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요한 1歲 요제프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요한 1歲 요제프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요한 1歲 요제프
Johann Josef I von Liechtenstein
요한 1세 요제프의 초상화
요한 1歲 요제프의 肖像畫
리히텐슈타인 侯爵
在位 1805年 3月 24日-1836年 4月 20日
卽位式 1805年 3月 24日
前任 알로이스 1歲
後任 알로이스 2歲
이름
요한 밥티스트 요제프 아담 요한 네抛무크 알로이스 프란츠 데 파울라
Johann Baptist Josef Adam Johann Nepomuk Aloys Franz de Paula
身上情報
出生日 1760年 6月 26日
出生地 神聖 로마 帝國 오스트리아 大公國
死亡日 1836年 4月 20日 ( 1836-04-20 ) (75歲)
死亡地 오스트리아 帝國
家門 리히텐슈타인街
父親 프란츠 요제프 1歲 폰 리히텐슈타인
母親 레오폴디네 폰 스테른베르크
配偶者 要제파 餘伯爵 폰 퓌르스텐베르크베이트라
子女 알로이스 2歲 , 프란츠 데 파울라 , 에두아르트 카를
墓所 보헤미아 王國 브르노

요한 1歲 요제프 ( 獨逸語 : Johann Josef I , 1760年 6月 26日 ~ 1836年 4月 20日)는 리히텐슈타인 을 統治한 리히텐슈타인 侯爵 (在位: 1805年 3月 24日 ~ 1836年 4月 20日)이다. 그가 처음 리히텐슈타인을 統治했던 1805年부터 1806年까지 리히텐슈타인은 마지막으로 神聖 로마 帝國 의 間接 統治를 받았다. 그는 리히텐슈타인 侯爵 프란츠 요제프 1歲의 넷째 아들이었다.

初期 經歷 [ 編輯 ]

요한 1世는 22살의 나이에 軍隊에 入隊하기로 決定했고, 胸甲騎兵 連帶에서 中尉로 일하게 되었다. 第8次 오스트리아-튀르크 戰爭 에서 그는 少領 , 中領 , 大領 으로 연이어 昇進했다. 그는 1790年 훌륭한 騎兵將校라는 名聲을 얻었고, 이를 통해 그는 마리아 테레지아 勳章을 받았다.

프랑스 革命 戰爭 [ 編輯 ]

프랑스 革命 戰爭 當時 그는 1793年 9月 12日 아브네레제크 戰鬪 에 參戰했다, 이 戰鬪에서 프랑스 共和黨 軍隊 4,663名 中 2,000名의 死傷者가 發生했는데 聯合軍은 69名만 死亡했다. 또한 오스트리아軍은 2,000名의 共和黨 軍隊를 捕虜로 잡고, 20門의 脯를 鹵獲했다. [1] [2] 그는 革命 戰爭의 다른 戰鬪에도 參戰했다. 1794年 6月 그는 所長 으로 進級한 直後 플레우루스 戰鬪 에 參戰했다. 그는 1796年 9月 3日 뷔르츠부르크 戰鬪 에서 氣步兵 混合旅團을 指揮했다. [3] 뷔르츠부르크 戰鬪가 勝利로 끝난 後 그는 마리아 테레지아 指揮者 十字長을 받았다.

第2次 大프랑스 同盟 때 요한은 트레비亞綱 戰鬪 에서 오스트리아 豫備軍을 指揮했다. [4] 1799年 8月 그는 中將 으로 進級했고, 11月부터 12月까지 쿠에노 包圍戰에서 8,000名의 軍士를 이끌었는데 이 包圍戰을 勝利로 이끌었다. [5] 1800年 12月 3日, 그는 5,109名으로 이루어진 起兵師團을 이끌고 好엔린덴 戰鬪 에 參與했다. [6]

나폴레옹 戰爭 [ 編輯 ]

나폴레옹 戰爭 當時 요한은 여러 戰鬪에 參戰해 名聲을 얻었다. 아우스터리츠 戰鬪 에서 그는 4,600名의 騎兵을 指揮했다. [7] 그의 軍隊는 잘 싸웠으나 러시아-오스트리아 聯合軍을 求할 수는 없었다. 以後 그는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와 協商을 벌여 프레스부르크 和議를 이끌어냈다. 1808年 그는 騎兵將軍으로 進級했다.

第5次 大프랑스 同盟 當時 그는 카를 폰 외스터라이히테셴 工作 麾下의 第1豫備軍段을 指揮했다. [8] 그는 騎兵과 擲彈兵을 이끌고 1809年 4月 22日 에크뮐 戰鬪 에 參戰했고, 5月 21日부터 5月 22日에는 아스페른-에셀링 戰鬪 에, 7月 5日부터 7月 6日까지는 바그람 戰鬪 에 參戰했다. 그는 카를 大公이 辭任한 以後 오스트리아 帝國의 陸軍 司令官이 되었고 1809年 年末까지 이 職位를 維持했다. 1809年 9月 프란츠 2歲 는 그를 陸軍怨讐 로 進級시켰다. 그는 쇤브룬 條約을 締結했지만, 이는 나폴레옹에게 유리하고 오스트리아 帝國에 不利한 內容이었다. 이로 因해 요한은 政治的 手腕이 不足하다는 批評을 얻었고, 그는 批判을 避하기 위해 1810年 軍에서 辭任했다.

主權國 [ 編輯 ]

리히텐슈타인 侯爵으로써 요한은 先進的인 改革을 追求했으나 啓蒙專制主義 式의 政府 形態를 願하기도 했다. 1818年 그는 本質을 制限했지만 憲法을 歡迎했다. 그는 그의 行政府를 急激하게 再組織했고 農業 森林業 을 擴張했다. 그는 資産을 얻기 위해 近代的인 不動産을 얻고자 努力하기도 했다. 그는 藝術에도 關心을 보여 大英帝國 모델의 公園을 鳥瞰하고자 했고, 非에데메이에 公園을 만들기도 했다.

1806年 나폴레옹은 리히텐슈타인을 라인 同盟 에 合倂했고, 主權國으로 독립시켰다. 빈 會議 에서 리히텐슈타인의 主權은 認定되었다. 1815年 리히텐슈타인은 獨逸 聯邦 의 會員國이었다. 獨逸 聯邦 亦是 리히텐슈타인의 主權을 承認했다. 1836年 빈에서 死亡했다.

後孫 [ 編輯 ]

膝下에 7男 7女를 두었다. 長男 알로이스 2歲의 家系는 斷絶되었고, 次男 프란츠 데 파울라 와 오남 에두아르트 카를의 家計가 現在까지 이어지며, 現 리히텐슈타인 後作家 直系는 次男 프란츠 데 파울라의 後孫이다.

各州 [ 編輯 ]

  1. Smith, p 54-55.
  2. Phipps, Ramsey Weston (1926), The Armies of the First French Republic and the Rise of the Marshals of Napoleon I,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Vol 1 p.243
  3. Smith, p 122
  4. Smith, p 160
  5. Smith, p 174
  6. Arnold, p 276
  7. Chandler, p 420
  8. Bowden & Tarbox, p 71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