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크부카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亞리크부케 에서 넘어옴)

아리크부카(阿里不哥)

보르지긴 아리크부카 ( 몽골語 : ????????
????????
Bor?igin Ariq Boke , 키랄文字 :Аригб?х, 韓國 漢字 : ?兒只斤 阿里不哥  牌亞遲筋 아리불가 , 1219年 ~ 1266年 ) 或은 아릭부케 , 亞리크포크 ( 韓國 漢字 : ?兒只斤 阿里克布克  牌亞遲筋 아리極胞極 )는 몽골 帝國의 皇族으로 칭기즈 칸 의 孫子이자, 톨루이 칸과 소르칵타니 의 말자이다. 쿠빌라이 칸 몽골 帝國 의 칸의 地位를 다툰 人物이다. 아릭否카(阿里?哥)로도 부른다. 페르시아語 史書에는 아리즈 보카 (???? ????)로 나타난다. 그의 親 兄弟는 몽케 , 쿠빌라이 , 훌라구 等이 있었다.

1258年 몽케 칸 南宋 攻略 時 카라코룸 과 漠北 高原의 防禦를 맡겼다. 1259年 8月 몽케 칸 南宋 攻略 途中 陣中 死亡하자 甘菊으로 攝政, 그해 11月 25日 쿠릴타이를 열고 칸으로 卽位했다. 쿠빌라이 칸 은 이에 反撥하여 이듬해 3月 3日 獨自的으로 쿠릴타이를 열고 칸을 自處, 5年間 戰爭下였다. 몽골의 學者에 따라서는 그를 5代 大칸으로, 쿠빌라이를 6代 大칸으로 보기도 한다. 그러나 元나라와 쿠빌라이 正統論者들은 아리크부카를 叛亂者로 보는 視角도 있다.

支持勢力 離脫과 飢饉으로 1264年 8月 쿠빌라이에게 降伏하였으나, 1266年 臺도 (大都)에서 疑問의 毒殺을 當했다. 그는 몽골族 칸 中 그리스도교 에 寬大했던 칸 中의 한 사람이다. 아리복스(Aribox), 아리보거(Arigboge) 等으로도 불린다.

生涯 [ 編輯 ]

生涯 初盤 [ 編輯 ]

出生과 家計 [ 編輯 ]

1219年 몽골 카라코룸 에서 태어났으나, 正確한 生日은 記錄이 없어 未詳이다. 아리크부카는 칭기즈 칸 의 넷째 아들이자, 1227年~1229年 몽골의 臨時 大칸을 맡은 툴루이 와 그의 情實 소르覺他니 베키 蘇生 넷째 아들이자, 툴루이에게는 일곱째 아들이었다. 어머니 소르칵타니 베키 케레이트 토그릴 翁 칸 의 동생 자하勘報의 딸이다. 맏兄은 몽케 칸 이고, 둘째 兄 홀도도는 일찍 夭折했고, 셋째 兄은 生母가 不分明하였으며, 冬服 兄弟로는 쿠빌라이 칸 훌라구 가 있었다.

그의 이름은 아리크 不카 또는 아리복스(Aribox), 아리보거(Arigboge) 等으로도 表記된다. 프랑스 로마 가톨릭 宣敎師 기욤 드 뤼브룩 ()의 東方 帝國 旅行記 에는 그의 이름이 아랄부차(Arabuccha, 키릴 文字 :Арабукха)로도 表記된다. 페르시아 어 史料에서는 아리즈 보카(???? ????)로 나타난다. 그의 이름 아리크 부카는 몽골語 로 가느다란 황소, 날렵한 황소를 뜻한다.

그가 태어날 무렵 아버지 툴루이 칸 은 西晉, 中國人, 몽골人으로 構成된 部隊를 이끌고, 그의 할아버지 칭기즈 칸 을 따라 호라즘 遠征 中이었다. 아버지 툴루이는 1227年 8月 몽골 帝國의 甘菊이 되었으나, 1229年 自身의 兄 오고타이에게 칸의 地位를 讓步했다.

어머니 소르칵타니 베키 는 東方에 傳來된 基督敎 의 一波 景敎 네스토리우스 信者였다. 그는 몽골 의 宗敎 텡그리즘 샤머니즘 을 崇拜했지만, 後日 基督敎 에 對해 多少 友好的인 立場을 보였다. 一說에는 아리크부카가 基督敎式 洗禮를 받았다는 說이 있다. 1232年 9月 或은 10月 아버지 툴루이가 알콜中毒 或은 오고타이 칸 代身 犧牲祭物로 바쳐저 죽자, 오고타이 칸 쓰촨 省 周邊의 領地를 툴루이 家門의 領地로 주었다.

아리크부카의 어린 時節과 少年期에 對한 記錄은 나타나지 않는다. 1229年 여름, 오고타이 를 選出하는 쿠릴타이 와, 오고타이의 事後 1246年 7月 구유크 칸 을 選出하는 쿠릴타이 에 아리크부카度 參與하였다. 오고타이의 아들이자 四寸 구유크 칸이 죽자, 1251年 툴루이 家門의 몽케 칸이 쿠릴타이를 통해 選出되었다.

靑年期 [ 編輯 ]

몽케 칸 中國 化된 동생 쿠빌라이를 內心 不信하였고, 몽골의 保守的 部族長들 또핫 쿠빌라이를 疑心의 눈초리로 바라보았다. 아리크부카는 쿠빌라이 의 韓華(漢化) 政策에 反對하였다. 쿠빌라이의 中國文化 受容과 親中國 政策에 反對하는, 保守的 性向의 몽골 部族長들이 아리크부카 周圍에 모였다. 아리크부카에게는 몽골高原 西部, 間守城 西北部, 腎臟위구르 自治州 東部, 나이만 , 스루도스, 代代로 무당을 排出하는 콩고炭夫 等이 鬱壘스로 주어졌다.

그밖에 아리크부카의 領域은 자브港 , 고비 알타이 , 호브드 오브스 , 바양 을기 , 아르항가이 , 腎臟 위구르 自治區 의 東部 地方, 시베리아 의 中部 地方, 알타이山脈 一帶, 쿨룬다 一帶, 발하슈湖 , 바이칼호 수 周邊, 서 시베리아 平原 一帶가 그의 影響力 下에 있었다.

1254年 5月 그는 몽골 帝國 을 訪問한 프랑스 루이 9歲 의 特使 프란시스코會 所屬 修道士 뤼副룩의 기욤 一行을 接見했다. 아리크부카는 基督敎 에 多少 好意的인 態度를 보였다. 몽케 카안 의 在任 中, 프랑스 루이 9歲 의 特使인 프란시스코會 所屬 修道士 뤼副룩의 기욤 의 記錄에 나타난다. 뤼副룩의 기욤에 依하면 그는 아리크부카는 十字架 表示를 하고 "우리는 우리의 메시아(예수)가 하나님이라는 것을 압니다"라고 말하는 것을 보았다고 記錄했다. [1]

1258年 2月 몽케 칸 은 直接 南宋 征伐軍을 編成하여, 쿠빌라이 를 帶同하고 遠征길에 올랐다. 몽케 칸은 동생 아리크부카에게 카라코룸 과 漠北 高原 一帶의 지키게 하고, 將軍 보로칸(?魯歡), 아란타르(阿藍答兒) 等에게도 그를 돕게 하였다. 다른 型 훌라구 페르시아 遠征에 參與했다가, 여기에 눌러앉아 日 韓國 을 建設한다. 아리크부카는 막내아들이 故鄕을 지키는 責任을 맡는 몽골 傳統에 따라 故鄕을 지켰기에 戰爭 經驗은 不足했다.

칸位 繼承 戰爭 [ 編輯 ]

쿠릴타이와 卽位 [ 編輯 ]

카라코룸을 흐르는 오르콘强

1259年 8月 몽골 蔚루스 第4代 大칸人 몽케 가 南宋 遠征 中 쓰촨省 에서 갑자기 病死하였다. 몽케 칸은 生前 後繼者를 內定하지 못하고 죽었다. 몽골高原 에 있던 수도 카라코룸 을 守備하던 막냇同生 아리크 부케는 甘菊(監國) 資格으로 몽골 王族과 部族長을 카라코룸 으로 召集, 몽케派의 王族, 차가타이 韓國 의 一部 貴族들을 모아 카라코룸 西쪽 오르콘强 邊에서 쿠릴타이 를 20日間 열고, 西部의 차가타이 家門 等 여러 王家의 支持를 얻어 大칸의 地位를 얻었다. 이때 몽케 칸 의 아들들, 킵차크 韓國 베르케 칸 , 차가타이 韓國 오르가나 카툰 , 알루區 等이 參與하였다.

元士 卷4 世祖本紀에 依하면 1259年 11月 14日 先皇 몽케 칸의 側近인 아란타르(阿藍答兒), 昏倒하이(渾都海), 토쿠즈(脫火思), 토리치(脫里赤) 等이 謀議하여 亞리크부케를 칸으로 推戴했다 한다. 바로 아란타르는 고비 沙漠 以北 漠北 高原의 第不足 兵力을, 토리치는 幕南地域의 몽골 領域의 兵力을 動員하였다. 昏倒하이는 耶律楚材 의 孫子 野率희량(耶律希亮) 等 一部를 包攝하려 하였으나 失敗했다. 1260年 3月 카라코람山脈 의 西쪽 아르탄江 에서 아리크부카는 스스로를 몽골 帝國 大칸으로 正式 宣布하였다. 몽케 칸 의 아들 兒數타이, 시리機, 몽케 칸 의 玉璽를 所持하고 있던 몽케 칸의 次男 우룩他市(玉龍答失) 亦是 아리크부카를 支持하였다. 週値 家門의 베르케 , 차가타이 家門의 알루區 等의 王族들, 몽케 칸의 아들들이 아리크부카를 支持하였다. 아란타르는 卽時 섬서 , 河南 行星을 占領했다.

이에 몽케와 함께 南宋 遠征 中이던 동생 쿠빌라이 1259年 陰曆 尹11月에 軍隊를 되돌려 內몽골 에 들어서 東쪽 3王家(칭기즈칸의 동생 家計)等의 支持를 얻은 다음, 이듬해 3月 24日 或은 5月 6日 에 自身의 本據地였던 內몽골 개평部 (開平府 : 後날의 商道 )에서 쿠릴타이를 열어 大칸의 地位에 앉았다. 이로써 몽골 帝國은 史上 처음으로 몽골高原 南北에 두 名의 大칸이 들어서게 된다.

쓰촨 省 몽케 칸 麾下에 있던 장수들 中 유태평(劉太平), 곽老會(?魯懷), 미리훠저(密里火者) 等도 아리크부카를 支持하였다. 그러나 1260年 6月 쿠빌라이 는 사람을 보내 유태평, 곽老會 等을 射殺한다.

卽位 初盤 [ 編輯 ]

아리크부카의 貪가 (引張)

1260年 5月 12日 부터 6月 까지 아리크부카는 다시 오논강 上流에서 쿠릴타이 를 召集, 開催하고 다시 大칸임을 宣布했다. 몽케 칸의 葬禮를 치르고, 制度(帝都) 카라코룸 에서 卽位한 아리크 부케가 大칸으로서의 正統性은 確保한 셈이었으나, 軍事力을 掌握한 쿠빌라이 亦是 아리크 부케를 背信者로 여기고 自身이야말로 正當한 大칸이라고 主張했다. 5月 27日 아리크부카는 카라코룸 에서 大칸임을 宣布하였다. 初期의 아리크부카의 影響力은 아르항가이 , 자브港 江 周邊부터 몽골高原 西部地域, 中國 甘肅省 , 칭하이 省 一帶와 쓰촨 省 北西部까지 그의 影響力 下에 있었다. 現在의 腎臟 위구르 自治區 와 東部 카자흐스탄 地域이 領域이었던 오고타이 韓國 카이두 亦是 아리크부카 支持를 宣言하였다. 한便 프랑스 루이 9歲 가 派遣한 謝絶 기욤 드 뤼브룩 을 接見하고, 그가 十字架 를 製造하는 것을 觀察하기도 했다.

1260年 차가타이 칸國 의 칸位 繼承이 混亂해지자, 쿠빌라이 칸 은 自身의 側近이며, 차가타이 칸 의 아들 모에투칸의 孫子이며, 부리의 아들인 亞비슈카 를 칸으로 承認했다. 그러나 아리크 부케는 軍士를 시켜 亞비슈카를 逮捕하여 죽이고, 自身을 支持하던 알루區 를 支援, 代身 차가타이 칸國 의 칸위에 올렸다. 알루구는 차가타이의 孫子로 바이다르의 아들이다. 아릭 부케는 알루區 에게 훌라구 의 勢力과 베르케 칸 킵차크 칸國 勢力과 對敵하고, 物資와 軍糧을 모은 뒤 地域을 防禦하도록 指示했다. 그러나 알루區 는 아리크 부케를 버리고 寶物을 지킬 目的으로 使節을 죽였다.

오고타이 家門의 카이두 는 아리크 부케에게 忠誠을 維持하였다. 아리크 부케는 알루區와 곧 葛藤하였고, 아리크 부케는 곧 차가타이 칸國을 攻擊하였다. 첫 戰鬪에서는 알루區가 勝利했으나, 두番째 戰鬪에서는 아리크 부케가 勝利하고, 알루區 勢力은 차가타이 韓國 西部로 逃亡쳤다. 한便 카이두 베르케 와 交戰하였으나 敗北하였다. 아리크부카는 티베트 로도 使者를 보내 티베트 佛敎 側 人士와도 交涉했다. 티베트의 사서 紅絲에 依하면 아리크부카는 티베트 佛敎 中 카르마派(派)와 關係를 맺었다 한다.

1260年 7月 10日 쿠빌라이 가 麾下 將軍들에게 아리크부카 討伐을 宣言했다. 9月 2日 쿠빌라이 는 아리크부카가 委命(違命)을 捏造했다며 中外에 討伐 參與를 宣言했다. 1260年 가을, 아리크부카는 軍隊를 이끌고 카라코룸 隣近에 到着, 쿠빌라이 에게 降伏 意思를 傳達했다. 쿠빌라이는 軍士를 南쪽으로 후퇴시켰고, 아리크부카는 突變하여 奇襲攻擊을 加했다가 敗北, 兵力을 이끌고 南쪽으로 내려갔다.

쿠빌라이와 1次 交戰 [ 編輯 ]

1260年 9月 쿠빌라이 의 軍隊가 카라코룸 으로 進擊, 아리크부카와 쿠빌라이 軍의 交戰에서 쿠빌라이의 軍士가 勝利했다. 오논강 툴 盆地 로 물러난 아리크부카는 다시 戰列을 再整備한다. 1260年 겨울, 쿠빌라이 의 部長 車가(車駕)가 카라코룸 을 占領, 아리크부카를 支持한 아란타르와 昏倒하이를 處刑하였다. 이때 아리크부카 部隊는 兼週(謙州)에 駐屯中이었다. 1261年 가을 아리크부카 軍隊가 카라코룸에 到着했다. 아리크부카는 降伏하겠다는 意思를 表示했고, 쿠빌라이의 軍隊는 退却했다. 그러나 아리크부카는 뜻을 바꾸어 交戰을 開始한다.

1260年 카團 誤굴 위구르 人 軍士를 이끌고 그를 攻擊해왔다. 카團 쿠빌라이 軍隊의 西部 地域을 擔當했으며, 甘肅省 北西部 故障(姑臧) 近處에서 아릭부케의 오른쪽 軍隊를 指揮하던 아란타르 將軍과 쿤두카이 將軍의 軍士를 擊破하고, 그들을 잡아 處刑했다.

아리크부카를 支持했던 알루區 오르가나 카툰 의 領域을 侵掠, 掠奪했고 自身의 利益을 重要視했다. 官僚들은 아리크부카를 怨望했고, 아리크 부카는 차가타이 韓國 알루區 와 交戰할 수 없어, 알루區 오르가나 카툰 사이에 仲裁에 나서게 되었다. 아리크부카는 알루區와 오르가나 카툰 사이에 平和協定을 締結시키고 몽골高原 으로 되돌아왔다. 後에 알루구는 오르가나의 아들 카라 훌레具를 後繼者로 임명한다는 條件下에 알루區와 再婚하였다.

1261年 9月 아리크부카는 軍士를 이끌고, 카라코룸 南쪽 沙漠에 駐屯限, 예순게 (移相哥 또는 亦孫哥)를 襲擊, 大敗시켰다. 예순게 週値 카사르 의 아들로, 쿠빌라이 를 支持하였다. 1261年 10月 1日 카라코룸 近處에서 쿠빌라이의 部長에게 敗하였다. 1261年 11月 3日 아리크부카는 時務투 ( 몽골語 로 모기가 많은 땅이라는 뜻)에서 카團 誤굴 의 軍隊를 크게 擊破하고 3千 兵力을 베었다. 아리크부카의 將軍 他차르(塔察兒})와 카피치(合必赤)는 時務투 北쪽 50里까지 카團 의 殘存 軍隊를 追擊, 大破시켰다. 11月 12日 아리크부카는 알루쿠(阿兒?)에서 카團 에게 敗하고 麾下 長壽 我修(阿速)가 카團 에게 投降했다. 아리크부카는 카라코룸 西쪽으로 避身했다.

新元史에는 알루쿠가 카段에게 投降했다 하고, 元士 4卷에는 쿠빌라이가 直接 軍隊를 이끌고 아리크부카를 攻擊했다 한다.

쿠빌라이와 再 交戰, 알루區의 背信 [ 編輯 ]

1261年 11月 쿠빌라이 와 아리크 부케의 兩軍은 여러 次例 激突하였으나 勝敗가 나지 않았다. 그러나 時間이 지날수록 軍事力과 華北의 物資를 掌握한 쿠빌라이에게 戰勢가 유리해지기 始作했다. 1261年 카이펑 北쪽 時務土노르 湖水에서 벌어진 時務土노르 戰鬪에서는 쿠빌라이 가 勝利했으나, 아리크 부케는 北西쪽 몽골의 오이라트 部族의 支援을 얻어 抵抗을 繼續했다. 바로 그는 차가타이 韓國 알루區 에게 도움을 要請했으나 거절당했고, 아리크 부카는 다시 카라코룸 을 出發해 알타이山脈 을 넘어 차가타이 韓國 을 攻擊했다. 일리江 戰鬪에서 알루區 軍隊를 물리치고, 알루區 는 西쪽으로 逃走, 코彈 , 카슈가르 西쪽 等地로 逃亡쳤다.

알루區 를 攻擊하는 아리크부카의 軍隊
1596年 무굴 帝國 畫家 美스킨 作( 라시드 웃딘 執事 힌두어 飜譯本 揷畵)

그러나 아리크 不카 軍隊가 占領한 곳은 大草原이고, 穀物과 武器 供給源이 없었다. 알루區의 殘留 軍隊는 아리크부카 軍隊가 신장 의 肥沃한 南部 地域으로의 接近을 遮斷했다. 일리江 까지 가는 길에 戰爭과 疲勞에 지친 아리크 不카의 軍隊는 途中에 支援을 要請했지만, 地域 住民들의 全幅的인 支持를 얻지는 못했다. 아리크부카의 軍隊는 掠奪을 敢行하였다. 아리크 부카는 알타이를 건너 알루區와 數次例 싸웠으나 成果가 없었다.

1261年 쿠빌라이 를 支持하던 카團 위구르 탕구트 에서 아리크부카 追從者들을 潰滅시켰다. 아리크부카는 카團 軍隊의 攻擊을 두 番 받고, 카라코룸 에서 一時 退却하기도 했다.

1261年 初겨울, 아리크 부카는 軍隊를 이끌고 카이핑 方向으로 進軍하였다. 쿠빌라이는 아리크 不카의 攻擊 消息을 듣고 南宋 과의 交戰을 一時 中斷하였다. 1261年 겨울, 아리크 부케 側은 몽골 고비 沙漠 의 境界에서 쿠빌라이 칸과 交戰하였으나, 飢饉과 食糧 不足으로 敗北하고 西쪽으로 退却, 알타이山脈 너머로 後退하였다. 아리크 부카는 차가타이 韓國 에 使者를 보내 도움을 要請, 軍需物資를 調達하려고 하였으나 거절당했다. 憤慨한 아리크 부카는 알루區의 麾下人 차가타이 韓國 邊方의 長壽와 兵士들을 攻擊, 沒殺시켰다.

支持勢力 離脫과 飢饉 [ 編輯 ]

1262年 亞리크부케를 祕密裏에 支援하던 훌라구 칸 의 아들 줌쿠루는 病 治療를 핑계로 後退, 사마르칸트 로 退却했다가 日 韓國 으로 되돌아갔다. 그해 아리크부카의 軍隊는 화레즘 아프가니스탄 을 攻擊, 占領했다. 쿠빌라이 카안은 아리크부카 部隊의 補給路를 把握, 攻擊하여 軍糧 調達을 遮斷했다.

1262年 부터 亞리크부케는 알말리크 에 駐屯하며 다시 차가타이 韓國의 알루區 칸과 戰爭하다가, 1263年 이슬람 出身으로 오고타이와 귀유크 칸 當時 투르키스탄 地域 다루가치로 있던 魔手우드베이(馬思忽?別乞占)를 講和使節로 알루구칸에게 派遣했다. 魔手우드베이는 그길로 차가타이 韓國에 歸順하였다. 알루區 는 아리크부카가 보낸 다른 使節을 殺害하였다. 1263年 겨울 이리 溪谷 一帶에 駐屯中이던 아리크 不카의 軍士들은 飢饉과 굶주림에 시달렸고, 死傷者가 發生했다.

降伏과 最後 [ 編輯 ]

最終 敗北와 投降 [ 編輯 ]

1264年 1月 쿠빌라이 칸 은 使者를 보내 아리크부카에게 降伏을 慫慂했으나 拒絶했다. 1263年 봄 알루區와의 싸움 途中 兵士들의 離脫로, 아리크부카는 알루區와의 交戰을 中斷하고 되돌아왔다. 1264年 봄, 알말리크 에 駐屯 中이던 아리크부카의 軍隊는 엄청난 飢饉과 굶주림에 시달렸고, 軍隊는 動搖하였다. 아리크 부케 傘下의 諸侯들이 하나 둘씩 떨어져 나가고, 오고타이 의 아들 카團은 쿠빌라이의 便에 섰으며, 차가타이 家門마저 아리크 부케에 對한 支援을 끊자, 1264年 7月 29日 아리크 부케는 結局 時務투 戰鬪에서의 慘敗를 契機로 쿠빌라이 에게 降伏했다.

1264年 7月 29日 時務투(昔木土, 失木?, 失木里?, 失?里?, 失木?, 失?? 몽골語 모기 가 많은 땅이라는 뜻)에서 쿠빌라이 가 보낸 軍士와 交戰, 그러나 時務투 戰鬪에서 아리크부카는 쿠빌라이 軍隊에 慘敗하였다.

아리크부카는 投降을 決定하고, 끝까지 自身을 따르던 于룽타시, 兒數타이, 시리機 等과 함께 商道로 갔다. 元士 에 依하면 아리크부카가 商道로 가 스스로 投降했다 한다. 1264年 8月 21日 商道에 到着하여 쿠빌라이를 만났다. 이 一連의 戰亂을 勝利者 쿠빌라이를 正統으로 보는 立場에서는 아리크 부케의 난 이라고 불렀다. 쿠빌라이는 아리크부카 麾下의 將軍 10名을 處刑하고, 아리크부카의 支持者들도 處刑, 流配보냈다.

訟事 記事本末 99卷에 依하면 不루카(不魯花) 等 아리크부카의 모신(謀臣, 策士)들도 쿠빌라이에게 伏誅當했다 한다.

監禁과 最後 [ 編輯 ]

아리크부카의 處理를 홀로 하기 부담스러워한 쿠빌라이 칸 은 아리크부카의 處理를 定하기 위한 쿠릴타이 를 召集하였다. 몽골 大臣들은 아리크 부케와 兒數타이(阿速帶)의 死刑을 面해줄 것을 建議했다. 훌라구 , 바라크 , 알루區 等은 아리크 부케의 死刑을 상주하였다. 베르케 훌라구 와 戰爭을 하느라 參與하지 못했다. 그러나 아리크 부케가 降伏하자 쿠빌라이 칸 은 아리크 부케의 목숨은 살려주는 代身 禁錮에 處했고, 亞리크부케를 支持하던 王族, 貴族들은 索出하여 慘殺하였다. 몽케 칸 의 아들들을 除外한 몽골의 王公族들 亦是 아리크부카를 支持한다는 理由로 처형당했다.

아리크부카가 감금당한 곳은 알려진 것이 없다. 一說에는 外地로 追放當下다는 說이 있다. 以後 그는 憂鬱症 을 앓게 되었다. 쿠빌라이 카안 은 그의 목숨을 살려주었지만 그에게 1年間 隱密하게 刑罰을 加했다. 1266年 가을, 아리크부카는 갑자기 重病에 걸려 臺도 (大都)에서 의문스럽게 死亡했는데, 一說에는 쿠빌라이에 依한 毒殺로 推定된다. 正確한 死亡日子와 正確한 死亡 場所는 未詳이다.

라시드 웃딘에 依하면 아리 부케가 쿠빌라이 와 1個月 6日 동안 같이 있다가 死亡했다고 했으나, 웃딘은 다른 記錄에서 그는 쿠빌라이가 훌라구의 抗議를 받은 뒤 1年 동안 아릭 부케를 接見하지 않았다는 矛盾된 記錄을 남겼다. [2] 그는 또 다른 곳에서 범의 해 인 1266年 가을 아릭 부케가 病으로 死亡 했다고 하기도 했다. 바사프 는 쿠빌라이가 아릭 부케의 謝罪를 받아들여 그를 容恕해 주었지만, 그를 夫人 한 名과 始終 몇 名과 함께 地方으로 보내 버렸다고 하여 [2] , 異見의 素地가 있다.

事後 [ 編輯 ]

降伏한 지 數 個月 뒤에 不可思議하게 死亡하여, 이는 그가 祕密裏에 毒殺되었다는 所聞으로 이어졌1다. [3]

그의 屍身은 셀렝가강 近處 部라 韻두르(Bura Undur)에 埋藏되었으나, 正確한 埋葬地는 알려지지 않았다. 그의 後孫들은 1266年 그의 死亡 直後, 쿠빌라이 칸에 依해 召喚되어 몽골 北西部의 一部 地域을 領地로 받았다. 아리크부카의 英知人 알타이山脈 東部 地方, 몽골高原 西部, 甘肅省 西北部, 腎臟위구르 自治州 東部, 나이만 , 스루도스, 代代로 무당을 排出하는 콩고炭夫 等은 次男 메리크 테무르 에게 이어졌다. 그의 死後에도 몽골高原 西部와 西部 시베리아, 바이칼호 수 周邊, 腎臟 위구르 自治區 의 一部 地域은 그의 子孫들의 影響力 下에 있었다.

오고타이 칸 의 孫子이며 오고타이 韓國 의 君主 카이두 가 아리크부카 繼承을 宣言, 一部 桐 몽골 의 部族長들과 투르크 族 族長들의 支持를 얻어 쿠빌라이 칸 과 戰爭을 벌였다. 둘째아들 메리크 테무르 는 카이두의 陣營에 섰다가 1306年 元나라 에 投降했다. 1307年 원 成宗 事後 岸曙王 아난다 를 推戴했다가 카이산에 依해 處刑되고, 메리크의 아들 밍間은 孫子 아르파 케운 을 데리고 日 韓國 으로 移住했다.

다른 아들 요쿠부르는 시리기의 난 을 契機로 카이두 의 便에 섰다가, 1296年 원 成宗에게 投降했다. 아리크부카를 支持했다가 함께 投降한 몽케 칸 의 아들 中 于룽타시는 일찍 죽고, 시리機 1277年 쿠빌라이 칸 의 아들 勞務間 , 코코秋 카이두 征伐에 出廷했다가 勞務間 , 코코秋 카이두 에게 넘기고 카이두의 便에 서게 된다.

家族 關係 [ 編輯 ]

元士, 新元史에는 아들이 4名이라 한다. 라시드 웃딘 에 依하면 그가 살아있을 當時, 아리크 부카는 5名의 아들과 16名의 孫子가 있었다 한다. [4]

  • 아버지: 툴루이 (拖雷)
  • 어머니: 소르칵타니 (唆魯合貼尼)
  • 否認: 알리카미視(엘치크微視) 카툰 - 오이라트 族 토를로시(?劣勒赤)와, 칭기즈 칸 의 다섯째 딸 체체겐 의 딸
    • 아들: 妖婦쿠르(藥木忽兒 Юбугур) 또는 野部間(Явган)
    • 아들: 멜릭 테무르 (明里帖木兒)
    • 며느리: 에메겐 테무르 - 오이라트 族 토를로시와 칭기즈칸의 다섯째 딸 체체겐 의 아들 바르스不카의 딸
    • 아들: 쿠툭투(Хутуг)
    • 아들: 打마치(Тамачи)
  • 否認 : 니라우구이 카툰, 바룰라스 地域 出身의 첩
    • 아들: 나이라쿠否카(乃剌忽不花)
    • 아들: 라간時間(拉幹失幹) 또는 랄감實感(剌甘失甘)
  • 否認: 쿠툴루 카툰
  • 否認: 쿠투쿠카 카툰, 나이만 族 出身
    • 아들: 카르쿠間
    • 딸: 네具데르 아히
    • 딸: 老母間 아히
    • 사위: 츄판 - 오이라트 族 토를로시(?劣勒赤)와 칭기즈칸의 다섯째 딸 체체겐 의 孫子, 不카 테무르의 아들
  • 否認: 에시타이 카툰, 콩기라트 部 他無恥의 딸, 아들 妖婦쿠르가 水系
  • 첩 : 이라구 구이
  • 生母未詳

族譜 [ 編輯 ]

 
 
 
 
 
 
 
 
 
 
 
 
 
 
 
 
 
 
16. 보르지긴 바르彈
바街투르
 
 
 
 
 
 
 
8. 보르지긴 예수게이
바街투르
 
 
 
 
 
 
 
 
 
 
 
17. 바가르 수니굴
우진
 
 
 
 
 
 
 
4. 보르지긴 테무친
칭기즈 카간
 
 
 
 
 
 
 
 
 
 
 
 
 
 
9. 올코노드 호엘룬
 
 
 
 
 
 
 
 
 
 
 
2. 보르지긴 툴루이
甘菊
 
 
 
 
 
 
 
 
 
 
 
 
 
 
 
 
 
10. 溫氣라트 데이歲첸
 
 
 
 
 
 
 
 
 
 
 
5. 溫氣라트 보르테
우진 카툰
 
 
 
 
 
 
 
 
 
 
 
 
 
 
11. 炒炭
 
 
 
 
 
 
 
 
 
 
 
1. 보르지긴 아리크부카 카간
 
 
 
 
 
 
 
 
 
 
 
 
 
 
 
 
 
 
 
 
24. 케레이트 마르쿠즈 칸
 
 
 
 
 
 
 
12. 케레이트 쿠르子쿠스
아이샨 칸
 
 
 
 
 
 
 
 
 
 
 
6. 자하勘報
 
 
 
 
 
 
 
 
 
 
 
 
 
 
3. 케레이트 소르칵타니 베키
 
 
 
 
 
 
 
 
 
 
 
 
 
 
 
 
 
7. 바사이
 
 
 
 
 
 
 
 
 
 
 
 
 

朞年 [ 編輯 ]

아리크부카 칸 元年 2年 3年 4年 5年 6年
西曆
(西曆)
1259年 1260年 1261年 1262年 1263年 1264年
六十干支
(六十干支)
기미 (己未) 更新 (庚申) 辛酉 (庚辰) 壬戌 (辛巳) 癸亥 (壬午) 甲子 (甲子)

各州 [ 編輯 ]

  1. Christopher P. Atwood, Encyclopedia of Mongolian and the Mongol Empire (Facts on File, 2004), pp. 36.
  2. 김호동, 《몽골 帝國 과 高麗: 쿠빌라이 政權 의 誕生 과 高麗 의 政治的 位相》 (서울大學校出版文化院, 2015) 80페이지
  3. Rossabi, Morris (1994). "The reign of Khubilai Khan". In Denis C. Twitchett; John King Fairbank (eds.).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6, Alien Regimes and Border States, 710?1368.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414?489. ISBN 978-0-521-24331-5 . pp.424.
  4. ?деб.: Рашид ад-Дин, Сборник летописей, т 2., М.-Л., 1960; Бартольд В.В., Туркестан в эпоху монгольского нашествия, Соч., т. 1., М., 1963.

같이 보기 [ 編輯 ]

前任
원 憲宗 몽케
몽골 帝國 의 甘菊(攝政)
1259年 8月 11日 ~ 1259年 11月 14日
後任
아리크부카
쿠빌라이
前任
아리크부카
(甘菊)
몽골 帝國 의 對立 大칸
( 쿠빌라이 와 紛爭 : 1260年 5月 5日 ~ 1266年 8月 22日)
1259年 11月 14日 / 1260年 3月 ~ 1264年 8月 22日
後任
쿠빌라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