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영훈의 法과 사람]6·25戰爭 追念公園 만드는 碑木의 小隊長|東亞日報

[최영훈의 法과 사람]6·25戰爭 追念公園 만드는 碑木의 小隊長

  • 東亞日報
  • 入力 2016年 6月 25日 03時 00分


코멘트
최영훈 수석논설위원
최영훈 首席論說委員
‘初演이 쓸고 간 깊은 溪谷 깊은 溪谷 陽地 녘에/비바람 긴 歲月로 이름 모를 이름 모를 비목이여…’

藝術院 會員인 한명희 前 國立國樂院長(以下 敬稱 省略)은 1964年 서울對 音大 國樂科를 卒業하고 ROTC 2期로 入隊했다. 便하게 政訓將校로 勤務하던 그는 師團長에게 要請해 危險한 搜索中隊 GP長(非武裝地帶 境界 哨所長) 勤務를 自願했다.

한명희 小委가 勤務한 곳은 江原道 華川의 最前方 白庵山 高地였다. 不過 11年 前 國軍과 人民軍, 中共軍이 熾烈하게 戰鬪한 곳이다. 땅을 조금만 罷免 白骨이 나오고 녹슨 鐵帽와 水桶, 革帶가 나뒹굴었다. 이 激戰의 現場에서 戰死한 犧牲者를 돌로 묻은 家廟(假墓)와 막대기를 꽂아둔 비목(碑木)을 그는 數없이 마주했다.

國民歌曲 ‘비목’은 6·25戰爭의 슬픔과 아픔을 切切하게 담았다. 1967年 동양방송(TBC)에서 國樂擔當 PD로 일할 때다. 戰亂이 할퀴고 간 慘酷한 1950年代를 넘어 1960年代 後半부터 젊은 世代들은 포크송 팝송 等 西洋音樂에 빠져들었다. 그는 외롭게 우리말 노래와 國樂 普及에 힘썼다. 함께 歌曲 프로를 進行하던 作曲家 故 장일남의 끈질긴 勸誘로 비목 歌詞를 쓰게 된다. “달밤에 巡察 돌면 戰死者의 冤魂이 虛空을 떠다니는 듯해 소름이 돋았다. 궁노루 울음소리도 이름 없는 兵士의 피어린 絶叫로 들렸다.” 이때의 體驗으로 無名勇士의 恨을 씻김굿 하듯 그렸다.

PD를 그만둔 뒤 성균관대에서 東洋哲學 博士學位를 받았다. 꼬장꼬장한 南山골 딸깍발이 선비를 聯想케 하는 한명희는 1997年 國立國樂院 院長을 지낸 바 있다. 2004年 서울市立大 敎授를 停年退任한 뒤에도 熱情이 식지 않았다. 只今도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等 中央아시아 國家와 傳統音樂 交流에 힘을 쏟는다. 居住地인 京畿 남양주시 와부읍 도곡리 6000m² 大地에 ‘나라사랑 물망초藝術祭’ 行事를 主導하는 이미市文化書院을 세워 護國英靈을 追慕하는 文化事業을 펼친다.

‘이미視’의 子音인 ㅇ은 하늘, ㅁ은 땅, ㅅ은 사람을 뜻한다. 한명희는 이미詩를 통해 傳統的인 선비精神의 宣揚과 風流文化의 中興을 追求한다. 護國英靈을 기리는 그의 活動은 民族精神을 高揚하기 爲한 것이다. 6年 前부터 이미時 앞마당엔 永遠의 불, 護國의 불, 平和의 불이 한時도 꺼지지 않은 채 활활 타오르고 있다.

護國의 불은 2010年 6·25戰爭 60周年을 記念해 華川 비목公園에서 올린 ‘護國英靈鎭魂祭’ 香불에서 採火했다. 永遠의 불은 같은 해 開天節 華川 解散에서 하늘에 祭祀를 지내고 담아왔다. 그는 이때 경이로운 體驗을 한다. “天帝를 올리는데 마른하늘에 갑자기 突風이 몰아쳐 不可思議한 奇跡(奇蹟)의 느낌을 받았다”고 했다. 平和의 불은 2013年 停戰協定 60周年 楊口 兜率山 激戰地 鎭魂藝術第 後 옮겨왔다.

“6·25, 6·25 호들갑을 떨지만 어엿한 追念公園 하나 없는 나라”라고 慨歎하는 그는 6·25를 追念하는 公園과 文藝觀 等 ‘6·25追念 文化聖所’를 만들기 위해 孤軍奮鬪하고 있다. 김동호 釜山映畫祭委員長, 이인호 KBS理事會 理事長이 그와 함께 韓國戰爭追念文花成素조성단 共同代表를 맡고 있다.

‘永遠한 靑年’ 한명희는 6月만 되면 追念公園을 채울 콘텐츠로 머리가 바쁘게 돌아간다. “6·25에 1·4後退, 白馬高地, 다부동戰鬪, 9·28收復, 國際市場, 斷腸의 彌阿里고개, 굳세어라 金錞아….”

최영훈 首席論說委員 tao4@donga.com
#한명희 #前 國立國樂院長 #國民歌曲 #비목 #625戰爭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