益스텐디드 플레이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미니 音盤 에서 넘어옴)

益스텐디드 플레이 비닐 레코드

益스텐디드 플레이 ( 英語 : extended play , 略稱 EP )는 收錄된 曲이 싱글 (SP)보다 길고 보통의 音盤 하고 LP 보다 짧은 錄音物이다. 一般的으로 益스텐디드 플레이 音盤에는 4~8曲 程度가 收錄되며, 길이는 12~30分인 境遇가 大部分이다.

歷史 [ 編輯 ]

45回戰 레코드

EP는 다양한 規格과 다양한 形態로 出市되어 왔다.

1948年에 컬럼비아 레코드 에서 開發한 長時間 音盤 (LP)李 蓄音機 音盤 의 標準이 된 以後로, EP는 LP보다 크기가 작고 曲도 적게 실리는 規格의 音盤을 가리키는 用語로 導入되었다. 卽 EP(extended play)라는 用語가 처음 쓰인 것은 1952年으로, 컬럼비아 레코드의 競爭社인 RCA 빅터 에서 自社의 7인치 規格의 45回戰 레코드를 부른 이름이었다. RCA 빅터에서는 이 레코드를 ‘45’라는 이름으로 1949年에 처음 出市하였으며, 盆唐 78回 回轉하는 標準時間 音盤 (SP)을 代替할 수 있는 製品으로 宣傳하였다. 한 面에 最大 7.5分까지 錄音할 수 있었다. 이렇듯 最初의 EP는 RCA 빅터의 製品으로서, SP나 LP와 다른 規格이면서, 音質은 더 좋은 音盤으로 紹介되었다. [1]

以後 1950-60年代에, EP는 主로 싱글의 컴필레이션 이나, 앨범 出市를 앞두고 내놓는 先公開 曲의 母音으로 出市되었다. 規格은 如前히 代替로 7인치에 45回轉이었으며, 한 面에 두 曲 程度를 실었다. RCA 빅터에서 내놓는 EP 外에도, EP는 美國 , 캐나다 , 英國 , 그 밖의 유럽 國家들에서 팔렸다. 英國의 週間 音樂 雜誌 《레코드 리테일러》(Record Retailer)는 1960年에 最初의 EP 차트 를 만들었고, 《 뉴 뮤지컬 익스프레스 》나 《 멜로디 메이커 》(Melody Maker) 等의 雜誌는 從前의 싱글 차트에 EP를 包含하기 始作하였다. 이렇듯 EP의 人氣에 힘입어, 日本은 1963年 SP 의 生産을 中斷하였다. [2]

콤팩트 디스크 (CD) 音盤 時代에, EP는 英國音盤産業協會 에 依하여 ‘銃 收錄時間 25分 未滿+收錄曲 4曲’인 音盤으로, 또 美國音盤産業協會 에 依하여 ‘銃 收錄時間 30分 未滿+收錄曲 3-5曲’인 音盤으로 再定義되었다. [3] 그러나 西洋에서는 리믹스 曲을 실은 리믹스 音盤 이나 公演 實況을 담은 라이브 音盤 으로 出市되는 境遇가 大多數이며, 인디 뮤지션 의 音盤으로 製作되는 境遇도 많다. [3] 이러한 EP는 싱글 및 앨범(album)과 함께 音盤 의 一種이다. [4]

나라別 導入 [ 編輯 ]

大韓民國 [ 編輯 ]

大韓民國에서는 EP 代身 ‘미니 앨범’(mini album)이라는 用語를 많이 使用하는데 [4] , 이는 一種의 日本語式 英語 다. 大韓民國에서는 音盤이 싱글 이나 EP보다는 正規 音盤 爲主로 出市되어 왔다. [5] 1996年에 서태지와 아이들 이 EP 形態의 《 時代遺憾 》을 出市하기는 하였으나, EP의 普遍化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5] 그러나 2000年代 들어 音盤 市場이 音源 市場으로 轉換되고, 發行 費用이 正規 音盤 에 비하여 적게 들기 때문에, 2000年代 後半부터 EP가 人氣를 끌고 있다. [6]

2000年代 初만 해도 EP는 2004年 1月 6日 出市된 아웃사이더 의 데뷔 EP 《 Come Outside 》 等 間歇的으로 있어왔으나, 主流는 아니었다. 以後 2007年 7月 18日에 5人組 男性 그룹 빅뱅 이 〈 거짓말 〉을 收錄한 EP 1輯 《 Always 》를 오버그라운드로 導入하여 出市하면서, 大衆化시켰다. 直後 빅뱅은 2007年 11月 22日 EP 2輯 《 Hot Issue 》를 다시 한 番 出市했고, 2007年 以後, 2008年 初부터 始作해 太陽의 〈나만 바라봐〉가 收錄된 《 Hot 》, 샤이니의 데뷔 音盤 《 누난 너무 예뻐 (Replay) 》, 원더걸스의 〈Nobody〉가 收錄된 《 The Wonder Years - Trilogy 》, 빅뱅의 〈 하루하루 〉가 收錄된 《 Stand Up 》, 少女時代의 《 Gee 》 等이 EP로 出市되어 興行하면서 EP의 槪念이 旣成歌手에까지 歌謠界에 全般的으로 大衆化되어 使用되기 始作하였다.

日本 [ 編輯 ]

日本에서는 EP라는 用語 代身 ‘컴팩트半( コンパクト盤 )’, ‘미니 앨범( ミニ?アルバム )’이라는 用語를 使用한다. 또한 아이돌 그룹의 境遇 싱글을 여러 타입으로 나누어 出市하는 境遇가 많으며, EP 規格으로 出市하는 境遇는 적은 便이다.

各州 [ 編輯 ]

  1. Maes, Jan; Vercammen, Marc (2001). 《Digital Audio Technology: A Guide to CD, MiniDisc, SACD, DVD(A), MP3 and DAT》 4板. Focal Press. 2쪽. ISBN   9780240516547 . 2019年 8月 25日에 確認함 .  
  2. “レコ?ド産業界の?史 1960年~1969年” [音盤産業의 歷史 1960年~1969年] (日本語). 日本레코드協會 . 2019年 8月 25日에 確認함 .  
  3. 김상화 (2017年 4月 20日). “韓國에만 있는 '콩글리시' 앨범, 再整備가 必要하다” . 오마이뉴스 . 2019年 8月 25日에 確認함 .  
  4. 박혜민 (2019年 1月 5日). ' 미니 앨범'은 西洋에선 낯선 英語 ... EP로 써야 비슷한 意味” . 中央日報 . 2019年 8月 25日에 確認함 .  
  5. 성기완 (1999年 4月 8日). “알뜰한 音盤, ‘싱글’이 온다” . 한겨레21 . 2019年 8月 25日에 確認함 .  
  6. 양자영 (2013年 4月 7日). “싱글앨범 立地가 歌謠界에서 漸漸 커지고 있다” . 韓國經濟 . 2019年 8月 25日에 確認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