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옥수동 트러스트’… 再開發에 지워진 골목길 追憶|東亞日報

‘옥수동 트러스트’… 再開發에 지워진 골목길 追憶

  • 東亞日報
  • 入力 2018年 11月 7日 03時 00分


코멘트

[洞네 冊房의 陳列臺] <3> 서울 금호동 ‘프루스트의 書齋’

서울 성동구 금호동 동네책방 ‘프루스트의 서재’ 내부 모습. 프루스트의 서재 제공
서울 성동구 금호동 洞네冊房 ‘프루스트의 書齋’ 內部 모습. 프루스트의 書齋 提供

금호동(서울 城東區)李 달동네에서 아파트村이 되어 버린 只今도 눈을 감으면 골목 어귀의 政經과 이어진 길들이 떠오른다. 비탈길을 오르면 누구의 집은 감나무 열매가 무르익고, 또 어떤 집은 해마다 붉은 薔薇가 담벼락에 흐드러지게 피었다 졌다. 大門이 활짝 열린 집 안 마당은 빨랫감이 척척 걸려 나부끼고, 빼꼼 열린 鐵製 大門 앞에서 그 집 멍멍개는 小心하게 짖기도 했다. 사는 方式이 서로 다른 것처럼 집 大門의 模樣도 色깔도 조금씩 달랐다.

‘只今은 없는 洞네: 옥수동 트러스트’(장상미 지음·어쩌면)는 금호동과 이웃한 옥수동 13區域이 再開發로 痕跡이 없어지기 前 모습을 寫眞과 글로 담은 冊이다. 冊은 아주 私的인 프로젝트의 一環으로 始作됐다고 한다.

著者가 서너 坪 半地下 單칸房에서 親舊와 살게 되면서 暫時 머무를 空間이라고 생각했던 이 洞네를 寫眞으로 남겨두기로 마음먹은 건 單純한 意味는 아닐 것이다. 撤去를 앞두고 시들어가는 洞네의 모습을 지켜보는 것이 ‘사는 사람’으로서 누구보다 不安하고 씁쓸한 마음이었을 테니까.

빈 가게가 늘어나고, 사람의 溫氣가 떠난 집과 物件이 제 모습을 잃어갈수록 정든 곳을 옮겨야 하는 時間도 가까워진다. 나 亦是 十餘 年을 한 洞네에 살면서 變化하는 過程을 지켜봤으니 著者의 느낌을 十分 理解할 수 있었기에 더 반가운 冊이었다.

冊에 담긴 옥수동의 모습은 금호동의 옛 모습과 꼭 닮아서 그때를 떠올리게 한다. 이제는 稀微해져 斷片的으로 끊어진 記憶들이 그래서 더 아쉽다. 사람이 사는 洞네가 이렇게 盲目的으로 變하고 쉽게 사라질 수 있는 것이었다면 더 많은 이야기와 記憶을 나누려고 했을 것이다.

時間의 變化를 조금은 비껴간 길 끝에서 書店을 하면서 작은 이야기를 담은 冊들을 들여 놓고 있다. 어쩌면 하찮고, 小心하고, 엉뚱하고, 異常한 이야기들. 이것들이 모인 冊張은 작은 洞네를 이룬 것만 같다. 洞네는 수많은 이야기를 품고 있다. 色깔도, 크기도, 模樣도 다르지만 調和롭게 느껴진다. 모든 이야기는 서로 連結돼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누군가가 들어주지 않으면 이야기는 사라진다.

‘只今은 없는 洞네’의 著者는 社會的 暴力의 斷面을 記錄하고 自發的이고 獨立的인 삶을 摸索한 ‘어쩌면 이루어질지도 몰라’란 冊으로 多幸히 조금 더 큰 가지를 뻗었다. 떠밀려온 것은 힘이 없고 다른 것에 기대어 다시 떠밀려 갈 뿐이지만 우리가 삶을 繼續 이루는 것은 떠밀리지 않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저마다의 뿌리가 자라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어쩌면.

○ ‘프루스트의 書齋’는

冊을 통해 잃어버린 時間을 되찾고자 한다. 獨立出版物, 單行本, 中古 圖書를 販賣한다.

朴聖敏 ‘프루스트의 書齋’(서울 城東區 無水幕길·금호동) 代表
#옥수동 트러스트 #再開發 #프루스트의 書齋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