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李在明 “잘못된 政權에 이제 警鐘 울려야”…임종석과 ‘抱擁’|東亞日報

李在明 “잘못된 政權에 이제 警鐘 울려야”…임종석과 ‘抱擁’

  • 뉴시스
  • 入力 2024年 3月 28日 14時 31分


코멘트

漢江벨트 激戰地 中·成東甲 찾아 全賢姬 支援
"政治人들이 가진 모든 權力은 國民이 맡긴 것"
'컷오프' 임종석 前 室長도 민주당 支援 行步
"4·10 總選, 그냥 選擧 아닌 모두가 審判하는 날"

ⓒ뉴시스
李在明 더불어民主黨 代表는 4·10 總選 公式選擧運動 첫날인 28日 “國民이 맡긴 權力으로 國民에게 苦痛을 加하는 잘못된 政權에 이제 警鐘을 울려야 한다”고 말했다.

李 代表는 이날 午前 서울 성동구 往十里驛 廣場에서 열린 全賢姬 中·成東甲 候補 遊說 現場을 찾아 “이 나라 主人은 國民이고, 政治人들이 가진 모든 權力은 여러분이 맡긴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우리가 權力을 맡겼을 때 國民들의 더 나은 삶과 未來를 위해서 힘을 써 달라고 했는데 尹錫悅 政權은 이 나라 民主主義를 후퇴시키고 우리들의 삶을 破壞했다”며 “이제 責任을 물어야 할 때 아닌가”라고 했다.

이어 “이番 4月10日은 審判의 날이자 바로 國民들이 勝利하는 날”이라며 “그 勝利의 길에 檢證된 일꾼, 能力과 資質을 充分히 갖춘 민주당의 代表 選手 全賢姬·박성준 候補를 여러분의 勝利의 道具로 使用해달라”고 呼訴했다.

그러면서 “여러분이 直接 나서서 大韓民國 民主共和國의 主人이 바로 여러분임을, 여러분의 主權 意志에 反하는 權力者는 存在할 수 없다는 것을 이番 4月10日에 確實하게 보여주길 바란다”고 했다.

이날 遊說 現場에는 中·成東甲 地域區 公薦에 挑戰했다가 컷오프된 임종석 前 大統領祕書室長도 함께했다. 林 前 室長은 “4月10日은 여느 때와 같은 그냥 돌아오는 選擧日이 아니다”라며 “進步도 保囚도 中途도 없이 男女老少가 한 마음으로 尹錫悅 政權을 審判하는 날”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 政權이 都大體 어떻게 保守政權인가. 不道德하고 無能하고 脫落한 劣等 政權, 不良 政權”이라며 “‘해도해도 너무 한다’, ‘못 살겠다, 審判하자’가 이番 總選을 貫通하는 大韓民國의 메시지라는 것을 尹錫悅 政權에 보여주자”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海兵隊 채상병 死亡事件 搜査 外壓 事件을 言及하며 “4月10日에서 行使하는 한 票는 그냥 한 票가 아닌 채 上兵을 記憶하는 한 表異高 (搜査를 맡았던) 박정훈 大領을 記憶하는 限 標高 尹錫悅 政權을 峻烈하게 審判하는 한 票”라고 말했다.

김건희 女史의 株價 造作 連累 疑惑에 對해선 “株價造作에 關與한 選手들은 모두 起訴돼 有罪가 나고 있는데 쩐週로 參與해 收益을 올린 金 女史는 왜 調査하지 않고 搜査하지 않는 것이냐”며 “여러분이 바로 잡을 수 있다. 國政調査도 特檢도 하게 할 수 있다”고 외쳤다.

演說을 마친 林 前 室長은 現場에 李 代表가 到着하자 抱擁과 握手를 나누기도 했다. 이를 두고 ‘非命橫死’ 公薦 波動 論難이 總選 公式 選擧運動 突入과 함께 終熄된 것이라는 解釋이 나온다.

한便 李 代表는 이날 午前 7時 自身의 地域區인 仁川 桂陽乙에서 出勤길 人事로 첫 遊說를 始作했다. 以後 中·成東甲을 始作으로 動作을, 동작갑을 次例로 돌며 서울 激戰地인 漢江벨트 攻掠에 集中할 豫定이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