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7年부터 韓國蹴球 K리그1부터 7部까지 勝强制 完成|東亞日報

2027年부터 韓國蹴球 K리그1부터 7部까지 勝强制 完成

  • 뉴시스
  • 入力 2024年 3月 28日 13時 59分


코멘트

K리그2↔K3리그, K4리그↔K5리그 간 壁 허물어

ⓒ뉴시스
프로蹴球 K리그부터 세미프로, 아마추어까지 아우르는 韓國 蹴球 昇降제가 2027年부터 完成된다.

대한축구협회는 “2部리그(K리그2)와 3部리그(K3리그) 間 勝强制를 實施하기로 한국프로축구연맹과 最近 合意했다. 2026年 시즌 成跡을 基準으로 2027年 昇格과 降等팀이 定해진다”고 28日 밝혔다.

이어 “4部(K4리그)와 5部(K5리그) 間 勝强盜 同時에 實施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現在 國內 蹴球는 프로(K리그1·K리그2) 間, 세미프로(K3·K4리그) 間, 아마추어(K5·K6·K7리그) 間에만 昇降제가 實施되고 있다.

프로리그 1~2部 間 勝强制는 10年 以上 施行돼 왔고, K3리그와 K4리그 간 勝强制는 2021年부터 導入됐다.

K5~K7리그는 2020年부터 自體 勝强制를 導入했다.

세 單位로 分離된 成人 리그는 2027年부터 하나로 묶어 穩全한 昇降제가 實現된다.

蹴球協會는 “프로蹴球 1部리그부터 同好人 蹴球人 7部리그까지 韓國 聖人 蹴球 全體의 承康 시스템이 3年 뒤에 事實上 完成될 豫定이다. 프로蹴球가 처음 出帆한 1983年 以後 44年 만에 勝强制를 構築하게 됐다”고 傳했다.

이어 “勝强制 全面 施行을 위해 協會와 프로聯盟은 最近 몇 年 동안 協議를 持續해왔다. 核心 課題였던 2部와 3部 間의 勝强制 施行을 놓고 兩側이 조금씩 異見을 좁힌 끝에 合意에 이르게 됐다”고 덧붙였다.

다만 K3리그 팀이 K리그2로 昇格하려면 프로聯盟이 定한 K리그 클럽 라이선스를 取得한 狀態에서 優勝해야 한다.

K리그 클럽 라이선스는 競技場 施設, 事務局 人力 規模, 幼少年팀 育成 等 여러 部門에서 프로팀으로서 갖춰야 할 基本 條件을 定해 놓은 것이다.

萬若 K3리그 球團이 K리그 클럽 라이선스를 取得하지 못해 昇格하지 못한다면 K리그2에서 K3리그로의 降等도 이뤄지지 않는다.

K리그2 最下位 팀과 3部리그 最上位 팀 間의 承康 플레이오프를 할지, 아니면 플레이오프 없이 리그 順位만으로 自動 昇降이 이뤄질지 等은 協會와 聯盟이 더 協議해 나가기로 했다.

세미프로리그와 아마추어리그 간 勝强盜 2027年부터 施行된다.

2026시즌 K5리그 1, 2位 팀이 K4리그 클럽 라이선스 取得 條件까지 滿足할 境遇 다음 시즌 K4리그로 昇格한다.

다만 K4리그 팀의 降等은 限時的으로 猶豫된다.

蹴球協會는 “K4리그 팀 數의 擴大와 現在 세미프로인 K4리그와 同好人 選手들이 뛰는 K5리그의 環境差異를 考慮해 一時的으로 降等은 保留한 것”이라고 說明했다.

蹴球協會와 프로聯盟은 프로蹴球 市場 擴大를 위해 2027年 以後에도 人口 50萬 以上 地自體나 國內 100代 以內 企業이 프로球團을 直接 創團할 境遇, 곧바로 K리그2에 進入을 許容하는 例外 條項 等 ‘패스트 트랙 規定’을 두기로 했다.

또 K4리그의 擴大 및 基盤强化를 위해 2027年 以後에도 當分間 K4 클럽라이선스를 取得하는 新生팀은 K5리그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K4리그에 參加할 수 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