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强化 喬桐島 대룡마을의 ‘제비 名當’[안영배의 都市와 風水]|東亞日報

强化 喬桐島 대룡마을의 ‘제비 名當’[안영배의 都市와 風水]

  • 東亞日報
  • 入力 2021年 2月 12日 11時 00分


코멘트

○江南 갔던 제비가 대룡마을을 찾는 까닭은
○興夫傳에 나타난 ‘놀부 凶黨’과 ‘興夫 名當’

화개사와 소나무: 화개산 자락에 자리잡은 화개사는 수령 200년의 소나무로 유명하다. 고려의 충신 목은 이색이 전국 8대 명산중 하나로 화개산을 꼽을 정도로 산과 바다 경치가 아름답다.
화개사와 소나무: 花開山 자락에 자리잡은 화개사는 樹齡 200年의 소나무로 有名하다. 高麗의 忠臣 목은 李穡이 全國 8代 名山中 하나로 花開山을 꼽을 程度로 山과 바다 景致가 아름답다.


江南 갔던 제비가 다시 돌아오는 봄이다. 덩달아 仁川 江華郡 喬桐島 대룡마을(교동면 대룡리) 市場 商人들의 마음도 바빠지고 있다. 제비들이 찾아와 便히 머물 수 있도록 周邊 環境을 손질하기 爲해서다. 해마다 어김없이 찾아오는 제비들 德分에 觀光 名所로 이름난 이곳에서는 當然히 제비가 ‘福을 가져다주는’ 吉鳥(吉鳥)로 待接받는다.

대룡마을은 觀光客들을 위한 案內所人 ‘校洞제비집’을 運營하고 있다. 이곳에서는 대룡마을의 歷史와 마을 象徵인 제비들의 事緣을 들을 수 있다. 구불구불 골목길을 따라 形成된 대룡市場에는 둥지거리, 第飛距離, 와글와글거리 等 제비를 聯想시키는 골목 이름들이 눈길을 끈다. 이 골목거리를 따라 1960~70年代 場面들이 追憶의 映畫처럼 펼쳐진다. 鷄卵을 동동 띄운 쌍화茶를 파는 다방, 校服을 입고 寫眞을 찍을 수 있는 寫眞館, 90歲 넘은 老人이 數 十 年째 運營해온 藥房 等이 자리 잡고 있다. 골목길을 따라 이곳저곳으로 늘어선 店鋪 처마 밑으로 제비 둥지들을 찾아내는 재미도 느낄 수 있다.

제비 둥지를 보살피고 있는 대룡시장 상인. 관광객들이 제비를 근접 촬영하면 스트레스를 받은 어미가 새끼를 내다버린다면서 주의를 당부한다.
제비 둥지를 보살피고 있는 대룡市場 商人. 觀光客들이 제비를 近接 撮影하면 스트레스를 받은 어미가 새끼를 내다버린다면서 注意를 當付한다.
이 마을이 제비로 有名해진 데는 事緣이 있다. 마을 中心 商圈인 대룡市長은 6·25戰爭 直後 黃海道 延白郡에서 喬桐島로 暫時 避身해온 사람들의 根據地가 됐다. 不過 3km 안팎 距離의 두 地域이 南北 分斷으로 往來가 끊겨버리자 집으로 돌아갈 수 없게 된 鉛白 出身들은 故鄕의 鉛白市場을 본 따 대룡市場을 只今과 같은 골목市場으로 발전시켰다고 한다. 대룡市長은 以後 60餘 年間 喬桐島 經濟 發展의 中心軸을 이뤄왔다.

한便으로 鉛白 出身 住民들은 해마다 自身이 태어난 故鄕으로 되돌아오는 제비들에게 특별한 情緖的 共感帶를 느꼈다. 그래서 故鄕으로 가고 싶은 失鄕民들의 欲求를 代理 만족시켜 주는 제비들을 積極的으로 보살펴주었다. 그 傳統이 只今까지 대룡마을 사람들 사이에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는 것이다.

제비들과 아름다운 因緣을 맺은 대룡마을은 江華島와 喬桐島를 이어주는 校洞大橋가 2014年 開通된 以後 찾는 이들이 부쩍 늘어났다. 코로나19街 流行하기 以前만 해도 團體 觀光버스가 뻔질나게 드나들었던 곳이다. 平日에도 옛 傳統市場의 香水를 즐기기 위한 觀光客들의 발걸음이 그치지 않는다고 한다.

사람들이 이곳을 찾는 데는 제비가 福을 가져다주는 吉兆라는 이미지도 크게 作用했다는 게 마을사람들의 얘기다. 마을사람들로부터 積極的으로 보살핌을 받아온 제비가 대룡마을 사람들에게 풍요로움으로 報答을 한 셈이다. 興夫傳의 제비 이야기를 보는 듯하다.

○ ‘興甫歌’에 숨겨진 제비 名當
뚱이호떡 집의 제비 둥지.
뚱이胡떡 집의 제비 둥지.


제비가 財物과 富貴를 안겨주는 새라는 認識은 風水的으로도 根據가 있다. 판소리 ‘興甫歌(申在孝本)’는 明堂과 제비 이야기를 한바탕 흥미롭게 펼친다. 놀보(簿) 兄의 집에서 쫓겨난 흥보(簿)는 極度로 窮乏한 生活을 하다가 불쑥 나타난 施主僧이 골라준 집터에 움幕을 짓고 살게 된다. 施主僧은 背山臨水(背山臨水; 山을 등지고 물이 가까이 있음)를 이룬 이 터에서 살면 加勢(家勢)가 速히 일어나고 子孫이 富貴해진다는 말을 남겼다. 이듬해 봄, 江南에서 날아온 제비가 흥보의 움幕에도 찾아든다. 흥보는 튼튼하게 잘 지은 富者집을 마다하고 自身의 집 허름한 처마 안에다 진흙으로 둥지를 튼 제비 夫婦를 반갑게 맞이한다.

여기에는 제비가 아무데나 집을 짓지 않는다는 名當 論理가 숨어 있다. 사람親和的인 潮流인 제비는 알을 많이 낳을 수 있고 새끼를 키우는 데 最適이라고 여겨지는 곳에 둥지를 튼다. 바로 그런 곳은 사람이 살기에도 좋은 明堂이다. 제비가 當然히 흥보의 움幕을 選擇한 背景이다.

흥보네 집에 제비새끼를 해친 구렁이가 登場하는 것도 같은 理由다. 구렁이 亦是 좋은 기운을 갖고 있는 터에서 머문다. 우리나라 說話에는 집안의 財物을 管掌하는 神인 ‘업신(財物神)’으로 구렁이, 족제비, 두꺼비 等이 登場한다. 이런 업신이 집에 들어오면 富者로 만들어준다는 俗說이 있다. 事實上 이런 動物들이 찾아드는 곳은 明堂 터이고, 또 이런 터에서 사는 사람들이 發福(發福)할 機會가 많다는 게 風水的 視角이다.

動物과 名當 이야기는 外國 說話에서도 發見된다. 티베트 民譚(참바와 쩨링)은 興夫傳의 줄거리와도 매우 비슷한데, 제비 代身 참새가 登場한다. 불가리아 民譚에는 곰이 사는 집이 登場하고, 主人公이 곰 德分에 富者가 되는 이야기도 있다. 모두 動物을 通한 名當 求得(求得) 說話라고 할 수 있다.

제비 둥지를 보호하기 위해 받침대를 받쳐둔 상점 상인의 마음씨가 보인다.
제비 둥지를 保護하기 위해 받침臺를 받쳐둔 商店 商人의 마음씨가 보인다.
한便으로 興夫의 집과 對比되는 게 놀부의 집이다. 놀부는 興夫가 제비 德分에 富者가 됐다는 얘기를 듣고 自己 집에다가도 제비를 키운다. 그러나 놀부집의 제비는 둥지에서 알을 낳았지만 곪아버려 한 마리밖에 孵化되지 못했다. 놀부 집의 터가 좋지 않다는 뜻이다. 게다가 구렁이도 찾아오지 않는 집이다 보니 놀부는 스스로 제비 다리를 부러뜨리기까지 한다. 터가 凶하면 사람의 心性까지도 더욱 좋지 않은 쪽으로 變하게 마련이다. 이렇게 興夫와 놀부 이야기는 風水 論理가 이야기의 바탕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 名當兄 食堂에는 사람들이 줄을 서

평일 한산한 시각에도 관광객들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는 대룡시장.
平日 閑散한 視角에도 觀光客들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는 대룡市場.
제비들이 찾아오는 대룡마을은 風水的으로 어떨까. 대룡마을의 市場通은 제비들이 살기에 友好的인 環境을 갖추고 있다. 질펀한 흙으로 둥지를 만들 수 있는 드넓은 農地 벌판과 큰 貯水池가 隣近에 갖춰져 있고, 사람들이 많이 모여 사는 곳이어서 威脅的인 猛禽類로부터 避할 수 있는 곳이다.

대룡시장 입구
대룡市場 入口
게다가 대룡市場 一帶가 제비들이 選好하는 名當 形局을 이루고 있다. 喬桐島의 主山인 花開山(260m) 자락 아래의 대룡市長은 땅 기운을 받아 知己(地氣)가 널따랗게 펼쳐져 있다. 花開山은 頂上이 솥뚜껑처럼 생겼다 해서 붙여진 이름인데, 예부터 솥이나 솥뚜껑은 部와 財物을 象徵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歷史的으로도 花開山은 高麗 때 이미 注目받은 곳이다. 花開山 자락에 자리 잡은 화개사는 高麗 때 創建한 절로, 1341年 高麗 臣下로서의 節槪를 끝까지 지킨 목은 李穡이 이곳에서 머문 것으로 有名하다. 高麗 忠烈王12年(1286) 안향이 元나라에 使臣으로 갔다가 孔子의 肖像畫를 가지고 돌아와 最初로 모신 곳도 바로 화개山자락의 교동鄕校다. 우리나라 最初로 鄕校가 만들어진 契機가 된 곳이 바로 여기다.

대룡마을을 소개하는 교동제비집
대룡마을을 紹介하는 校洞제비집
花開山 기운을 直接 받고 있는 대룡市場 곳곳에는 제비들이 사이좋게 집을 지어놓고 있다. 市場 商人들에 依하면 제비들이 철마다 떼를 지어와 옹기종기 모여 살고 있다고 한다. 一般 제비와 함께 보기가 힘들다는 귀제비도 있다고 한다.

대룡시장 터의 고기집: 명당 혈에 자리 잡은 대룡시장 내 한 정육점. 객지 손님들이 일부러 찾아와 고기를 살 정도로 소문난 곳이다.
대룡市場 터의 고기집: 名當 穴에 자리 잡은 대룡市場 內 한 精肉店. 客地 손님들이 일부러 찾아와 고기를 살 程度로 소문난 곳이다.
대룡 市場에서도 가장 中心의 名當 穴에 자리 잡은 한 精肉店은 閑散한 平日임에도 손님들을 줄을 서서 生고기를 사고 있는 모습이 눈에 띄었다. 商店 入口에는 中小벤처企業部가 選定한 ‘百年가게’라는 看板도 붙어 있는데, 고기 맛이 남다르다는 所聞 때문에 外地에서 一部로 사람들이 찾아올 程度라고 한다. 只今은 建物 改造로 제비들이 보이지 않지만 이곳 亦是 제비들의 훌륭한 집터였다고 한다.

대룡마을을 상징하는 제비 조각상
대룡마을을 象徵하는 제비 彫刻像
大槪 明堂 터에 자리 잡은 食堂은 손님들이 들끓는다. 이런 가게는 飮食 맛이 좋다고 소문나 入口 바깥까지 줄을 서서 기다리는 境遇가 많다. 風水的으로도 說明이 可能하다. 좋은 터의 기운은 飮食 맛에 影響을 미친다. 明堂 터의 물맛이 좋은 것도 물이 터의 기운에 反應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明堂 터에 사는 사람들은 大體로 마음이 便安하고 스트레스도 덜 받는다. 自然히 다른 사람들에게도 너그럽고 親切해진다. 主人과 飮食이 좋으면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모여들게 마련이다. 바로 그런 곳이 제비들에게도 새끼를 키우기에 좋은 明堂인 것이다.

안영배 記者·風水學博士 ojo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