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볼래오름-영실은 ‘佛敎文化의 名所’… 海岸가는 원당봉 꼽아|동아일보

볼래오름-영실은 ‘佛敎文化의 名所’… 海岸가는 원당봉 꼽아

  • 東亞日報
  • 入力 2021年 5月 3日 03時 00分


코멘트

濟州의 ‘오름이야기’ <5> 査察


한라산국립공원 볼래오름의 중턱에 자리 잡은 존자암은 조선시대 국성재를 지낼 정도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던 사찰로, 폐사된 후 한동안 기록에만 남아 있다가 발굴조사를 거쳐 새롭게 건립됐다. 발굴조사 당시 기와, 도자기, 건물터 등을 분석한 결과 존자암은 14∼17세기까지 존재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임재영 기자 jy788@donga.com
漢拏山國立公園 볼래오름의 中턱에 자리 잡은 尊者癌은 朝鮮時代 國성재를 지낼 程度로 重要한 位置를 차지했던 寺刹로, 斃死된 後 한동안 記錄에만 남아 있다가 發掘調査를 거쳐 새롭게 建立됐다. 發掘調査 當時 기와, 陶瓷器, 建物터 等을 分析한 結果 尊者癌은 14∼17世紀까지 存在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임재영 記者 jy788@donga.com

지난달 25日 漢拏山國立公園 令室探訪路 賣票所 駐車場에 들어서니 探訪路와 다른 方向에 ‘尊者巖地’라고 적힌 牌말과 立看板이 눈길을 끌었다. 立看板 옆으로 난 오솔길을 따라 걷다 보니 1km假量 緩慢한 오르막길 끝에 雅淡한 査察이 자리하고 있었다. 漢拏山 河川은 大部分 平素에는 말라 있는 乾川(乾川)인데 寺刹 옆 개울에서 졸졸 흐르는 시냇물 소리가 시원하게 느껴졌다. 大雄殿 建物을 지나 傾斜面 윗部分에 石鐘 模樣의 不渡(濟州島 有形文化財 第17號)가 있었다. 투박한 玄武巖 材質의 蓮꽃 模樣이 정겹게 다가왔다.

이 寺刹은 朝鮮時代 國성재(國聖齋·나라의 興盛을 祈願하는 祭祀)를 지낼 만큼 位相이 컸던 ‘尊者癌(尊者庵)’이 있었던 곳이다. 濟州大博物館이 發掘調査를 한 뒤 現在의 大雄殿, 國성재 建物 等이 들어섰다. 1992年과 1996年 發掘調査 當時 기와, 陶瓷器, 建物터 等을 分析한 結果 尊者癌은 14∼17世紀까지 存在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不渡는 高麗 末이나 朝鮮時代 初期 製作된 것으로 推定됐다.

史料를 보면 朝鮮時代 管理와 선비들은 漢拏山을 탐방할 때 大部分 尊者癌을 들른 것으로 나온다. 홍유손(1431∼1529)李 1507年에 지은 ‘尊者癌개구유人文’에는 ‘尊者癌은 비보所로 이름이 世上에 난 지 오래다. 陰曆 4月 吉日을 잡아 세 邑의 首領 中 한 사람을 뽑은 다음 庵子에서 祭祀를 지내게 하고 이를 國성재라 하였다’는 記錄이 있다. 林悌(1549∼1587)가 1578年 쓴 濟州 遊覽氣人 남명소승 等에도 尊者癌에 머물렀다는 內容이 있다.

● 佛敎文化의 名所 오름

이 尊者癌을 품은 오름이 볼래오름(해발 1280m)이다. 볼래오름은 部處가 왔다는 意味를 담고 있는 ‘불래惡(佛來岳)’으로 불리기도 했다. 볼래오름에서 漢拏山 方向으로 屛風바위, 五百將軍 等과 巨大한 噴火口 長官이 펼쳐지는 令室이다. 1960年代 令室에 庵子를 세웠던 한 스님은 “令室 名稱은 部處가 古代 印度에서 說法했던 靈山會랑 또는 靈鷲山에서 由來했으며 屛風바위人 柱狀節理 기둥은 부처의 弟子인 1250名을 뜻한다는 主張도 있다”며 “볼래오름과 令室噴火口 一帶는 濟州地域 代表的인 佛敎文化 名所”라고 말했다.

볼래오름, 令室이 山岳地帶 寺刹의 代表的인 오름이라면 海岸가에서는 제주시 삼양동 원당봉을 꼽을 수 있다. 高麗時代 원당사가 있었던 것으로 推定되는 원당봉 中턱 터에 5層石塔(寶物 第1187號)李 고즈넉하게 자리하고 있다. 안상(眼象·무늬곽) 內部에 彫刻한 솟아오른 꽃은 高麗時代 塔에서 흔히 보이는 特徵으로, 濟州에서 直接 만든 玄武巖 材質 石塔이란 點이 學術的으로 價値가 크다.

원당사는 元나라 皇室에 貢女(貢女·貢物로 바쳐진 女子)로 끌려갔다가 元 順帝의 皇妃가 된 기황후가 太子를 낳기 위해 創建한 査察이라는 이야기가 傳해지는데 文獻 考證이나 唯物的 根據는 없다. 하지만 법화사, 受精師와 함께 원당사는 元나라가 高麗 末 耽羅를 直接 支配할 時期에 세워진 重要 寺刹이었다. 원당사 터에 새로운 寺刹인 佛塔社(曹溪宗)가 들어섰고 噴火口에는 원당사(태고종), 門講師(天台宗)도 세워졌다. 由緖가 깊어서인지 寺刹들이 원당봉에 자리를 잡은 것이다.

● 高麗時代부터 蕃盛한 佛敎

지난해 末 基準 濟州地域 佛敎 施設은 293곳에 이른다. 濟州는 예로부터 ‘黨 五百, 節 五百’이라는 말이 내려올 程度로 佛敎文化와 因緣이 깊다. 濟州에 査察이 처음 들어선 記錄은 아직까지 나오지 않았지만 三國時代, 統一新羅時代부터 寺刹이 있었을 것으로 推定된다.

오성 濟州佛敎史硏究會長은 “高麗 八關會에 耽羅國이 방물을 바쳤다는 記錄이 나오고 高麗 文宗 11年(1057)에는 內陸의 査察 創建을 위한 伐木과 照映에 耽羅民이 動員되기도 했다”고 말했다. 相當數 奴婢를 거느릴 程度로 隆盛했던 寺刹은 朝鮮時代 崇儒抑佛 政策으로 衰退期를 맞았다. 이형상(1653∼1733)은 濟州牧使로 있으면서 新黨(神堂)과 査察을 없앴다는 記錄을 남기기도 했다. 彈壓의 時期를 지나 日帝强占期에 濟州에서 佛敎 再建과 함께 査察이 續續 들어서기 始作했다가 1948年 勃發한 ‘濟州 4·3事件’으로 査察 35곳이 焦土化되는 等 暗黑期를 맞았다. 當時 確認되지 않은 寺刹 被害도 수두룩한 것으로 推定된다.

● 査察 立地에 風水地理 重視

제주시 삼양동 원당봉에는 고려 말 중요 사찰인 원당사 터와 함께 5층석탑(보물 제1187호)이 자리 잡고 있다. 원당사 터에는 조계종인 불탑사가 세워
진 후 부근에 원당사(태고종), 문강사(천태종) 등이 들어섰다. 임재영 기자 jy788@donga.com
제주시 삼양동 원당봉에는 高麗 末 重要 寺刹인 원당사 터와 함께 5層石塔(寶物 第1187號)李 자리 잡고 있다. 원당사 터에는 曹溪宗人 佛塔社가 세워 진 後 附近에 원당사(태고종), 門講師(天台宗) 等이 들어섰다. 임재영 記者 jy788@donga.com
1960年代 以後 査察이 再建되거나 새로 만들어지면서 오름에 자리를 잡는 事例가 많아졌다. 朝鮮後期 禪僧인 초의선사(1786∼1866)가 머물렀던 곳으로 記錄된 산방굴사가 있는 서귀포시 安德面 山房山 周邊에는 5곳의 査察이 새로 들어섰다. 紗羅峯, 베릿네오름, 可視바위, 認定오름, 派軍鋒, 水産峯, 고내봉, 斷産, 土産鳳 等에도 査察이 입지했다.

오름에 立地한 理由는 于先 ‘바람을 감추고, 물을 얻는다’는 장풍得水(藏風得水)의 風水地理가 밑바탕에 깔려 있다는 分析이다. 물, 方向, 사람 等을 組合해 左靑龍 右白虎, 背山臨水 等의 風水的 判斷과 함께 氣(氣) 흐름을 따라 査察 터를 잡았다는 것이다. 존자암이 背山臨水 形勢이고 漢拏山 골머리오름의 天王祠 亦是 옆으로 溪谷물이 흘러내리는 곳에 자리했다. 山속人 탓에 물을 얻을 수 있는지가 査察 터를 定하는 데 重要한 要因이기도 했다.

다만 査察 風水는 一般 風水와 조금 다른 樣相을 보였다 一般 風水가 산 者를 爲한 陽宅(陽宅), 죽은 者를 爲한 陰宅(陰宅)을 區分하는 反面 査察 風水는 陰宅과 陽宅을 나누지 않는다. 사람과 自然의 調和를 于先 判斷하고 遂行하는 데 적합한지를 본다는 것이다.

華嚴經, 妙法蓮華經 等에서 描寫하는 極樂이나 菩薩이 常住하는 곳을 査察 立地로 볼 수 있는데, 시냇물이 흐르고 樹木이 있는 골짜기와 숲, 疏通이 잘 되는 바른 길이 있는 곳 等이 條件이다.

윤봉택 한국예총 西歸浦支會長은 “査察 터를 定할 때 交通이나 費用 等을 勘案하기는 하지만 무엇보다 基(氣)를 重要視한다”며 “氣가 强한 곳에 들어서야 査察이 隆盛해진다는 이야기가 傳해지지만 精進遂行과 佛者의 精誠 等도 重要한 要因이었다”고 말했다.

임재영 記者 jy788@donga.com
#볼래오름 #佛敎文化 #오름이야기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