高다이인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高다이인 (1542年) 에서 넘어옴)

네네
ねね
기타노萬도코로
在任 1585年 8月 6日 ~ 1598年 9月 18日
無事 情報
時代 센고쿠 時代 ~ 에도 時代 初期
出生 덴分 11年
死亡 間에이 元年 陰曆 9月 6日
誡命 高다이인(高台院)
氏族 스기하라氏
父母 스기하라 社多토시 (아버지)
配偶者 도요토미 히데요시
宗敎 佛敎
墓所 고다이지(高台寺)

네네 ( 日本語 : 寧? ( ねね ) , 1547年 ( 덴分 11年) [1] ~ 1624年 10月 17日 ( 間에이 元年 陰曆 9月 6日 ))는 日本 다이묘 도요토미 히데요시 (?臣秀吉)의 情實이다. 本名은 네네이며 出家 後의 이름은 高다이인 (高台院)이다. 스기하라 社多토시 의 親딸이며 아사노 家門 에 養女로 들어갔다.

槪要 [ 編輯 ]

기타노萬도코로 (北政所)로 有名하다. 기타노萬도코로 로 불린 人物은 歷史上 多數 存在하고 있지만, 네네 以後로 이 統稱은 그女만의 固有한 것으로 定着된다.

어릴적 이름에 對해선 여러 說이 있다. 이름은 一般的으로 네네 라 불리지만, 히데요시 나 그女 自身의 署名 等에 <오네>, <네(?)>, <네이(寧)>라는 表記가 있기 때문에 <오네>라 불리는 일도 많다. (仔細한 이야기는 뒤에 敍述)

《기노시타駕後(木下家譜)》 等 조카인 기노시타 都市後嗣 (木下利房)의 英知人 빗秋 아시모리 番 의 文書에 <네이코(寧子)>라 쓴 記錄도 남아있다. ?一位를 除授할 때의 危機(位記)에는 <도요토미 요시코(豊臣吉子)>란 이름이 있지만 이것은 男便 히데요시 의 이름을 받은 것이다.

法名은 高台院湖月心公.

生涯 [ 編輯 ]

誤와리 스기하라 스케子에몬 社多토시 (杉原 '助左衛門' 定利)의 次女로 태어나 叔母의 結婚 前, 誤와리 街이토 軍 쓰시마 아사노 마타에몬 나街카쓰 (?野 '又右衛門' 長勝)의 養女로 들어갔다.

1561年 ( 에이로쿠 4年) 陰曆 8月, 오다 노부나가 (織田信長)의 가신 기노시타 도키치로( 도요토미 히데요시 )와 結婚했다(통설로는 14歲). 어머니 아사히(朝日; 히데요시의 女同生 아사히히메 (朝日?)와는 同名異人)의 反對를 무릅쓰고 한 結婚이었다.

그 後, 糟糠之妻로서 男便의 立身出世에 힘을 다했다. 두 사람 사이에는 아이가 없었기 때문에, 히데요시나 自身의 親戚을 養子나 街神으로서 키웠다. 그 中에서 가토 기요마사 (加藤?正)와 후쿠시마 마사노리 (福島正則)는 特히 有名하다.

1568年 頃부터 數年間 氣候에서 살았다. 이때 노부나가를 따라 上洛(上洛.地方에서 교토로 올라감)한 히데요시는 교토에서 妾을 들여, 하시바 히데카쓰 (羽柴秀勝)를 낳았다(그 存在를 疑問視하는 목소리도 있음).

1574年 , 나가하마 12萬 席의 主人이 된 히데요시의 부름을 받고, 히데요시의 어머니와 함께 居處를 그곳으로 옮겼다. 이 後에는 遠征으로 나가하마를 비우는 일이 많은 男便을 代身해 星州 代行으로서 臨했다.

1582年 ( 덴쇼 10年)의 惛怓지 事件 때에는 오미 나가하마性 에 있었는데, 暫時 亂을 避해 營內의 다이키치地(大吉寺)에 몸을 숨겼다. 多幸히 얼마 後 야마자키 戰鬪 에서 히데요시가 아케치 미쓰히데 (明智光秀)를 擊破함에 따라 나가하마로 돌아와 히데요시와 再會했다. 그 後 히데요시와 함께 오사카城 으로 居處를 옮겼다.

1585年 (덴쇼 13年) 히데요시가 간파쿠 에 오름과 同時에 네네도 種3位에 오르고 기타노萬도코로 로 불리게 되었다.

1588年 (덴쇼 16年) 陰曆 4月 14日, 고요제이 天皇 (後陽成天皇)李 주라쿠다이 (聚?第)에 悻悻(行幸)하였고, 天皇이 還宮한 陰曆 4月 19日에는 種1位에 올랐다.

1598年 ( 게이初 3年) 陰曆 8月 18日에 히데요시가 死亡했다. 이에 네네는 出家해 高다이인 (高台院湖月尼)이라 稱했다.

1599年 (게이初 4年)에는 오사카城 니시老마루(西の丸)를 떠나, 예전부터 네네를 섬겨온 高조스 (孝?主)를 비롯한 몇 名의 女종들을 데리고 교토 山本紀의 邸宅에 隱居했다(이후 니시老마루에는 도쿠가와 이에야스 (德川家康)가 들어간다). 化粧料로서 다이묘에 準하는 1萬5千 席의 領地를 도쿠가와로부터 받은 德分에 전 기타노만도코로로서의 品位를 지킬 수 있었다.

1605年 (게이初 20年), 男便 히데요시의 冥福을 빌기 위해 이에야스와 相議해 교토 히가시야마(東山)에 고다이지 (高台寺)를 建立하였고, 이곳을 餘生을 보낼 마지막 居處로 定했다. 1615年 에 벌어진 오사카 戰鬪 로 도요토미 家門이 滅亡한 後에도 繼續해서 에도 幕府 의 保護를 받았다.

1624年 ( 間에이 元年) 陰曆 9月 6日에 死亡하였다. 年齡에 對해서는 앞에 밝혔듯 여러 說이 있으며, 大略 76歲, 77歲, 83歲에 死亡한 듯하다. 晩年에 조카? 기노시타 都市後嗣 (木下利房)의 아들 中 하나인 기노시타 都市쓰구 (木下利次)를 養子로 맞아들였기 때문에, 네네의 領地中 一部인 3千 席을 都市쓰謳歌 繼承하였다.

人物 [ 編輯 ]

  • 政略結婚이 一般的이던 當時, 히데요시와 드물게도 戀愛結婚을 했다고 한다. 資料에는 두 사람이 “結婚 前에 情을 통했다”라고 적혀 있으며, 이것은 婚談 等이 全혀 없었던 狀態의 戀愛였다는 것을 意味한다. 게다가 當時 히데요시의 身分은 아직 매우 微賤하였으며 네네도 아사노 家門의 養女에 지나지 않았기 때문에, 어느 程度 自由戀愛가 可能했으리라 생각된다. 그렇다고는 하지만 結婚 時點에 둘의 身分은 네네 쪽이 훨씬 높았다.
  • 네네와 히데요시의 結婚에 그女의 親어머니인 아사히가 맹反對했기 때문에, 어쩔수 없이 親戚인 아사노 나街카쓰 의 養女로 들어가 結婚했다. 아사히는 平生 둘의 結婚을 認定하지 않았다.
  • 한便 히데요시의 어머니이며 네네에게는 媤어머니가 되는 羅카 와는 實際 어머니와 딸처럼 사이좋게 지냈으며, 나카가 世上을 떠날때까지 같은 지붕 아래에 살았다.
  • 男便의 駐軍人 오다 노부나가 와는 個人的으로 親했던 듯하다. 노부나가가 아즈齒로 居處를 옮겼을 무렵, 네네는 노부나가에게 히데요시의 바람氣를 하소연하였고, 이에 노부나가는 그女에게 激勵의 便紙를 보냈다. 이 便紙는 노부나가가 部下의 아내에게 보낸 것이라고 하기엔 아주 鄭重한 文章었으며, 노부나가의 女性에 對한 配慮心 및 히데요시와 네네 夫婦의 사이를 엿볼 수 있는 貴한 史料이다. 大體的인 內容은 다음과 같다.
… 얼마 前 오랜만에 만난 當身은 더욱 아름다워졌더군. 도키치로(藤吉?)가 當身에 對해 여러 가지로 不滿을 표하고 있는 模樣지만, 말도 안 되는 일이지. 저 대머리 생쥐(히데요시)가 當身 程度의 훌륭한 女性을 다른 데서 얻을 수 있을 理 없으니, 當身도 아내로서 堂堂히 行動하도록 하고, 嫉妬같은 건 하지 않도록. 이 便紙는 히데요시에게도 보여주도록 해요. …
  • 도요토미 政權 에서는 ‘糟糠之妻’로서 큰 發言力을 갖고 있었으며, 네네 自身은 基督敎로 改宗하지 않았지만 예수회의 宣敎師들에게는 여러가지로 便宜를 봐주었다. 루이스 프로이스
간파쿠 殿下의 아내는 異敎徒이시지만 대단한 人格者로서, 그女에게 付託하면 解決되지 않는 일이 없다.
 
— 《日本史》

라고 할 程度로 稱讚하고 있다. 또한 프로이스는 같은 冊에서 네네를 "王妃" 或은 " 女王 "(Queen)이라 稱하고 있다. (違和感을 없애기 위해 女王이란 單語는 通商 "관백否認" 等으로 飜譯된다)

  • 히데요시가 간파쿠 에 就任한 後에도 여러 다이묘 들 앞에서 吳와리 사투리로 말싸움을 벌이곤 했다. 히데요시와 둘만 있을 때에는 서로 完全히 吳와리 사투리만 使用해 對話했다고 한다.
  • 히데요시는 꽤나 便紙를 熱心히 쓰는 사람이었으며, 네네에게 父親 便紙가 많이 남아있다. (出處 必要)
  • 親子女가 없었던 탓에 一族의 아이들을 귀여워하였고, 特히 오빠인 기노시타 이에社다 의 아이들에게는 매우 깊은 愛情을 쏟았다. 이에社다 死後 그의 領地를 기노시타 都市後嗣 기노시타 가쓰토시 (都市後事는 세키가하라 戰鬪 에서 徐君에 屬했기 때문에, 가쓰토시는 후시미性 수호의 任務를 맡았으면서도 開戰直後 빠져나가 이에야스의 憤怒를 샀기 때문에, 둘다 가이에키 當하여 로닌 狀態였다)에게 分割 相續하도록 한 이에야스의 뜻에 거슬러 가쓰토시가 單獨으로 相續받을 수 있도록 아사노 나가마사 를 통해 도쿠가와 히데타다 에게 付託하였는데, 이것이 이에야스의 逆鱗을 건드려 結局 領地沒收의 事態가 벌어지게 되었다. (《 度多이키 》에는, 이에야스는 이 때 너무 憤怒한 나머지 "最近 其他勞만도코로님은 너무 늙은 티가 나는구나"라고 말했다고 記錄되어 있으며, 《 게이초넨로쿠 》에는 "기타노만도코로님이 老妄이 든것 같군"이라고 말했다고 記錄되어 있다.) 이것은 高多이인과 이에야스가 俗說에서 말하는 것처럼 親密한 關係가 아니었음을 證明하는 事件이다. 한便 그 影池는 仲介者 아사노 나가마사 의 아들 아사노 나街아키라 에게 주어졌다. 都市後事는 以後 오사카 戰鬪 에서 功을 세워 아버지가 남긴 領地를 다시 받고 다이묘 로 復歸했다.
  • 고다이인을 極盡히 保護했던 것은 이에야스가 아니라 히데타다 였다. 《平成杉原氏御系?附言簒》에는, 히데타다가 12살일 때 이에야스에게서 히데요시에게 人質로 보내졌는데 身柄을 맡은 高多이인과 그女의 側近 高調스가 히데타다를 極盡히 對했고(원문에서는 "실로 아들처럼 자비롭게 對하시다"), 그 때문에 히데타다는 平生 上洛할 때마다 第一 먼저 고다이인을 찾아뵈었다고 記錄되어 있다. 고다이인이 히데요시에게서 받아 이에야스가 所有權을 認定한 그女의 影池는 이에야스 事後 겐나 3年에는 이미 16,923席이 될 程度로 늘어있었다. 이것이 어느程度의 規模냐면, 間에이 6年에 讓位한 高미즈노誤 天皇 을 위해 幕府가 準備한 皇室의 影池는 3千石(以後 1萬石으로 增加)이었다.
  • 어릴때부터 아끼며 길렀던 고바야카와 히데아키 가 死亡했을 때, 가인 니시노토인 度키요시 에게 "哀痛(애도)"의 文章을 依賴했다. 한便 高多이인의 葬禮式 때에는 기노시타 가쓰토시와 기노시타 都市後嗣가 棺을 졌다고 傳해진다.

尿道도노와의 關係 [ 編輯 ]

네네는 正室夫人이었지만 子息을 갖지 못했기 때문에 히데요시는 한때 네네를 苛酷하게 對했으며, 네네와 히데요시의 側室人 尿道逃奴 와는 甚한 對立關係에 있었다는 說이 있다. 다만 最近의 다바打 야스코 等의 歷史學者의 硏究에 依하면, 둘은 오히려 協助?連帶關係였지 않았을까 하는 點이 指摘되고 있다.

세키가하라 戰鬪 에서도 尿道도노와 對立關係였던 東君( 도쿠가와 이에야스 가 이끈 후쿠시마 마사노리 等 所謂 武斷派)을 위해 네네가 움직였다고 하는 것이 通說이지만, 最近의 硏究에서는 요도도노와 連帶하여 오쓰性 戰鬪 에서의 强化交涉과 戰後處理에 힘썼다는 것이 確認되었다. 또한, 反對로 이시다 미쓰나리 들과 親했으며, 세키가하라 戰鬪時에도 西軍側의 姿勢를 取했을 可能性을 指摘하는 시라카와 盜壘 等의 硏究도 있다. 그 說의 論據로서 시라카와가 들고있는 것이 다음과 같은 事項이다.

  • 기타노萬도코로 周邊에 鉏軍關係者가 많다.
  • 徐君側이라 여겨지는 行動을 取했다.
    • 側近 高조스 오쓰 性 開城 交涉을 했다.
    • 네네의 조카에 該當하는 기노시타 家門 兄弟들( 고바야카와 히데아키 의 兄弟들)의 多數가 徐君으로 參加해 領地를 몰수당했다.
    • 세키가하라 戰鬪 以後 急히 宮中으로 몸을 避했다. ('度키쓰네쿄키]]') 이때, 맨발이었다고 《 本슌 닛키》에는 적혀져 있다. 매우 狼狽한듯한 情況이 確認된다.
  • 東君의 여러 將帥들과의 關係가 옅다.

이와 같이 여러 說이 있으며, 只今으로서는 洞軍側이냐 鉏軍側이냐 어느쪽으로 確定할 수 없지만, 當時의 기타노만도코로의 關心事는 政權의 歸趨가 아니라, 히데요시가 實現한 天下平安을 지키는 것과 도요토미 家門의 安胎를 바라는 것이었다고 한다면, 戰鬪 前後로 그女가 取한 여러 行動을 解釋할 수 있다.

事實關係가 確認되지 않은 이야기들 [ 編輯 ]

  • 《기요마사키》를 보면, 가토 기요마사 壬辰倭亂 中에 이시다 미쓰나리 와 對立하여 日本으로 召喚되었을 때, 네네가 히데요시 에게 기요마사 를 容恕하도록 說得했다는 技術이 남아있다. 또한 히데요시 死後에도 네네와 기요마사 가 繼續해서 連絡을 取하고 있는 點으로 볼 때, 기요마사 와는 적잖이 親密하게 지냈다고 여겨진다. 이것은 네네가 미쓰나리와 아주 親密했으며 도요토미 家門의 天下가 이어지기를 바라기는 했지만 絶對로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하지는 않았다는 하나의 傍證이 된다. (다만, 《기요마사키》는 史料的으로 그 內容의 信賴性이 많이 떨어지는, 《 다이코키 (太閤記)》와 같은 一種의 軍器物이다.)
  • 세키가하라 戰鬪 때, 네네가 自身의 조카? 고바야카와 히데아키 도쿠가와 이에야스 便에 加勢하도록 說得했다는 말이 있는데 이는 根據가 없다. 또한 네네가 이에야스에게 加勢하라고 했다며, 아사노 요시나가 가 히데아키를 說得하는 便紙가 남아있다고도 하는데 이 또한 事實과는 다르다. 이 便紙에는 요시나가가 “우리들은 高多이인님(=네네)를 위해 움직이고 있다.”라고 적혀 있을 뿐이며, 그저 背反을 勸誘하는 便紙에 지나지 않는다.
  • 고바야카와 히데아키 가 鉏君側을 배반한 原因에 對한 說 中에는 이런 것도 있다. 히데아키는 네네를 사랑하고 있었지만 네네는 親조카인 히데아키보다 養女인 高히메 와 그女의 男便인 우키타 히데이에 를 더 아꼈으며, 이를 嫉妬한 것이 背反에 對한 한가지 理由가 된다는 것이다. 그 설에 對한 傍證으로, 히데요시가 네네에게 “히데아키를 그다지 귀여워하지 않는 듯 한데, 親姑母인 네가 귀여워해주지 않으면 어떡하느냐”라며 叱咤한 便紙가 現存하고 있다. 히데아키 쪽은 平生 네네를 우러르고 있던 듯하며, 세키가하라 戰鬪 後 네네에게 돈을 빌려주겠다고 提議했다는 記錄도 있다. 네네는 이를 不快하게 생각하면서도, 어쩔 수 없이 빌렸다는 技術이 《본슌닛키》에 남아 있다.

이름에 對한 論爭 ("네네"인가 "오네"인가) [ 編輯 ]

이름에 對해서는 쭉 ' 네네' 로 불려왔지만, 쇼와 時代 의 日本史學者 구와타 다다치카 가 기타노만도코로의 自筆 便紙 署名이 ‘네’(ね) 한 글字라는 것을 理由로 그女의 이름은 元來 였다고 主張했다(통칭으로는 接頭語 ‘오’(於)가 붙어서 오네 가 된다). 따라서 ‘네네’는 《 다이코키 》 等에 依한 傲氣라는 說을 提唱했다. 이에 對해 女性 이름 硏究者로 名聲이 藉藉한 쓰盧다 分에이 는 다음과 같이 反論했다.

  • 當時의 女性이 自筆 便紙에 이름의 첫글字로만 署名하는 것은 흔한 일이었다. 호소카와 街라샤 (아케치 다마 )의 便紙에는 ‘ ’(た) 한 글字만 적혀있고, 도쿠가와 히데타다 의 情實 스겐인 (이름은 )이 언니 兆코인 에게 보낸 便紙에도 ‘ ’(五) 한 글字만 署名되어 있다. 때문에 署名이 한 글字인 것을 根據로 이것이 本名이었다고는 斷定할 수 없다.
  • 가마쿠라 時代 에서 에도 時代 까지의 女性의 이름을 最大限 調査해 모아봤지만, 라는 한 글字 이름은 單 한 사람도 存在하지 않는다. 한便 네네 라는 이름은 가마쿠라 時代 서부터 存在하며, 매우 頻繁히 使用된 이름이다. 같은 時代만 하더라도 구로다 나가마사 ? 스와 料理時게 ? 마에다 都市쓰네 ? 嬾夫 나오마사 等의 夫人 이름에서 수많이 發見된다. 이렇게 볼 때 이름은 ‘네’가 아닌 ‘네네’ 쪽이 자연스럽다고 생각된다.

덧붙여서, NHK NHK大河드라마 에서는 高다이인이 처음 登場한 1965年 의 《 다이코키 》 以後 오랫동안 ‘네네’가 使用되어 왔지만, 1996年 의 《 히데요시 》 以後로는 2006年 의 《 共鳴의 갈림길 》을 除外한 모든 드라마에서 '오네'라는 呼稱이 使用되었다.

家計 [ 編輯 ]

그 外 [ 編輯 ]

  • 最近 교토 히가시야마 고다이지 周邊에 있는 人氣 觀光地를 徒步로 잇는 參拜로가 整備되었다. 이 參拜로는 네네의 길 이란 愛稱으로 사랑받고 있다.
  • 나고야에서는 노부나가 ? 히데요시 ? 이에야스 를 ‘ 三營걸 ’이라 부르며, 每年 10月 上旬의 나孤兒 마쓰里 에서는 세 英걸로 扮裝한 사람이 登場하는 퍼레이드(鄕土英傑行列)가 行해진다. 여기서 히데요시의 相對役 女性은 오랫동안 ‘ 尿道逃奴 ’였었다(노부나가의 相對는 ‘ 老히메 ’, 이에야스의 相對는 ‘ 센히메 ’). 하지만 이것도 最近에는 ‘네네’로 變更되었다. 여기서도 알 수 있듯 地域 內에서도 네네의 歷史的 評價는 以前보다 높아지고 있다.
  • 現在 그女의 遺骨은 고다이지 英妙의 高다이인 木商 아래 묻혀있다.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

  • 山陽新聞社《ねねと木下家文書》
  • 跡部信《高台院と豊臣家》
  • 津田三?《北政所―秀吉歿後の波瀾の半生》
  • 田端泰子《北政所寧子論》
  • ?書房《北政所おね》
  • 福田千鶴《淀殿》

關聯 作品 [ 編輯 ]

映畫 [ 編輯 ]

TV 드라마 [ 編輯 ]

日本
韓國

各州 [ 編輯 ]

  1. 태어난 해에 對해서는 그 外 1548年 , 1549年 等 여러 說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