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철다툼을 벌이는 봄꽃들의 饗宴[손진호의 只今 우리말글]|東亞日報

철다툼을 벌이는 봄꽃들의 饗宴[손진호의 只今 우리말글]

  • 東亞닷컴
  • 入力 2021年 4月 4日 07時 42分


코멘트
박경모 기자 momo@donga.com
박경모 記者 momo@donga.com
속속들이 봄의 한복판이다. 봄꽃들의 이어달리기에 ‘꽃멀미’가 날 程度다. 冬柏이 梅花에 바통을 넘기는가 싶더니 어느새 100年 만에 가장 일찍 開化한 벚꽃이 탐스러운 姿態를 뽐낸다. 이에 질세라, 南녘에서부터 올라온 진달래가 山野를 붉게 물들인다. 하나같이 철겨움을 容納하지 않겠다는 듯 ‘철다툼’을 벌인다. 철겨움은 製鐵에 뒤져 맞지 않은 걸 말한다.

몇 年 前 TV 코미디 프로그램에서 ‘一等만 記憶하는 더러운 世上!’이라는 말이 流行했다. 꽃도 이런 人間事를 닮아가는 듯싶다. 間髮의 差로 흐드러지게 피어 봤자 들러리임을 알고 있는 것이다. 그러니 허름한 담벼락이라도 먼저 꽃망울을 터뜨리려 안간힘을 다하는 것 아닐까. 마치 저절로 삶이 열리는 게 아님을 證明이라도 하려는 듯이. 그나저나 봄바람이 살랑 불기만 해도 脈없이 꽃잎을 떨구는 게, 철不知 어린아이를 보는 듯 영 안쓰럽다.

‘꽃을 단’ 예쁜 우리말이 많다. ‘꽃눈’, ‘꽃보라’, ‘꽃멀미’, ‘꽃잠’ 等이 그렇다. 잠깐 동안 눈이나 비가 꽃잎처럼 가볍게 흩뿌리듯이 내리면 꽃눈, 꽃비다. 꽃보라는 떨어져서 바람에 날리는 많은 꽃잎을 말한다. 꽃보라가 날리는 들판을 걷다 보면 꽃香氣에 醉해 어찔어찔해진다. 이게 꽃멀미이다. 함께 만들고 모두 누리는 웹事前 우리말샘에 올라 있는 ‘꽃大闕’은 꽃이 아름답고 華麗하게 핀 模樣이 마치 大闕과 같음을 이르는 말이다.

또 있다. 思春期에 솟아나는 기운을 ‘꽃기운’이라고 하고, 스무 살 안팎의 한창 젊은 나이를 芳年(芳年) 또는 妙齡(妙齡)이라고 한다. 純우리말로는 ‘꽃나이’다. ‘꽃노을’은 고운 色깔로 붉게 물든 노을이다. 꽃물은 곰국이나 설렁湯 따위의 고기를 삶아 내고 아직 맹물을 타지 않은 津한 국물이나, 일의 緊한 고빗사위를 뜻한다. 고빗사위는 그러니까, 매우 重要한 段階나 대목 가운데서도 가장 아슬아슬한 瞬間을 말한다. ‘꽃잠’은 ‘깊이 든 잠이나, 結婚한 新郞 新婦가 처음으로 함께 자는 잠’을 말한다. ‘첫날밤’ 뜻풀이에 漢字語 草野(初夜)가 같은 말로 올라 있는데, 꽃잠도 넣어주는 게 좋을 듯싶다.

‘꽃발’이라는 재미난 낱말도 있다. 짐승이 잠잘 곳이나 숨을 곳을 찾아갈 때 다른 짐승이나 사람에게 들키지 않으려고 길을 빙빙 둘러서 가는 걸 말한다.

말맛이 좋아선지 文學的 表現에 자주 나타나는 ‘벙그러지다’는 ‘벙글어지다’가 올바른 表記다. ‘아직 피지 아니한 어린 꽃봉오리가 꽃을 피우기 위해 망울이 생기다’를 뜻하는 ‘벙글다’에 補助動詞 ‘(-어)지다’가 붙은 것이다. 그런데 바른말 ‘벙글어지다’도 잘못 쓰는 일이 많다. 많은 사람이 ‘벌어지다’와 같은 뜻의 말로 생각해 활짝 핀 꽃을 보고 ‘벙글어지다’라고 하는 것이다. 벙글다의 뜻풀이에서 알 수 있듯 ‘벙글어지다’는 꽃이 피어 있는 狀態가 아니라 꽃망울이 생긴 것을 뜻한다.

異常 氣候로 철다툼을 벌이는 봄꽃이 안쓰러우면서도 꽃香氣에 醉한 요즘, 幸福하기만 하다. 어쩌면 나도 영락없는 철不知인가 보다.

손진호 어문기자 songbak@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오늘의 推薦映像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