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예프 루스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루스國
Р??сьска? земл?

882年 ~ 1240年
문장
文章
수도 키예프 北緯 50° 27′ 00″ 東京 30° 31′ 24″  /  北緯 50.4500° 東京 30.523333°  / 50.4500; 30.523333
政治
政治體制 君主制
工作 / 對共
882年 ~ 912年
914年 ~ 945年
945年 ~ 963年
963年 ~ 972年
980年 ~ 1015年
1016年 ~ 1054年
1113年 ~ 1125年
1236年 ~ 1240年

올레크 베시 (初代)
이고리 流離코비치
올가
스뱌토슬라프 1歲
블라디미르 1歲
야로슬라프 1歲
블라디미르 2歲 모노마흐
미하일 프歲볼로圖비치 (말대)
王朝 流離코비치
立法府 베體
歷史
 ? 建國 882年
 ?  正敎會 의 國交化 988年
지리
位置 東유럽
面積 1,330,000 km2
人文
共通語 古代 洞슬라브語
데모님 루스人
民族
人口
1000年 어림 5,400,000名 [1]
經濟
通話 그리브나
宗敎
國校 東方 正敎會 (988年 以後)
其他 宗敎 슬라브 異敎
노르드 異敎
우랄 異敎
기타
現在 國家 러시아의 기 러시아
우크라이나의 기 우크라이나
벨라루스의 기 벨라루스
以前 國家
다음 國家
노브고로드 루스
폴라츠크 公國
체르니히우 公國
페레野슬라우 公國
스몰렌스크 大公國
랴잔 大公國
키예프 公國
노브고로드 共和國
블라디미르 大公國
트베리 大公國
갈리치아-볼히니아

루스國 ( 古代 洞슬라브語 : Р??сьска? земл? 루스카야 제믈랴 ), 또는 키예프 루스 ( 러시아語 : Ки?евская Русь 키옙스카야 루시 [ * ] , 우크라이나語 : Ки?вська Русь 키이우스카 루시 [ * ] , 벨라루스어 : К?е?ская Русь 키禮遇스카야 루시 )는 882年부터 1240年까지 오늘날 東유럽 地域의 키이우 를 中心으로 우크라이나 , 러시아 , 벨라루스 一帶에 存在했던 루스人 들의 國家이다.

歷史 [ 編輯 ]

初期(882年 ~ 964年) [ 編輯 ]

키예프 루스의 前身은 루스 카간國 의 마지막 카간이자 류리크 王朝 의 始祖인 류리크 가 862年에 오늘날 노브고로드 에 建設한 公國인 노브고로드 루스 로, 原初 年代記 에 依하면 秋드인, 드레블랴네인 , 메레人, 벱스인, 크리비治人들이 루스人 들을 내쫓고 스스로 統治하려 하였으나 그 後 部族들이 서로 싸우기 始作하였기 때문에 秩序를 잡기 爲해 다시 루스人들을 부르게 되었고 루스人들의 首長인 류리크가 노브고로드에 定着하게 되면서 形成되었다고 한다.

以後 류리크의 後繼者인 올레크 베시 드니프르江 流域이 적합하다고 判斷하고 노브고로드 公領 의 首都를 노브고로드에서 키이우 로 옮김으로서 키예프 루스가 形成되었다. 그後 올레크 베시 는 키이우와 隣近에 있던 여러 동슬라브族 들의 領土를 征服해 나가면서 勢力을 擴張했고 東로마 帝國 遠征에 直接 나서기도 했으며, 907年에는 東로마 帝國과 通商 條約을 締結하였다. 912年 올레크 베시가 死亡하자 류리크의 아들이자 키예프의 올가 의 男便인 이고리 流離코비치 키예프 大公 으로 卽位하였다.

이고리 流離코비치 는 올레크 베시의 東로마 帝國 遠征을 이어받아 941年부터 944年까지 東로마 帝國 遠征에 나섰으며 945年에는 東로마 帝國과 平和 條約을 締結했지만 條約을 締結하고 돌아오던 途中에 키예프 루스의 過度한 稅金 納付 政策에 反感을 가졌던 드레블랴네인들에 依해 殺害당했다. 當時 이고리 流離코鼻値의 아들인 스뱌토슬라프 1歲 는 너무 어렸기 때문에 이고리 流離코鼻値의 아내인 올가 가 代身하여 키예프 大公國을 攝政 統治하였다. 올가는 男便인 이고리 流離코鼻値를 殺害한 드레블랴네인들을 膺懲하였으며, 957年에 正敎會 로 改宗하여 루스 地域의 첫番째 正敎會 信者가 되었다 .

中企(964年 ~ 1054年) [ 編輯 ]

成年이 된 스뱌토슬라프 1歲 는 키예프 루스를 本格的으로 統治하기 始作하였다. 스뱌토슬라프 1世는 965年부터 軍事 遠征에 나서기 始作했는데, 于先 볼가江 流域에 居住하던 遊牧民인 볼가 不可르 를 服屬시켜 볼가 一帶의 貿易路를 掌握하였고, 하자르 카간國 을 攻擊하여 勢力을 크게 약화시켰으며, 발칸半島 불가리아 第1帝國 을 攻擊하는 等 키예프 루스의 勢力을 擴張해 나갔다. 972年에 스뱌토슬라프 1世가 불가리아 遠征 途中에 死亡하자 야로폴크 1歲 가 그 뒤를 이었지만, 980年에 블라디미르 1歲 의 叛亂에 依해 야로폴크 1世는 殺害되었다.

그 後 政權을 掌握한 블라디미르 1世는 키예프 루스의 國境 地帶에 있던 동슬라브族 발트족 , 핀족 等의 여러 不足을 征伐하였다. 同時期에 東로마 帝國 의 皇帝인 바실리오스 2歲 가 軍隊의 叛亂으로 危機에 處하면서 키예프 루스에 支援을 要請하자 블라디미르 1世는 바실리오스 2世의 女同生인 안나와 結婚하는 條件을 내걸었고, 바실리오스 2世가 이를 水落瑕疵 블라디미르 1世는 바실리오스 2世에게 後날 바랑起亞 親衛隊 의 全身이 되는 約 6千 名의 바랑기아人 傭兵들을 보내주었으며, 블라디미르 1世는 約束대로 東로마 帝國의 바실리오스 2世 皇帝의 女同生인 안나와 結婚하였다. 以後 안나의 影響으로 正敎會 로 改宗한 블라디미르 1世는 989年에 正敎會를 키예프 루스의 國敎로 宣言 하면서 東로마 帝國의 先進 文物들을 受容하였으며, 同時에 孫女들을 프랑스 王國 , 헝가리 王國 , 노르웨이 王國 의 王들에게 시집보내는 等 西유럽 國家들과도 많은 關係를 維持하였다. [2]

블라디미르 1歲 死後에는 야로폴크 1世의 아들인 스뱌토폴크 1世가 王位를 繼承하였다. 스뱌토폴크 1世는 블라디미르 1歲가 正敎會를 國敎로 宣言한 以後 正敎會를 믿던 거의 大部分의 루스人 들과 달리 로마 가톨릭 을 믿던 폴란드 王國 出身의 아내를 둔 影響으로 正敎會가 아닌 로마 가톨릭 을 믿고 있었으며, 自身의 權力을 確固히 하기 위해 自身의 동생들인 보리스와 글렙을 殺害하였다. 이로 因해 스뱌토폴크 1世는 民心을 잃었고, 結局 스뱌토폴크 1世는 1018年 바랑기아人 傭兵을 主軸으로 叛亂軍을 일으킨 야로슬라프 1世에 依해 殺害되었다. 以後 키예프 大公 으로 卽位한 야로슬라프 1世는 키예프 루스의 最全盛期를 이끌었는데, 그는 키예프 루스의 國力을 向上시켰으며, 東슬라브人 들의 慣習法들을 整理하여 만든 동슬라브族 最初의 成文法戰人 《루스카야 프라우다》를 編纂하였다. 또한 야로슬라프 1世는 키이우 에 大規模의 情敎會 聖堂인 스뱌토고소피아 大聖堂 을 建立하는 等 建築 方面에서도 큰 業績을 남겼다.

後記(1054年 ~ 1240年) [ 編輯 ]

야로슬라프 1歲 가 죽은 後 1095年에 十字軍 戰爭 이 일어나 베네치아 共和國 을 통한 仲介 貿易이 活性化되고 볼가江 을 통한 仲介 貿易이 漸次 衰退하기 始作하면서 키예프 루스 또한 衰退하기 始作해 半世紀도 지나지 않아 류리크 王朝 의 分割相續制에 依해 여러 群小 公國으로 分裂되기 始作하였으며, 1095年에는 黑海 의 遊牧民族인 쿠만族 의 侵略으로 인해 首都인 키예프 가 掠奪當했다. [2] 1113年에 키예프 大公 으로 卽位한 블라디미르 모노마흐 블라디미르 等의 新都市를 建設하는 等 內治를 안정시키는 한便, 키예프 루스를 威脅하던 쿠만人 을 征伐하는 等 軍事 活動에도 힘을 쏟으면서 키예프 루스는 暫時나마 中興期에 접어들었다. 그러나 블라디미르 모노마흐 事後 키예프 루스는 다시 衰退하기 始作하였고, 12世紀 中盤에 이르면서 키예프 루스는 노브고로드 共和國 , 폴라츠크 公國 , 블라디미르 大公國 , 랴잔 大公國 , 갈리치아-볼히니아 , 스몰렌스크 大公國 , 페레野슬라우 公國 , 체르니히우 公國 等의 류리크 王朝 出身의 諸侯들이 다스리는 여러 公國들로 分裂되어 亂立하면서 事實上 이름만 남은 狀態가 되며 1237年부터는 킵차크 칸國 의 侵攻이 始作되면서 노브고로드를 除外한 거의 大部分의 루스 公國들이 킵차크 칸國에 占領되었으며, 結局 1240年에 首都인 키이우 가 陷落되면서 키예프 루스는 滅亡하였다.

社會와 經濟 [ 編輯 ]

루스族들은 基督敎가 社會에서 强大한 힘을 갖기 以前까지 슬라브족들한테 苛酷한 支配를 强要했으며 슬라브족은 些少한 理由로도 奴隸로 轉落할 수 있었다. [3] 그리고 루스族과 가까운 게르만 同族은 슬라브족한테 끔찍한 짓을 해도 가벼운 處罰을 받았던 時節이 있었다. [4] 前近代 以前부터 初期 루스 社會와 國家는 슬라브 奴隸를 基盤으로 建設되었다고 記錄되기도 했다.

스뱌토슬라프 1歲 黑海 스칸디나비아半島 를 連結하는 강인 볼가江 을 掌握한 後에 키예프 루스는 볼가江 을 통한 仲介 貿易으로 蕃盛하였는데, 周邊 交易國들人 東로마 帝國 , 스칸디나비아半島 , 이슬람 帝國 蜜蠟 , , 毛皮 , , 貴金屬 , 武器 , 甲옷 , 奴隸 等을 輸出하고 이들 國家로부터 各種 銅錢 들을 輸入하는 方式의 仲介 貿易을 통해 많은 富를 創出하였으며, 이 仲介 貿易을 主導하는 商人들의 社會的 地位는 自然스레 上昇하게 되었다. 黑海 와 가까운 키이우 스칸디나비아半島 와 가까운 노브고로드 는 이러한 仲介 貿易의 中心地였다. 러시아에 進出한 바이킹이나 루스族 支配者들은 슬라브족 奴隸를 輸出하였으며 슬라브족 奴隸는 그들의 經濟를 繁榮하게 했던 主要 輸出品이었다. [5] [6] [7] [8] 나중에는 루스族의 好意를 얻은 슬라브족 指導層도 루스族과 함께 슬라브족을 奴隸로 팔았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Б.Ц.Урланис. Рост населения в Европе (PDF) (러시아語). 89쪽.  
  2. 지오프리 파커 (2004). 《아틀라스 世界史》 2板. 四季節. 64쪽.  
  3. translator., Vernadsky, George, 1887-1973, (1979). 《Medieval Russian laws》 . Octagon Books. ISBN   0-374-98075-6 .  
  4. Hellie, Richard. 《Slavery and Serfdom in Russia》 . Oxford, UK: Wiley-Blackwell. 105?120쪽.  
  5. 《The Russian Primary Chronicle (1040-1118)》 . Duke University Press. 2010. 66?69쪽.  
  6. Jacqueline., Simpson, (1987). 《Everyday life in the Viking age》 . Dorset Press.  
  7. G., Moss, Walter (2005). 《A history of Russia.》 . Anthem. ISBN   978-0-85728-752-6 .  
  8. 1925-, Dmytryshyn, Basil, (1973). 《Medieval Russia : a source book 900-1700》 . Dryden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