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커지는 國會 世宗 移轉 期待感…“不動産市場 影響 制限的일 듯”|東亞日報

커지는 國會 世宗 移轉 期待感…“不動産市場 影響 制限的일 듯”

  • 뉴스1
  • 入力 2024年 3月 27日 15時 28分


코멘트
국회 세종의사당 부지. 뉴스1
國會 世宗議事堂 敷地. 뉴스1
國會 世宗議事堂 建立 時期가 앞당겨질 수 있다는 分析이 나온다. 與黨이 國會議事堂을 世宗으로 完全히 移轉하겠다고 밝혀서다. 一帶에서는 不動産 價格 上昇을 期待했다. 그러나 새로운 이슈가 아닌 만큼 不動産 價格에 큰 影響을 주지 않을 것으로 分析됐다.

27日 行政中心複合都市建設廳(行複廳)에 따르면 現在 世宗市에서는 國會 世宗議事堂과 大統領 第2執務室 建設이 推進되고 있다.

世宗議事堂 候補地는 世宗 S-1生活圈(世宗洞)에 位置하며 汝矣島 面積의 約 2倍 規模다. 世宗市 中心에 있으며 건너便 원수산 자락에는 國務總理 空間이 자리 잡아 大統領 第2執務室 立地 候補로도 꼽히고 있다.

行複廳은 現在 國會가 들어설 世宗洞에 大統領 第2執務室도 設置해야 效率性이 올라간다는 立場이다. 機能 連繫를 考慮한 配置, 近距離 配置를 통한 效率性 提高, 國家象徵空間으로 造成하는 것 等이 重要하다는 것이다. 이는 美國 워싱턴, 캐나다 오타와와 같은 世界 主要國의 行政首都와도 비슷한 接近이다.

앞서 지난해 5月 이상래 前 行複廳長은 記者들과 만나 “國家가 世宗乙 만드는 데 參與하는 만큼 國家象徵空間을 제대로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한다”며 “다만 어떤 人物과 象徵을 記念할 것인지에 對해서는 一旦은 비워두는 것이 좋다고 본다”고 말했다.

行複廳 關係者는 “現在 國會와 第2執務室 建設이 進行 中이지만 具體的으로 언제 完工할지는 確答이 어렵다”며 “政府의 政策에 따라서 建設 速度는 差異가 날 것”이라고 밝혔다.

國會와 第2執務室 移轉 計劃이 世宗市 不動産에 미치는 影響은 微微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 世宗市는 自足 機能이 大部分 形成된 都市고, 새로운 이야기가 아니라는 理由에서다.

한 國會議員室 關係者는 “國會議員과 關聯 補佐官 等等 關聯 人員이 移動하면 確實히 世宗市의 人口 增加와 隣近 商圈의 活氣가 돌 것으로 본다”면서도 “政府의 意志가 設立 時機를 당길 수 있겠지만 不動産 價格에 對해서는 言及이 어렵다”고 말했다.

송승현 都市와경제 代表도 “國會 以前과 第2執務室 建立은 예전부터 論議됐기에 새롭거나 큰 이슈는 아니다”라며 “또 어떤 形態의 開發이 世宗에서 일어나느냐에 따라 집값에 影響을 줄 것”이라고 說明했다.

한便 한동훈 國民의힘 總括選擧對策 委員長 兼 非常對策委員長은 이날 “國會를 世宗市로 移轉해 汝矣島 政治를 終熄하고 汝矣島와 그 周邊의 開發制限을 풀어서 서울 開發을 積極 推進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國會 完全 移轉 公約은 여러 次例 提示됐지만 違憲 論難 속에 實現되지 못했다는 點은 變數다. 지난 2004年 憲法裁判所가 行政首都 移轉을, 慣習憲法을 理由로 違憲으로 決定했는데, 國會 亦是 서울에 있어야 한다는 게 違憲 決定의 根據였다.

國會 世宗議事堂 建立에서 國會 本會議場과 國會議長 執務室을 서울에 두고 一部 機能만 옮기기로 한 것도 違憲 問題 때문이다. 그러나 與野 合意로 法律을 만들고, 社會的 合意가 이뤄지면 完全 移轉이 實現 可能하다는 意見이 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