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요한의 默示錄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요한의 默示錄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요한묵시록 에서 넘어옴)

요한계시록/요한의 默示錄 ( 그리스어 : ?ποκ?λυψι? ?πο , 라틴語 : Apocalypsis Beati Joannes Apostoli , 英語 : Book of Revelation , 改新敎 : 요한계시록(―啓示錄, 界), 가톨릭 : 요한 默示錄(―默示錄, 默示)는 新約聖經 의 마지막 冊으로, 唯一한 豫言書다. 啓示錄 으로 줄여 부르기도 한다.

요한 默示錄은 基督敎 에서 聖經 가운데 解釋이 어려운 冊이다. 같은 本文의 解釋이 觀點에 따라 다양한 解釋으로 可能하기도 하다. 그러나 基督敎會의 觀點에서 요한계시록은 그리스도가 敎會와 그 안의 聖徒들이 惡의 勢力이 잡은 世上을 이기게 하고, 그 惡한 勢力을 審判하고 새로운 世上을 연다는 希望을 담은 말씀이다. 그리고 福音을 위해 迫害받거나 苦痛당하는 이들에게 올바른 뜻과 公義를 위해 선한 싸움을 持續하라는 勇氣를 주는 말씀 [1] 人 "敎會中心 觀點에서 戰勝史 解釋方法"으로 理解한다.

著者 [ 編輯 ]

敎會 傳統으로 요한계시록의 著者는 열 두 四都中의 한 名인 使徒 요한 이 流配中에 作成한 文獻이라고 하나, 3世紀 交付인 디오니시우스부터 使徒 요한과 關聯이 없는 요한이 作成한 것으로 意見이 提起되었다. 著者는 에게 海의 파트모스섬 에서 執筆한 것으로 記錄되었으나, 이것이 流配 生活을 하다가 요한계시록을 執筆하였는지, 또는 하나님의 啓示를 받기 위해 파트모스섬으로 왔는지는 알 수 없다. 現在 聖書神學系의 主流는 巡廻宣敎社, 當時는 巡廻 豫言者로 불리었던 요한이 作成한 것으로 본다. 文獻을 分析한 結果, 그는 古代 그리스어인 헬라語에 能通했으며, 母國語는 헬라語가 아닌 아람어로 推測되며, 유대人으로 舊約聖書의 傳統과 文獻을 充分히 理解하고 읽고 가르쳤던 人物임을 알 수 있다.

執筆時機 [ 編輯 ]

執筆 時期가 確實히 記錄되지 않았으나 現在 聖書神學界는 90年代를 記錄 時期로 본다. 過去에는 啓示錄의 連帶를 60年에서 70年 時期, 네로 皇帝의 基督敎 迫害와 유대獨立戰爭 鎭壓으로 예루살렘 滅亡을 先行하는 時代인 紀元後 65年 ~ 75年 으로 보기도 했으며, 現在 硏究는 90年代, "로마 帝國 皇帝를 神으로 섬겨야 한다"고 宣布하여 帝國을 皇帝崇拜信仰으로 統一하고자 한 도미티아누스 皇帝의 治世 도중인 紀元後 91年 ~ 96年 사이에 執筆된 것으로 보고 있다. 왜냐하면 啓示錄이 앞으로 到來할 그리스도 의 國家와 로마 帝國 皇帝의 神聖冒瀆的人 王國 사이의 敵對的인 關係를 强調하고 있기 때문이다. 現在 聖書神學系의 主流 意見은 도미티아누스 時代의 文獻으로 로마皇帝의 偶像化를 强調하면서 이에 反對하는 勢力을 億合하던 時代, 하지만 全國的인 趨勢였으나 抑壓 程度에 地域的 偏差가 있었던 時代로 볼 수 있다.

解釋 方法 [ 編輯 ]

요한계시록의 解釋 方法은 敎會와 世上의 對立이란 角度에서 볼 때 두 가지 視角을 지닌다. 世界中心 觀點 敎會中心 觀點 의 解釋이다. [2]

世界中心 觀點 은 흔히 靈的 解釋이라고 불리며, 요한계시록 文獻의 內容이 世界史에 對한 直接的인 豫言이며, 그 豫言의 記錄은 實際 歷史的 背景을 全혀 갖지 않는 啓示이며, 앞으로 일어날 事件에 對한 未來의 災殃과 末世를 描寫한 것으로 理解하는 解釋 觀點이다.

敎會中心 觀點 은 敎會와 世上의 關係를 說明하는 것이며, 實際的 歷史 背景을 지니거나, 敎會史的 背景을 지니며, 敎會史에서 敎會와 世上의 關係가 어떻게 이뤄지며, 이 關係에 對한 基督敎의 應答을 表現한 豫言으로 理解하는 觀點이다.

이 두 觀點은 摩擦을 빚기도 했으며, 傳統的으로 基督敎內 神學 硏究에서 올바른 解釋 方法의 觀點은 敎會中心 觀點 이다. [3]

敎會中心 觀點은 交付인 아우구스티누스에서 루터, 칼뱅, 웨슬리에 이르는 神學흐름에서도 보이며, 現在까지도 重要한 聖書 神學 解釋 方法의 背景이다. 하지만 이 敎會中心的 解釋도 크게 主流와 非主流, 두 個의 支流로 分類된다.

主流인 戰勝私的 解釋 은 敎會가 處한 狀況과 敎會史에서 나타난 事件과 歷史的 背景으로 登場한 文獻으로 요한默示錄을 解釋하며, 聖書의 歷史와 背景, 傳統으로 解釋하는 解釋 方法이다.

이에 反해 非主流인 世代主義的 解釋 은 默示錄의 象徵을 따라 特定 時代를 區分하고 아직 오지 않은 未來를 世代別로 區分하는, 未來 時間表를 作成하는 式으로서의 解釋方法이다.

敎會中心 觀點에서 正統的인 올바른 解釋은 戰勝私的 解釋 方法이다. [4]

正統的인 올바른 요한 默示錄의 解釋은 "敎會中心 觀點에서 戰勝史 解釋方法"으로 卽 敎會 안에서 歷史的 事件을 바탕으로 聖書의 歷史的 背景과 舊約과 新約의 關係를 살피고, 執筆 時期에 影響을 끼친 背景은 무엇이며 그 背景을 위해 作成한 著者의 意圖는 무엇인지를 밝히고 現在의 意味를 밝히는 方法으로 現在는 歷史批評的 視角을 受容하였다. 少數의 主張이었던 世界中心的 解釋 觀點과 世代主義的 解釋은 過去에 肯定的으로 카리스마的 解釋方法으로 活用되기도 했지만, 現在는 否定的으로 基督敎를 憑藉한 似而非 宗敎 團體들과 基督敎 二段 團體들이 自身들의 主張을 펴는 잘못된 解釋 方法으로 誤用하여 活用한다.

하지만 敎會中心 觀點은 安息日敎會와 그 安息日敎會에서 나온 여러 集團들과 다락房과 救援派와 같은 團體들도 펴는 것이며 그리고 敎會中心 觀點은 요한계시록은 에베소서와 달리 敎會에 對한 이야기가 아니다. 例를 들어서 빌립보서 4張에 나오는 生命冊이 어떤 것인지 요한계시록 3張과 요한계시록 20張에 具體的으로 보여주며 地獄은 요한계시록 21張 8節에 어떻게 또 다시 나타나는가를 보여준다는 것에서 끝나면 되는 것이다. 卽 只今 時代에 요한계시록은 이 程度만 敎理的으로 適用할 수 있다는 것에서 끝나고 東方에 적그리스도에 對한 이야기나 나머지 144000名같은 것은 유대人과 救援받지 못한 世上 사람들과 잘못된 믿음을 가진 敎人들에 對한 이야기에 焦點을 맞추면 된다. 이런 溫乾한 世代主義的 解釋이 옳으며 잘못된 世代主義의 境遇는 "요한계시록 2~3章은 只今 써먹을 것이 아니다." "데살로니가후서 1張 8~9節이 地獄 이야기지, 요한계시록 21張 8節에 地獄 이야기는 只今 時代에 써먹을 것이 아니다."라는 主張이다. 使徒行傳과 마찬가지로 異邦人, 유대人, 敎會 모두가 나오기 때문에 어려운 冊中에 하나이지만 新約聖經 中에서 높은 難易度를 자랑하는 그리스도의 十字架 事件이 나오는 마태복음이나 스테판의 殉敎와 바울의 迫害가 나온 使徒行傳과 달리 좋은 結末을 이야기한 冊이다.

한便 요한이 예수 그리스도에게 幻想을 받아 記錄한 것이기에 사람이 自身의 생각대로 解釋해서는 안된다는 見解도 存在한다. 하나님이 直接 記錄 된 內容의 뜻을 누군가에게 알려주고, 그 사람이 누군가에게 傳하는 方法 밖에는 眞正한 뜻을 알 길이 없다는 것이 이러한 見解의 核心이다.

救助 [ 編輯 ]

內容은 크게 두 部分으로 나뉜다.

第1部는 豫言者的 氣質을 取하고 있으니, 若干의 序言이 있은 後에 예수님 小아시아 의 일곱 敎會들에게 보낸 便紙들(1,9-3,22)로 나타나고 제2부는 嚴格하게 啓示錄 形式(4,1-22,5)을 取하고 있다. 第2部는 또 다음의 啓示的 主題別(最後의 審判, 아마겟돈 , 사탄 의 敗北, 새 하늘과 새 땅에 對한 幻想)로 나누어 볼 수 있다.

內容 [ 編輯 ]

일곱 喇叭 의 審判
  1. 머릿말 (1,1-3)
  2. 人事 (1,4-8)
  3. 일곱 敎會들에게 보내는 便紙 (1,9-3,22)
    1. 序論 (1,9-20)
    2. 에페소스 敎會 (2,1-7)
    3. 스미르나 敎會 (迫害를 받으면서도 信仰을 지킨 敎會) (2,8-11)
    4. 페르가몬 敎會 (2,12-17)
    5. 티아티라 敎會 (2,18-29)
    6. 사르디스 敎會 (3,1-6)
    7. 필라델피아 敎會 (3,7-13)
    8. 라오디케이아 敎會 (迫害로 因해 信仰이 形式的으로 變質된 敎會) (3,14-22)
  4. 幻想 (4,1-21)
    1. 天上의 禮拜 (4,1-11)
    2. 일곱 封印의 審判 (5,1-8,5)
    3. 各 支派 12000씩 144000과 흰무리 創造 (7)
    4. 일곱 喇叭 의 審判 (8,6-11,19)
    5. 女子와 龍, 두 짐승 (12,1-13 ("짐승의 數"라고 하는 666 이 13張에 나온다.),18)
    6. 어린 羊과 144000 (14,1-5)
    7. 審判의 豫告 (14,6-13)
    8. 審判과 救援의 秋收 (14,14-20)
    9. 일곱 待接의 審判 (15,1-21)
    10. 淫蕩한 女人 바빌론의 敗亡 (17,1-19,4)
    11. 어린羊의 婚姻 잔치 (19,5-10)
    12. 하늘의 勝利와 사탄의 敗亡, 마지막 審判 (19,11-20,15)
    13. 첫째復活과 千年 後 (20)
    14. 새하늘 새 땅 (21,1-22,5)
  5. 맺음말 (22,6-21)

요한 默示錄의 影響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요한계시록". 《冠註解說 聖經全書: 改譯改正》. 서울: 大韓聖書公會, 2004.
  2. Kretschmar, G. 《Die Offenbarung des Johannes, Die Geshichte ihrer Auslegung im 1》. Jahrtausend, 1985.  
  3. Maier, G. 《Die Johannesoffenbarung und die Kirche》. WUNT, 1981.  
  4. 에두아르트 로제. 《요한계시록》. 박두환 驛. 한국신학연구소, 1997.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