 3篇 [127] [128] [129] 의 論文과 1950年에 1篇 [20] [130] 이 出版되었다. 前後 期間에 하이젠베르크는 中間者 多衆 生成에 對한 考慮와 함께 宇宙船 샤워(showers)에 對한 그의 關心을 繼續했다. 그는 1949年에 3篇의 論文 [131] [132] [133] , 1952年에 2篇의 論文 [134] [135] , 1955年에 1篇의 論文 [136] 을 發表했다. [137]

1955年 말에서 1956年 秒 사이에 하이젠베르크는 스코틀랜드의 세인트 앤드류스 大學校 에서 物理學의 指摘 歷史 에 對해 기포드 講演 을 했다. 講義는 나중에 《物理學과 哲學: 現代 科學의 革命(Physics and Philosophy: Revolution in Modern Science)》로 出版되었다. [138] 1956年과 1957年 동안 하이젠베르크는 獨逸 原子力 委員會(Deutsche Atomkommission, DAtK)의 委員會 II "硏究와 成長"(Fachkommission II "Forschung und Nachwuchs")의 核物理學 實務그룹(Arbeitskreis Kernphysik) 議長이었다. 1956年과 1957年에 原子力 物理學 實務그룹의 다른 構成員은 다음과 같다: 발터 보테 , 한스 코퍼만Hans Kopfermann (副議長), 프리츠 보프 Fritz Bopp , 볼프강 겐트너 Wolfgang Gentner , 오토 學셀 Otto Haxel , 빌리발트 연트쉬케 Willibald Jentschke , 하인츠 마리-라이프니츠 Heinz Maier-Leibnitz , 요세프 마트아우흐 Josef Mattauch , 볼프강 里즐러 Wolfgang Riezler , 빌헬름 발虛 Wilhelm Walcher 카를 프리드리히 폰 바이츠제커 . 볼프강 파울 도 1957年 이 그룹의 멤버였다. [139]

1957年, 하이젠베르크는 괴팅겐 宣言文(Gottingen Manifesto) 에 署名하여 核武器 로 武裝한 獨逸 聯邦 共和國 에 對해 公開的인 立場을 取했다. 하이젠베르크는 파스쿠알 요르단 과 마찬가지로 政治人들이 核 科學者들의 이 말을 無視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하이젠베르크는 괴팅거 宣言이 政治人들이 考慮해야 할 "輿論에 影響을 미칠 것"이라고 믿었다. 그는 발터 게를라흐 Walther Gerlach 에게 다음과 같이 썼다. "輿論이 느슨해질 危險 때문에 우리는 아마도 오랫동안 公開的으로 이 問題에 對해 繼續 돌아와해야 할 것이다." [140] 1961年 하이젠베르크는 카를 프리드리히 폰 바이츠제커 루드비히 라이저 Ludwig Raiser 와 함께 튀빙겐 覺書(Memorandum of Tubingen) 에 署名했다. [141] 科學者들와 政治人들 사이에 公開 討論이 이어졌다. [142] 著名한 政治人, 作家, 社交界 名士들이 核武器에 對한 論爭에 參與하자 覺書 署名者들은 "前業績 指摘 불順應主義者들(nonconformists)"에 反對하는 立場을 取했다. [143]

1957年부터 Heisenberg는 플라스마 物理學科 核融合 過程에 關心을 보였다. 그는 또한 제네바 에 있는 國際 原子 物理學 硏究所와 協力했다. 그는 硏究所의 科學 政策 委員會 委員이었고 몇 年 동안 委員會 委員長을 지냈다. [2] 그는 오데르-나이세 線(Oder?Neiße line) 獨逸 폴란드 의 公式 國境으로 認定할 것을 要求하고 西獨 의 核武裝 可能性에 反對하는 튀빙겐 覺書(Memorandum of Tubingen) 의 署名者 8名 中 하나였다. [144]

1973年 하이젠베르크는 하버드 大學校 에서 兩者 理論 槪念의 歷史的 發展에 對해 講義했다. [145] 1973年 3月 24日 하이젠베르크는 바바리아 가톨릭 아카데미(The Catholic Academy of Bavaria) 앞에서 演說을 하여 로마노 과르디니 上(Romano Guardini Prize)을 受賞했다. 그의 演說을 英語로 飜譯한 것은 《科學的 및 宗敎的 眞實 (Scientific and Religious Truth)》이라는 題目으로 出版되었으며, 그 引用文은 이 記事의 뒷部分에 나온다. [146]

哲學과 世界觀 [ 編輯 ]

하이젠베르크는 東洋 哲學 을 尊敬했고 東洋 哲學과 量子 力學 사이의 類似點을 보았고 自身을 《現代物理學과 東洋思想(The Tao of Physics)》 라는 冊과 "完全히 一致"한다고 說明했다. 하이젠베르크는 印度 哲學 에 對해 라빈드라나트 타고르 와 對話한 後 "너무 미친 것처럼 보였던 一部 아이디어가 갑자기 훨씬 더 理解가 되었다"고 말하기까지 했다. [147]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의 哲學과 關聯하여 하이젠베르크는 《論理哲學 論考(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를 싫어했지만 "비트겐슈타인의 後期 思想과 言語에 對한 그의 哲學"은 매우 좋아했다. [148]

篤實한 基督敎人인 하이젠베르크 [149] [150] 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에게 보내는 마직막 便紙에서 쓰기를: "우리는 善하신 主 하나님이 아원자 粒子의 位置를 알고 계셔서 因果關係 原理가 繼續 妥當性을 가지도록 하신다고 스스로를 慰勞할 수 있다."라고 했다. [151] 아인슈타인은 宇宙가 根本的인 水準에서 不確實하다는 것을 暗示하기 때문에 兩者 物理學은 不完全함에 틀림없다고 繼續 主張했다. [152]

하이젠베르크는 "自然科學이라는 盞을 한모금 마시면 當身은 無神論者가 될 것이지만, 그 盞 밑바닥에서 신은 當身을 기다리고 있다."라고 말했다. [153]

1950年代에 行해진 講義에서 나중에 《物理學과 哲學(Physics and Philosophy)》으로 出版된 하이젠베르크는 科學的 進步가 文化的 葛藤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主張했다. 그는 現代 物理學이 "現在 世界의 統合과 擴張을 向한 傾向이 있는 一般的인 歷史的 過程의 一部"라고 表明했다. [154]

하이젠베르크가 1974年 로마노 舊아르디니 上(Romano Guardini Prize)을 받았을 때 그는 演說을 했고 나중에 《科學과 宗敎의 眞理(Scientific and Religious Truth)》라는 題目으로 出版했다. 그는 熟考했다:

科學의 歷史에서 有名한 갈릴레오의 裁判 以後로, 科學的 眞理는 世上의 宗敎的 解釋과 調和될 수 없다고 反復해서 主張되어 왔다. 나는 이제 科學的 眞理가 그 自身의 分野에서 攻擊할 수 없다고 確信하지만, 宗敎的 思考의 內容을 單純히 人類 意識의 時代에 뒤떨어진 段階의 一部, 우리가 抛棄해야 할 部分으로 一蹴할 수 있다는 것을 決코 發見하지 못했다. 只今. 따라서 나는 살아오면서 이 두 思考 領域의 關係에 對해 反復的으로 熟考하지 않을 수 없었다. 왜냐하면 그것들이 가리키는 것의 實在性을 決코 疑心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 하이젠베르크 1974, 213 [155]

自敍傳과 死亡 [ 編輯 ]

프리드리히 훈트, 베르너 하이젠베르크와 막스 보른 괴팅겐 1966年
獨逸 郵票 속의 하이젠베르크

하이젠베르크의 아들인 마르틴 하이젠베르크는 뷔르츠부르크 大學校 神經生物學者 가 되었으며 그의 아들인 요헨 하이젠베르크는 뉴햄프셔 大學校 의 物理學 敎授가 되었다. [156]

60代 後半에 하이젠베르크는 大衆 市場(mass market)을 위해 自敍傳을 썼다. 1969年에 이 冊은 獨逸에서 出版되었고, 1971年 初에는 英語로 出版되었고, 그 後 몇 年 동안 다른 言語로 出版되었다. [157] 하이젠베르크는 1966年 그의 公開 講義가 哲學과 宗敎의 主題로 漸次 바뀌면서 이 프로젝트를 始作했다. 하이젠베르크는 出版을 위해 히르젤 베를라그(Hirzel Verlag)와 존 와일리 & 선즈(John Wiley & Sons) 에게 統一場 理論 에 關한 敎科書의 原稿를 보냈다. 그가 出版社 中 한 사람에게 쓴 이 原稿는 그의 自敍傳을 爲한 準備 作業이었다. 그는 自敍傳을 構成하기를: 1) 正確한 科學의 目標, 2) 原子 物理學에서 言語의 問題, 3) 數學과 科學에서의 抽象化, 4) 物質의 可分性 또는 칸트의 二律背反, 5) 基本 對稱 6) 科學과 宗敎 等으로 하였다. [158]

하이젠베르크는 回顧錄을 一連의 對話 形式으로 썼고, 그의 生涯를 網羅했다. 이 冊은 大衆的인 成功을 거두었지만 科學史家들에게는 골칫거리로 여겨졌다. 序文에서 하이젠베르크는 歷史的 事件을 더 簡潔하게 만들기 爲해 要約했다고 썼다. 出版 當時 파울 포르만 Paul Forman 은 《科學(Science)》 저널에서 "이제 合理的으로 再構成된 對話 形式의 回顧錄이 있다. 그리고 갈릴레오가 잘 알고 있는 對話는 그 自體로 가장 狡猾한 文學的 裝置이라서: 活氣차고, 재미있고, 特히 意見을 暗示하는 데 적합하면서도 그에 對한 責任은 回避한다." [159] 科學 回顧錄은 거의 出版되지 않았지만 콘라트 로렌츠 아돌프 포르트만 Adolf Portmann 은 廣範圍한 聽衆에게 學問을 傳達하는 大衆的인 冊을 著述했다. 하이젠베르크는 自敍傳을 作成하여 뮌헨의 피페르 베르라그(Piper Verlag) 에서 出版했다. 하이젠베르크는 처음에 《原子 物理學에 對한 對話(Gesprache im Umkreis der Atomphysik)》라는 題目을 提案했다. 自敍傳은 結局 《 部分과 全體 (Der Teil und das Ganze)》라는 題目으로 出版되었다. [160] 1971年 英語 飜譯은 《 物理學 및 그 너머 (Physics and Beyond) : 만남과 對話 (Encounters and Conversations)》라는 題目으로 出版되었다.

하이젠베르크는 1976年 2月 1日 自宅에서 腎臟癌으로 死亡했다. [161] 다음날 저녁, 그의 同僚와 親舊들은 物理學 硏究所에서 그의 집까지 追慕하기 위해 걸어가서 촛불을 켜고 그의 門 앞에 두었다. [162] 하이젠베르크는 뮌헨 발트프리드호프(Waldfriedhof) 에 묻혔다.

1980年 그의 아내인 엘리자베트 하이젠베르크는 《政治人의 政治 生活(De, Das politische Leben eines Unpolitischen)》을 出版했다. 그 冊에서 그女는 하이젠베르크를 "무엇보다도 自發的인 사람, 그 다음은 뛰어난 科學者, 그 다음은 매우 才能 있는 藝術家, 그리고 네 番째로 義務感으로부터의 호모 폴리티쿠스(homo politicus)"로 描寫했다. [163]

敍勳과 受賞 [ 編輯 ]

하이젠베르크는 많은 敍勳을 받았다: [2]

核物理學에 對한 硏究 報告書 [ 編輯 ]

다음 報告書는 獨逸 우란베라인 의 內部 刊行物인 《核物理學 硏究報告書 (Kernphysikalische Forschungsberichte)》 에 揭載되었다. 報告書는 極祕 로 分類되었고 配布가 매우 制限的이었고 著者는 寫本을 保管할 수 없었다. 報告書는 聯合軍 알소스 作戰 에 따라 押收되었고 評價를 위해 美國 原子力 委員會 로 보내졌다. 1971年에 보고서는 機密 解除되어 獨逸로 返還되었다. 그 報告書는 카를스루에 核硏究 센터 美國 物理化 硏究所 에서 볼 수 있다. [168] [169]

  • Werner Heisenberg Die Moglichkeit der technischer Energiegewinnung aus der Uranspaltung G-39 (1939年 12月 6日)
  • Werner Heisenberg Bericht uber die Moglichkeit technischer Energiegewinnung aus der Uranspaltung (II) G-40 (1940年 2月 29日)
  • Robert Dopel, K. Dopel, and Werner Heisenberg Bestimmung der Diffusionslange thermischer Neutronen in schwerem Wasser G-23 (1940年 8月 7日)
  • Robert Dopel, Klara Dopel, and Werner Heisenberg Bestimmung der Diffusionslange thermischer Neutronen in Praparat 38 [170] G-22 (1940年 12月 5日)
  • Robert Dopel, K. Dopel, and Werner Heisenberg Versuche mit Schichtenanordnungen von D 2 O und 38 G-75 (1941年 10月 28日)
  • Werner Heisenberg Uber die Moglichkeit der Energieerzeugung mit Hilfe des Isotops 238 G-92 (1941年)
  • Werner Heisenberg Bericht uber Versuche mit Schichtenanordnungen von Praparat 38 und Paraffin am Kaiser Wilhelm Institut fur Physik in Berlin-Dahlem G-93 (1941年 5月)
  • Fritz Bopp, Erich Fischer, Werner Heisenberg, Carl-Friedrich von Weizsacker, and Karl Wirtz Untersuchungen mit neuen Schichtenanordnungen aus U-metall und Paraffin G-127 (1942年 3月)
  • Robert Dopel Bericht uber Unfalle beim Umgang mit Uranmetall G-135 (1942年 7月 9日)
  • Werner Heisenberg Bemerkungen zu dem geplanten halbtechnischen Versuch mit 1,5 to D 2 O und 3 to 38-Metall G-161 (1942年 7月 31日)
  • Werner Heisenberg, Fritz Bopp, Erich Fischer, Carl-Friedrich von Weizsacker, and Karl Wirtz Messungen an Schichtenanordnungen aus 38-Metall und Paraffin G-162 (1942年 10月 30日)
  • Robert Dopel, K. Dopel, and Werner Heisenberg Der experimentelle Nachweis der effektiven Neutronenvermehrung in einem Kugel-Schichten-System aus D 2 O und Uran-Metall G-136 (1942年 7月)
  • Werner Heisenberg Die Energiegewinnung aus der Atomkernspaltung G-217 (1943年 5月 6日)
  • Fritz Bopp, Walther Bothe, Erich Fischer, Erwin Funfer, Werner Heisenberg, O. Ritter, and Karl Wirtz Bericht uber einen Versuch mit 1.5 to D 2 O und U und 40 cm Kohleruckstreumantel (B7) G-300 (1945年 1月 3日)
  • Robert Dopel, K. Dopel, and Werner Heisenberg Die Neutronenvermehrung in einem D 2 O-38-Metallschichtensystem G-373 (1942年 3月)

其他 硏究 出版物 [ 編輯 ]

  • Sommerfeld, A.; Heisenberg, W. (1922). "Eine Bemerkung uber relativistische Rontgendubletts und Linienscharfe". Z. Phys. 10 (1): 393?398.
  • Sommerfeld, A.; Heisenberg, W. (1922). "Die Intensitat der Mehrfachlinien und ihrer Zeeman-Komponenten". Z. Phys. 11 (1): 131?154.
  • Born, M.; Heisenberg, W. (1923). "Uber Phasenbeziehungen bei den Bohrschen Modellen von Atomen und Molekeln". Z. Phys. 14 (1): 44?55.
  • Born, M.; Heisenberg, W. (1923). "Die Elektronenbahnen im angeregten Heliumatom". Z. Phys. 16 (9): 229?243.
  • Born, M.; Heisenberg, W. (1924). "Zur Quantentheorie der Molekeln". Annalen der Physik. 74 (4): 1?31.
  • Born, M.; Heisenberg, W. (1924). "Uber den Einfluss der Deformierbarkeit der Ionen auf optische und chemische Konstanten. I". Z. Phys. 23 (1): 388?410.
  • ? (1924). "Uber Stabilitat und Turbulenz von Flussigkeitsstrommen (Diss.)". Annalen der Physik. 74 (4): 577?627.
  • ? (1924). "Uber eine Abanderung der formalin Regeln der Quantentheorie beim Problem der anomalen Zeeman-Effekte". Z. Phys. 26 (1): 291?307.
  • ? (1925). "Uber quantentheoretische Umdeutung kinematischer und mechanischer Beziehungen". Zeitschrift fur Physik. 33 (1): 879?893. 1925年 7月 29日 發行되었다. [英語 飜譯: 판 데르 베르덴 van der Waerden 1968, 12 "運動과 機械的 關係의 兩者理論的 再解釋"] 이것은 量子力學의 行列 力學 公式을 始作한 有名한 3部作 中 첫 番째 論文이다.
  • Born, M.; Jordan, P. (1925). "Zur Quantenmechanik". Zeitschrift fur Physik. 34 (1): 858?888. 1925年 9月 27日 發行되었다. [英語 飜譯: 판 데르 베르덴 1968, "量子力學에 對하여"] 이것은 量子力學의 行列力學 公式을 始作한 有名한 3部作 中 두 番째 論文이다.
  • Born, M.; Heisenberg, W.; Jordan, P. (1926). "Zur Quantenmechanik II". Zeitschrift fur Physik. 35 (8?9): 557?615. 1925年 11月 16日 發行되었다. [英語 飜譯: 판 데르 베르덴 1968, 15 "量子力學에 對하여 II"] 이것은 量子力學의 매트릭스 公式을 始作한 有名한 3部作 中 세 番째 論文이다.
  • ? (1927~1928). 獨逸語 論文 2篇
  • ?; Pauli, W. (1929). "Zur Quantendynamik der Wellenfelder". Z. Phys. 56 (1): 1?61.
  • ?; Pauli, W. (1930). "Zur Quantentheorie der Wellenfelder. II". Z. Phys. 59 (3?4): 168?190.
  • ? (1932~1936). 毒알어 論文 5篇
  • ?; Euler, H. (1936). "Folgerungen aus der Diracschen Theorie des Positrons". Z. Phys. 98 (11?12): 714?732.
  • ? (1936~1948). 獨逸語 論文 10篇
  • ?; von Laue, M. (1948). "Das Barlowsche Rad aus supraleitendem Material". Z. Phys. 124 (7?12): 514?518.
  • ? (1948). "Zur statistischen Theorie der Tubulenz". Z. Phys. 124 (7?12): 628?657.
  • ? (1948). "統計 및 等方性 暖流 理論에 對하여(On the theory of statistical and isotropic turbulence)".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A. 195 (1042): 402?406.
  • ? (1948). "Bemerkungen um Turbulenzproblem". Z. Naturforsch. 3a (8?11): 434?7.
  • ? (1949). "中間者 샤워의 形成(Production of mesons showers)". Nature. 164 (4158): 65?67.
  • ? (1936 ~ 1948). 獨逸語 論文 10篇
  • ? (1955). "매우 높은 에너지 衝突에서 中間者 生成(The production of mesons in very high energy collisions)". Nuovo Cimento. 12 (Suppl): 96?103.
  • ? (1949). 獨逸語 論文 2篇
  • ? (1950). "層流 흐름의 安定性에 對하여(On the stability of laminar flow)". Proc. International Congress Mathematicians. II: 292?296.
  • ? (1952). 獨逸語 論文 2篇
  • ? (1975). "兩者 理論의 歷史에서 槪念의 發展(Development of concepts in the history of quantum theory)". American Journal of Physics. 43 (5): 389?394. 이 글의 內容는 하이젠베르크가 하버드 大學校 講演에서 提示한 것이다.

出版 著書 [ 編輯 ]

  • ? (1949) [1930]. The Physical Principles of the Quantum Theory . Translators Eckart, Carl; Hoyt, F.C. Dover.
  • ? (1955). Das Naturbild der heutigen Physik . Rowohlts Enzyklopadie. 8. Rowohlt.
  • ? (1966). Philosophic Problems of Nuclear Science . Fawcett.
  • ? (1971). Physics and Beyond: Encounters and Conversations . Harper & Row
  • ?; Busche, Jurgen (1979). Quantentheorie und Philosophie: Vorlesungen und Aufsatze . Reclam.
  • ? (1979). Philosophical problems of quantum physics . Ox Bow.
  • ? (1983). Tradition in Science . Seabury Press.
  • ? (1988). Physik und Philosophie: Weltperspektiven . Ullstein Taschenbuchvlg.
  • ? (1989). Encounters with Einstein: And Other Essays on People, Places, and Particles . Princeton University Press.
  • ?; Northrop, Filmer (1999). Physics and Philosophy: The Revolution in Modern Science (Great Minds Series). Prometheus
  • ? (2002). Der Teil und das Ganze: Gesprache im Umkreis der Atomphysik . Piper; (2005). 《 部分과 全體 》 金容俊 옮김. 지식산업사; (2016). 유영미 옮김. 서커스.
  • ? (1992). Rechenberg, Helmut (ed.). Deutsche und Judische Physik . Piper.
  • ? (2007). Physik und Philosophie: Weltperspektiven . Hirzel.
  • ? (2007). Physics and Philosophy: The Revolution in Modern Science . Harper Perennial Modern Classics (reprint ed.). HarperCollins. (full text of 1958 version); (2018). 《物理와 哲學: 近代 科學의 革命》 조호근 옮김. 서커스.

大衆 文化에서 [ 編輯 ]

하이젠베르크의 姓은 케이블 TV채널 AMC 의 犯罪 드라마 《 브레이킹 배드 》의 主人公인 월터 화이트 Walter White 가 高等學校 化學敎師에서 메스 製造者와 痲藥王으로 變身하는 동안 主要 假名 으로 使用된다.

하이젠베르크는 實際 事件을 바탕으로 한 映畫 《 더 캐쳐 워즈 어 스파이 》에서 스파이 모에 베르그 의 暗殺 標的이었습니다.

하이젠베르크는 필립 K. 딕 의 小說 《 높은 誠意 사나이 》를 脚色한 아마존 프라임(Amazon Prime) TV시리즈에서 液시스 Axis 가 使用한 原子爆彈을 만든 功勞를 인정받는다. 이 宇宙에 있는 原子爆彈은 하이젠베르크 裝置라고 불린다.

하이젠베르크는 게임 《 레지던트 이블 빌리지 》의 2次 敵對者 칼 하이젠베르크과 洞名이다. 하이젠베르크의 强磁性에 對한 硏究는 캐릭터의 自己 能力에 對한 靈感으로 貢獻했다.

같이 보기 [ 編輯 ]

노트 [ 編輯 ]

  1. 兩者 物理學에 對한 하이젠베르크의 硏究는 4半世紀의 硏究 가 先行되었다.

各州 [ 編輯 ]

  1. Mott & Peierls 1977 , pp. 212-251.
  2. Werner Heisenberg Biography Archived 18 August 2011 at WebCite, Nobel Prize in Physics 1932 Nobelprize.org.
  3.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 Nobelprize.org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이 資料는 하이젠베르크가 實際로 1932年 노벨賞을 받은 것이 1年 뒤인 1933年이라고 說明한다.
  4. "Reviving German Science" .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5. Cassidy 2009 , p. 12
  6. Cassidy 1992 , p. 3
  7. The religion of Werner Heisenberg, physicist. Adherents.com. Retrieved on 1 February 2012.
  8. Carson 2010 , p. 149
  9. De Haro, Sebastian (2020). "Science and Philosophy: A Love?Hate Relationship". Foundations of Science . 25 (2): 297?314. arXiv: 1307.1244 .
  10. Wilber, Ken (10 April 2001). Quantum Questions: Mystical Writings of the World's Great Physicists .
  11. Miller, Arthur (2009). 137: Jung, Pauli and the pursuit of a scientific obsession . New York: Norton & Company. p. 31.
  12. Rechenberg, Helmut (2010). Werner Heisenberg ? Die Sprache der Atome . Leben und Wirken. Springer. p. 36.
  13. Heisenberg, W. (1924). "Uber eine Abanderung der formalen Regeln der Quantentheorie beim Problem der anomalen Zeeman-Effekte". ‘’Z. Phys‘’. 26 (1): 291?307. Bibcode: 1924ZPhy...26..291H . as cited in Mott & Peierls 1977, p. 243
  14. Hentschel & Hentschel 1996 , Appendix F; see the entry for Heisenberg.
  15. Mott & Peierls 1977 , p. 219
  16. Cassidy 1992 , pp. 127, Appendi
  17. Powers 1993 , p. 23
  18. van der Waerden 1968 , p. 21
  19. Heisenberg, W. (1924). "Uber Stabilitat und Turbulenz von Flussigkeitsstrommen". Annalen der Physik . 379 (15): 577?627. Bibcode: 1924AnP...379..577H . as cited in Mott & Peierls 1977, p. 245
  20. Mott & Peierls 1977 , p. 217
  21. Maringer, Daniel. "Beruhmte Physiker: Werner Heisenberg eine Biographie-Pfadfinderzeit" (in German).
  22. "Heisenberg Werner" (in German).
  23. "Ein Leben fur die Jugendbewegung und Jugendseelsorger ? 100 Jahre Gottfried Simmerding" (PDF). Rundbrief der Regionen Donau und Munchen (in German). Gemeinschaft Katholischer Manner und Frauen im Bund Neudeutschland-ND. 2: 12.
  24. Raum, Helmut (2008). "Die Pfadfinderbewegung im Freistaat Bayern Teil 53" (PDF). Der Bundschuh (in German). Pfadfinderforderkreis Nordbayern e.V. 2: 23?24.
  25. Cassidy 2009 , p. 372 and Appendix A
  26. David Cassidy and the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The Difficult Years Archived 2008年 9月 15日 - 웨이백 머신 . Archived 15 September 2008 at the Wayback Machine
  27. Kragh, H. (2004) "Dirac, Paul Adrien Maurice (1902?1984)" ,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 Oxford University Press.
  28. "February 1927: Heisenberg's Uncertainty Principle" . APS News . American Physics Society. 17 (2). February 2008.
  29. Heisenberg 1927 , cited in Mott & Peierls 1977 , p. 243
  30. Cassidy 1992 , Appendix A
  31. Mott & Peierls 1977 , p. 224
  32. Heisenberg 1928 , as cited in Mott & Peierls 1977 , p. 243
  33. Mott & Peierls 1977 , pp. 226?227
  34. Mott & Peierls 1977 , p. 227
  35. Heisenberg & Pauli 1929 , Heisenberg & Pauli 1930 , as cited in Mott & Peierls 1977 , p. 243.
  36. Kursunoglu, Behram N.; Wigner, Eugene P. (26 April 1990). Paul Adrien Maurice Dirac: Reminiscences about a Great Physicist .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132.y
  37. Heisenberg 1934
  38. Heisenberg & Euler 1936
  39. Segre, Emilio G. (1980). From X-rays to Quarks: Modern Physicists and Their Discoveries . W.H. Freeman.
  40. Heisenberg, W. (1925). "Uber quantentheoretishe Umdeutung kinematisher und mechanischer Beziehungen". Zeitschrift fur Physik . 33 (1): 879?893. bibcode: 1925ZPhy...33..879H . (received 29 July 1925). [English translation in: B.L. van der Waerden, editor, Sources of Quantum Mechanics (Dover Publications, 1968) (English title: "Quantum-Theoretical Re-interpretation of Kinematic and Mechanical Relations").]
  41. MacKinnon, Edward (1977). "Heisenberg, Models, and the Rise of Quantum Mechanics". Historical Studies in the Physical Sciences. 8: 137?188. doi: 10.2307/27757370 .
  42. Aitchison, Ian J.R.; MacManus, David A.; Snyder, Thomas M. (November 2004). "Understanding Heisenberg's 'magical' paper of July 1925: A new look at the calculational details". American Journal of Physics. 72 (11): 1370?1379. arXiv: quant-ph/0404009v1 .
  43. Max Born Archived 19 October 2012 at the Wayback Machine The Statistical Interpretation of Quantum Mechanics, Nobel Lecture (1954)
  44. Pais, Abraham (1991). Niels Bohr's Times in Physics, Philosophy, and Polity . Clarendon Press. pp. 275?279 .
  45. Born, M.; Jordan, P. (1925). "Zur Quantenmechanik". Zeitschrift fur Physik . 34 (1): 858?888. Bibcode: 1925ZPhy...34..858B . (received 27 September 1925). [English translation in: van der Waerden 1968, "On Quantum Mechanics" ]]
  46. Born, M.; Heisenberg, W.; Jordan, P. (1925). "Zur Quantenmechanik II". Zeitschrift fur Physik . 35 (8?9): 557?615. 615. Bibcode: 1926ZPhy...35..557B . The paper was received on 16 November 1925. [English translation in: van der Waerden 1968, 15 "On Quantum Mechanics II"
  47. Jammer, Max (1966) The Conceptual Development of Quantum Mechanics . McGraw-Hill. pp. 206?207.
  48. Bernstein 2004 , p. 1004
  49. Greenspan, Nancy Thorndike (2005). The End of the Certain World: The Life and Science of Max Born . Basic Books. p. 190.
  50.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32 Archived 16 July 2008 at the Wayback Machine. Nobelprize.org.
  51. Nobel Prize in Physics and 1933 Archived 15 July 2008 at the Wayback Machine ? Nobel Prize Presentation Speech.
  52. Smolin, Lee (9 April 2019). Einstein's unfinished revolution: the search for what lies beyond the quantum . London. pp. 92?93.
  53. Heisenberg, Werner (1958). The Physicist's Conception of Nature . Harcourt, Brace. pp. 15, 28?29.
  54. Heisenberg 1932a , 1932b , Heisenberg 1933 , as cited by Mott & Peierls 1977 , p. 244
  55. Mott & Peierls 1977 , p. 228
  56. "Heisenberg ? The Difficult Years: Professor in Leipzig, 1927?1942" Archived 2008年 9月 15日 - 웨이백 머신 .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57. Beyerchen 1977 , pp. 79?102
  58. Beyerchen 1977 , pp. 103?140
  59. Beyerchen 1977 , pp. 141?167
  60. Holton, Gerald (12 January 2007). "Werner Heisenberg and Albert Einstein". Physics Today . 53 (7): 38?42. Bibcode: 2000PhT....53g..38H .
  61. Macrakis 1993 , p. 172
  62. Hentschel & Hentschel 1996, pp. 152?157 Document #55 'White Jews' in Science (15 July 1937)
  63. [ https://ko.wikipedia.org/wiki/베르너_하이젠베르크#參考_文獻 Goudsmit 1986, pp. 117?119
  64. Beyerchen 1977 , pp. 153?16
  65. Cassidy 1992 , pp. 383?387
  66. Powers 1993 , pp. 40?43
  67. Hentschel & Hentschel 1996, pp. 152?157 Document #55 White Jews' in Science (15 July 1937) pp. 175?176 Document #63 Heinrich Himmler: Letter to Reinhard Heydrich [21 July 1938 ] pp. 176?177 Document #64 Heinrich Himmler: Letter to Werner Heisenberg [21 July 1938 ] pp. 261?266 Document #85 Ludwig Prandtl: Attachment to the letter to Reich Marschal (sic) Hermann Goring [28 April 1941] pp. 290?292 Document #93 Carl Ramsauer : The Munich Conciliation and Pacification Attempt [20 January 1942]
  68. Cassidy 1992 , pp. 390?391 Please note that Cassidy uses the alias Mathias Jules for Johannes Juilfs.
  69. Heisenberg 1936a , Heisenberg 1936b , as cited by Mott & Peierls 1977 , p. 244
  70. Heisenberg, W. (1937). "Der Durchgang sehr energiereicher Korpuskeln durch den Atomkern". Die Naturwissenschaften . 25 (46): 749?750. Bibcode: 1937NW.....25..749H , as cited by Mott & Peierls 1977 , p. 244
  71. Heisenberg, W. (1937) Theoretische Untersuchungen zur Ultrastrahlung, Verh. Dtsch. Phys. Ges. Volume 18, 50, as cited by Mott & Peierls 1977 , p. 244
  72. Heisenberg, W. (1938). "Die Absorption der durchdringenden Komponente der Hohenstrahlung". Annalen der Physik . 425 (7): 594?599. Bibcode: 1938AnP...425..594H . as cited by Mott & Peierls 1977 , p. 244
  73. Heisenberg, W. (1938) Der Durchgang sehr energiereicher Korpuskeln durch den Atomkern, Nuovo Cimento Volume 15, 31?34; Verh. Dtsch. Phys. Ges . Volume 19, 2, as cited by Mott & Peierls 1977 , p. 244
  74. Cassidy 1992 , p. 231
  75. Hahn, O.; Strassmann, F. (1939). "Uber den Nachweis und das Verhalten der bei der Bestrahlung des Urans mittels Neutronen entstehenden Erdalkalimetalle" [On the det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alkaline earth metals formed by irradiation of uranium with neutrons]. Naturwissenschaften . 27 (1): 11?15. Bibcode:[ https://ui.adsabs.harvard.edu/abs/1939NW.....27...11H 1939NW.....27...11H]. The authors were identified as being at the Kaiser-Wilhelm-Institut fur Chemie, Berlin-Dahlem.
  76. Sime, Ruth Lewin (March 1990). "Lise Meitner's Escape from Germany". American Journal of Physics . 58 (3): 263?267. Bibcode: 1990AmJPh..58..262S .
  77. Meitner, Lise (11 February 1939). "Disintegration of Uranium by Neutrons: a New Type of Nuclear Reaction". Nature . 143 (3615): 239?240. Bibcode: 1939Natur.143..239M . The paper is dated 16 January 1939. Meitner is identified as being at the Physical Institute, Academy of Sciences, Stockholm. Frisch is identified as being at the Institute of Theoretical Physics, University of Copenhagen.
  78. Frisch, O.R. (18 February 1939). "Physical Evidence for the Division of Heavy Nuclei under Neutron Bombardment" . Nature . 143 (3616): 276. [The experiment for this letter to the editor was conducted on 13 January 1939; see Richard Rhodes The Making of the Atomic Bomb 263 and 268 (Simon and Schuster, 1986).]
  79. Hentschel & Hentschel 1996 , p. 387
  80. Goudsmit 1986 , p. picture facing p. 124
  81. Mehra, Jagdish; Rechenberg, Helmut (2001). Volume 6. The Completion of Quantum Mechanics 1926?1941. Part 2. The Conceptual Completion and Extension of Quantum Mechanics 1932?1941. Epilogue: Aspects of the Further Development of Quantum Theory 1942?1999 .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Quantum Theory. Springer. pp. 1010?1011.
  82. Macrakis 1993 , pp. 164?169
  83. Hentschel & Hentschel 1996 , pp. 363?364, Appendix F, see the entries for Diebner and Dopel. See also the entry for the KWIP in Appendix A and the entry for the HWA in Appendix B.
  84. Walker 1993 , pp. 19, 94?95
  85. American Institute for Physics, Center for History of Physics Archived 2008年 9月 17日 - 웨이백 머신 Archived 17 September 2008
  86. Macrakis 1993 , p. 244
  87. Macrakis 1993 , p. 171
  88. Albert Speer, Inside the Third Reich , Macmillan, 1970, pp. 225ff.
  89. Prof. Werner Carl Heisenberg (I662) Archived 15 June 2008 at the Wayback Machine. Stanford.edu
  90. Hentschel & Hentschel 1996 ; see the entry for the KWIP in Appendix A and the entries for the HWA and the RFR in Appendix B. Also see p. 372 and footnote #50 on p. 372.
  91. Walker 1993 , pp. 49?53
  92. Walker 1993 , pp. 52, Reference #40 on p. 262
  93. Heisenberg, W. (1943). "Die beobachtbaren Grossen in der Theorie der Elementarteilchen. I". Z. Phys . 120 (7?10): 513?538. Bibcode: 1943ZPhy..120..513H . as cited in Mott & Peierls 1977 , p. 245
  94. Heisenberg, W. (1943). "Die beobachtbaren Grossen in der Theorie der Elementarteilchen. II". Z. Phys . 120 (11?12): 673?702. Bibcode: 1943ZPhy..120..673H . as cited in Mott & Peierls 1977 , p. 245
  95. Heisenberg, W. (1944). "Die beobachtbaren Grossen in der Theorie der Elementarteilchen. III". Z. Phys . 123 (1?2): 93?112. Bibcode: 1944ZPhy..123...93H . as cited in Mott & Peierls 1977 , p. 245
  96. Bernstein 2004 , pp. 300?304
  97. Tobey, William (January?February 2012), "Nuclear scientists as assassination targets" , Bulletin of the Atomic Scientists , 68 (1): 63?64, citing Thomas Powers 1993 book "Heisenberg's War".
  98. Goudsmit 1986 , p. x
  99. Pash, Boris T. (1969) The Alsos Mission . Award. pp. 219?241
  100. Cassidy 1992 , pp. 491?500
  101. Naimark, Norman M. (1995) The Russians in Germany: A History of the Soviet Zone of Occupation , 1945?1949. Belkanp. pp. 208?209.
  102. Bernstein 2001 , pp. 49?52
  103. Mahoney, Leo J. (1981). A History of the War Department Scientific Intelligence Mission (ALSOS), 1943?1945 (Ph.D. thesis). Kent State University. p. 298. OCLC 223804966
  104. Goudsmit 1986 , pp. 77?84
  105. Groves, Leslie (1962). Now it Can be Told: The Story of the Manhattan Project . New York: Harper & Row. pp. 231 .
  106. Cassidy 1992 , pp. 491?510
  107. Bernstein 2001 , p. 60
  108. Walker 1993 , pp. 268?274, Reference #40 on p. 262
  109. [ https://ko.wikipedia.org/wiki/베르너_하이젠베르크#參考_文獻 Bernstein 2001, pp. 50, 363?365
  110. Franck, Charles (1993) Operation Epsilon: The Farm Hall Transcripts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11. [ https://ko.wikipedia.org/wiki/베르너_하이젠베르크#參考_文獻 Bernstein 2001, pp. xvii?xix
  112. Macrakis 1993 , p. 143
  113. Bernstein, Jeremy (1996). Hitler's Uranium Club . Woodbury NY: AIP Press. p. 139.
  114. Sartori, Leo. "Reviews" . American Physical Socie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September 2015.
  115. " Transcript of Surreptitiously Taped Conversations among German Nuclear Physicists at Farm Hall (August 6?7, 1945) " (PDF).
  116. Macrakis 1993 , p. 144
  117. Bernstein 2004 , p. 326
  118. Gerd W. Buschhorn; Julius Wess, eds. (2012). Fundamental Physics ? Heisenberg and Beyond: Werner Heisenberg Centennial Symposium "Developments in Modern Physics" .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p. 18.
  119. Gerd W. Buschhorn; Julius Wess, eds. (2012). Fundamental Physics ? Heisenberg and Beyond: Werner Heisenberg Centennial Symposium "Developments in Modern Physics" .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p. 21.
  120. Gerd W. Buschhorn; Julius Wess, eds. (2012). Fundamental Physics ? Heisenberg and Beyond: Werner Heisenberg Centennial Symposium "Developments in Modern Physics" .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p. 22.
  121. Walker 1993 , pp. 184?185
  122. Oleynikov, Pavel V. (2000). "German Scientists in the Soviet Atomic Project" (PDF). The Nonproliferation Review . 7 (2): 1?30 [14].
  123. Werner Heisenberg (1947). "Zur Theorie der Supraleitung" . Forsch. Fortschr. 21/23: 243?244.; Heisenberg, W. (1947). "Zur Theorie der Supraleitung". Z. Naturforsch . 2a (4): 185?201. cited in Mott & Peierls 1977 , p. 245
  124. Heisenberg, W. (1948). "Das elektrodynamische Verhalten der Supraleiter" . Z. Naturforsch . 3a (2): 65?75. cited in Mott & Peierls 1977 , p. 245
  125. Heisenberg, W.; M.V. Laue (1948). "Das Barlowsche Rad aus supraleitendem Material". Z. Phys . 124 (7?12): 514?518. Bibcode: 1948ZPhy..124..514H . cited in Mott & Peierls 1977 , p. 245
  126. Mott & Peierls 1977 , pp. 238?239
  127. Heisenberg, W. (1948). "Zur statistischen Theorie der Tubulenz". Z. Phys . 124 (7?12): 628?657. Bibcode: 1948ZPhy..124..628H . as cited in Mott & Peierls 1977 , p. 245
  128. Heisenberg, W. (1948). "On the theory of statistical and isotropic turbulence" .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A. 195 (1042): 402?406. as cited in Mott & Peierls 1977 , p. 245
  129. Heisenberg, W. (1948). "Bemerkungen um Turbulenzproblem". Z. Naturforsch . 3a (8?11): 434?437. Bibcode: 1948ZNatA...3..434H . as cited in Mott & Peierls 1977 , p. 245
  130. Heisenberg, w. (1950). "On the stability of laminar flow". Proc. International Congress Mathematicians . II: 292?296., as cited in Mott & Peierls 1977 , p. 245
  131. Heisenberg, W. (1949). "Production of mesons showers". Nature . 164 (4158): 65?67. Bibcode: 1949Natur.164...65H . as cited in Mott & Peierls 1977 , p. 245
  132. Heisenberg, W. (1949). "Die Erzeugung von Mesonen in Vielfachprozessen". Nuovo Cimento . 6 (Suppl): 493?497. Bibcode: 1949NCim....6S.493H . as cited in Mott & Peierls 1977 , p. 245
  133. Heisenberg, W. (1949). "Uber die Entstehung von Mesonen in Vielfachprozessen". Z. Phys . 126 (6): 569?582. Bibcode: 1949ZPhy..126..569H . as cited in Mott & Peierls 1977 , p. 245
  134. Heisenberg, W. (1952). "Bermerkungen zur Theorie der Vielfacherzeugung von Mesonen". Die Naturwissenschaften . 39 (3): 69. Bibcode: 1952NW.....39...69H . as cited in Mott & Peierls 1977 , p. 246
  135. Heisenberg, W. (1952). "Mesonenerzeugung als Stosswellenproblem". Z. Phys . 133 (1?2): 65?79. Bibcode: 1952ZPhy..133...65H . as cited in Mott & Peierls 1977 , p. 246
  136. Heisenberg, W. (1955). "The production of mesons in very high energy collisions". Nuovo Cimento . 12 (Suppl): 96?103. Bibcode: 1955NCim....2S..96H . as cited in Mott & Peierls 1977 , p. 246
  137. Mott & Peierls 1977 , p. 239
  138. Cassidy 2009 , p. 262
  139. Horst Kant Werner Heisenberg and the German Uranium Project / Otto Hahn and the Declarations of Mainau and Gottingen , Preprint 203 (Max-Planck Institut fur Wissenschaftsgeschichte, 2002 .
  140. [ https://ko.wikipedia.org/wiki/베르너_하이젠베르크#參考_文獻 arson 2010, p. 329
  141. [ https://ko.wikipedia.org/wiki/베르너_하이젠베르크#參考_文獻 arson 2010, p. 334
  142. Carson 2010 , pp. 335?336
  143. [ https://ko.wikipedia.org/wiki/베르너_하이젠베르크#參考_文獻 Carson 2010, p. 339
  144. Donhoff, Marion (2 March 1962). "Lobbyisten der Vernunft" [Lobbyists of reason]. Die Zeit (in German).
  145. Heisenberg, Werner (1975). "Development of concepts in the history of quantum theory". American Journal of Physics . 43 (5): 389?394. Bibcode: 1975AmJPh..43..389H .
  146. Heizenberg, W. (1974). "Ch. 16 "Scientific and Religious Truth"". Across the Frontiers . Harper & Row. pp. 213?229.
  147. Capra, Fritjof (11 January 1989). Uncommon wisdom : conversations with remarkable people . Toronto; New York : Bantam Books.
  148. "Interview with Werner Heisenberg ? F. David Peat" . www.fdavidpeat.com
  149. Moore, Lance (2019). A God Beyond Belief: Reclaiming Faith in a Quantum Age . John Hunt Publishing, UK
  150. Marganau, Henry (1985). "Why am I a Christian". Truth Journal , Vol. I
  151. Holton, Gerald (2005). Victory and Vexation in Science: Einstein, Bohr, Heisenberg and Others . Harvard University Press, London. p. 32.
  152. Pais, Abraham (October 1979). "Einstein and the quantum theory" (PDF). Reviews of Modern Physics . 51 (4): 863?914.
  153. Human Interaction with the Divine, the Sacred, and the Deceased: Psychological, Scientific, and Theological Perspectives . Taylor & Francis. 2021.
  154. Heisenberg, Werner (8 May 2007). Physics and Philosophy: The Revolution in Modern Science ? Werner Heisenberg .
  155. Werner Heisenberg (1970) "Erste Gesprache uber das Verhaltnis von Naturwissenschaft und Religion" in ed. Werner Trutwin, "Religion-Wissenschaft-Weltbild" Duesseldorf: Patmos Verlag, 23?31페이지
  156. [ https://ko.wikipedia.org/wiki/베르너_하이젠베르크#參考_文獻 Cassidy 2009, p. 372
  157. [ https://ko.wikipedia.org/wiki/베르너_하이젠베르크#參考_文獻 Carson 2010, p. 145
  158. [ https://ko.wikipedia.org/wiki/베르너_하이젠베르크#參考_文獻 Carson 2010, p. 147
  159. [ https://ko.wikipedia.org/wiki/베르너_하이젠베르크#參考_文獻 Carson 2010, pp. 145?146
  160. [ https://ko.wikipedia.org/wiki/베르너_하이젠베르크#參考_文獻 Carson 2010, p. 148
  161. [ https://ko.wikipedia.org/wiki/베르너_하이젠베르크#參考_文獻 Cassidy 2009, pp. 262, 545
  162. [ https://ko.wikipedia.org/wiki/베르너_하이젠베르크#參考_文獻 Cassidy 2009, p. 545
  163. Gerd W. Buschhorn; Julius Wess, eds. (2012). Fundamental Physics ? Heisenberg and Beyond: Werner Heisenberg Centennial Symposium "Developments in Modern Physics" .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p. 16.
  164. "APS Member History" . search.amphilsoc.org. Retrieved 23 May 2023.
  165. "Werner Karl Heisenberg" . American Academy of Arts & Sciences . 9 February 2023.
  166. "W.K. Heisenberg (1901?1976)" . Royal Netherlands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167. "Werner Heisenberg". www.nasonline.org . Retrieved 23 May 2023.
  168. Hentschel & Hentschel 1996 , Appendix E; see the entry for Kernphysikalische Forschungsberichte.
  169. Walker 1993 , pp. 268?274
  170. 프來派라트(Praparat) 38 우라늄 酸化物의 標識 이름이었다; Deutsches Museum 參照

參考 文獻 [ 編輯 ]

  • Bernstein, Jeremy (2001). Hitler's Uranium Club: The Secret Recordings at Farm Hall . Copernicus.
  • Bernstein, Jeremy (March 2004). "Heisenberg in Poland". Am. J. Phys. 72 (3): 300?304. ? See also Gottstein, Klaus (2004). "Comment on 'Heisenberg in Poland' by Jeremy Bernstein [Am. J. Phys. 72 (3), 300?304 (2004) "] (PDF). LETTER TO THE EDITOR. Am. J. Phys. 72 (9): 1143?1145.
  • Beyerchen, Alan D. (1977). Scientists Under Hitler: Politics and the Physics Community in the Third Reich . Yale.
  • Carson, Cathryn (2010). Heisenberg in the Atomic Age: Science and the Public Spher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Cassidy, David C. (1992). Uncertainty: The Life and Science of Werner Heisenberg . Freeman.
  • Cassidy, David C. (1992a). "Heisenberg, German Science, and the Third Reich". Social Research. 59 (3): 643?661.
  • Cassidy, David C. (2009). Beyond Uncertainty: Heisenberg, Quantum Physics, and the Bomb . Bellevue Literary Press.
  • Goudsmit, Samuel A. (1986). Alsos . Tomash Publishers.
  • Heisenberg, W. (1927). "Uber den anschaulichen Inhalt der quantentheoretischen Kinematik und Mechanik". Z. Phys. 43 (3?4): 172?198.
  • Heisenberg, W. (1928). "Zur Theorie des Ferromagnetismus". Z. Phys. 49 (9?10): 619?636.
  • Heisenberg, W.; Pauli, W. (1929). "Zur Quantendynamik der Wellenfelder". Z. Phys. 56 (1):
  • Heisenberg, W.; Pauli, W. (1930). "Zur Quantentheorie der Wellenfelder. II". Z. Phys. 59 (3?4): 168?190.
  • Heisenberg, W. (1932a). "Uber den Bau der Atomkerne. I". Z. Phys. 77 (1?2): 1?11.
  • Heisenberg, W. (1932b). "Uber den Bau der Atomkerne. II". Z. Phys. 78 (3?4): 156?164.
  • Heisenberg, W. (1933). "Uber den Bau der Atomkerne. III". Z. Phys. 80 (9?10): 587?596.
  • Heisenberg, W. (1934). "Bemerkungen zur Diracschen Theorie des Positrons". Zeitschrift fur Physik. 90 (3?4): 209?231.
  • Heisenberg, W. (1936a). "Uber die 'Schauer' in der Kosmischen Strahlung". Forsch. Fortscher. 12: 341?342.
  • Heisenberg, W. (1936b). "Zur Theorie der 'Schauer' in der Hohenstrahlung". Z. Phys. 101 (9?10): 533?540.
  • Heisenberg, W.; Euler, H. (1936). "Folgerungen aus der Diracschen Theorie des Positrons". Z. Phys. 98 (11?12): 714?732.
  • Hentschel, Klaus; Hentschel, Ann M., eds. (1996). Physics and National Socialism: An Anthology of Primary Sources . Birkhauser.
  • Macrakis, Kristie (1993). Surviving the Swastika: Scientific Research in Nazi Germany . Oxford University Press.
  • Mott, N.; Peierls, R. (November 1977). "Werner Heisenberg". Biographical Memoirs of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23: 213?251.
  • Powers, Thomas (1993). Heisenberg's War: The Secret History of the German Bomb . Knopf. van der Waerden, B.L., ed. (1968). Sources of Quantum Mechanics. Dover.
  • Walker, Mark (1993). German National Socialism and the Quest for Nuclear Power 1939?1949 . Cambridge.

外部 링크 [ 編輯 ]

追加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