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상곤의 實錄韓醫學]肅宗의 불같은 性格을 다스린 ‘神仙의 옷’|東亞日報

[이상곤의 實錄韓醫學]肅宗의 불같은 性格을 다스린 ‘神仙의 옷’

  • 東亞日報
  • 入力 2017年 4月 10日 03時 00分


코멘트
이상곤 갑산한의원 원장
이상곤 甲山韓醫院 院長
太半은 妊娠婦의 子宮 안에서 胎兒의 營養 供給, 呼吸, 排泄을 主導하는 組織이다. 고대에서는 人間이 最初로 몸에 걸치는 가장 좋은 옷이라고 여겨 ‘神仙의(神仙衣)’라고도 불렀다. 韓方에선 藥材로 쓰이는 太半을 紫河車라고 부르는데 그 藥用 記錄은 中宗實錄에서 처음 나온다.

燕山君을 몰아내고 反正을 통해 王位에 오른 中宗은 連이은 王妃의 죽음과 趙光祖의 四史(賜死) 過程에서 생긴 스트레스로 몸져눕는다. 當時 藥房提調였던 김안로와 장손순은 紫河車를 먹고 中宗이 完快하자 그 投藥 經緯와 藥材의 效驗을 이렇게 說明한다. “健康이 매우 좋아졌습니다. 처음 편찮았을 때 紫河車를 處方했는데, 워낙 神通하고 영험한 藥이라 먹는 사람이 모르게 해야 한다는 訪問(方文)에 따라 아뢰지 않았습니다.”

韓醫學이 注目하는 紫河車의 가장 큰 效驗은 港스트레스 作用. 東醫寶鑑 내경便 新聞(神門)에는 ‘가슴이 뛰는 症狀, 精神이 없는 症狀, 말이 많으나 一貫性이 없는 症狀을 治療하는 데 效能이 卓越하다’라고 쓰여 있다. 本草綱目에도 마음을 안정시키는 것을 紫河車의 첫째 效能으로 記錄하고 있다. 實錄의 記錄도 마찬가지.

仁祖의 어머니인 인헌王后 丘氏는 가슴의 답답함, 甚한 頭痛, 精神昏迷 症狀을 治療하기 위해 紫河車 丸藥을 服用했고 仁祖의 婦人인 장렬왕후 조氏도 얼굴에 氣가 오르는 상기(上氣)와 神經衰弱 症狀이 심해지자 紫河車 丸藥을 먹었다. 仁祖 自身 또한 발바닥이 차가워지는 症狀을 治療하기 위해 紫河車를 服用했다. 純祖도 젊은 時節부터 始作된 不眠症과 食慾不振, 四肢武力, 疲勞, 精神昏迷, 眩氣症 等 多樣한 神經症과 消化不良症을 治療하기 위해 大棗地黃湯과 魂原緞을 服用했는데, 이 두 處方에 共通的으로 들어가는 藥材가 바로 紫河車였다.

불같은 性格의 肅宗은 本來 性質이 찬 藥材인 紫河車가 잘 맞았는지 자주 服用했다. 甚至於 太半을 익히지 않고 生으로 먹겠다고 固執을 피운 記錄도 있다. 藥房提調들이 衛生上의 問題를 들어 極口 挽留하자 그때서야 固執을 꺾고 삶은 太半을 服用했다.

紫河車의 藥用 記錄은 西洋醫學이 韓醫學을 앞지른다. 西洋醫學에선 醫學의 아버지인 히포크라테스 때로 藥用의 歷史가 거슬러 올라간다. 反面 韓醫學에선 中國 明代에 이르기까지 論難이 끊이지 않았다. 父母로부터 받은 身體髮膚를 毁損하면 안 된다는 儒敎的 理念 때문이었다. 明代의 醫書 本草綱目에는 紫河車의 藥用을 ‘오랑캐나 하는 짓’이라는 文章이 나온다. 하지만 名의 뒤를 이은 淸代에 이르면 紫河車는 ‘天下의 名藥’을 만드는 藥材로 使用됐다. 原器 補充의 最高 處方으로 알려진 ‘保薦하巨大弔環’에도 들어갔다.

人物評은 事後에 해야 더 믿을 만하다 했던가. 紫河車度 삭으면 그 本性이 드러난다. 紫河車에 對한 東醫寶鑑의 마지막 記錄은 ‘紫河車를 땅속에 묻어 7∼8年이 지나 삭으면 물로 變하는데 어린아이의 單獨(丹毒)과 모든 毒을 主로 治療한다’는 것. 單獨이 熱誠 皮膚炎의 一種이라는 點을 勘案하면 紫河車의 本性은 식히고 적셔주는 淸熱子音(淸熱滋陰)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곤 甲山韓醫院 院長
#肅宗 #神仙의 옷 #胎盤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