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疲勞-食慾不振’ 英祖가 먹은 補藥[이상곤의 實錄韓醫學]〈145〉|東亞日報

‘疲勞-食慾不振’ 英祖가 먹은 補藥[이상곤의 實錄韓醫學]〈145〉

  • 東亞日報
  • 入力 2024年 2月 22日 23時 30分


코멘트
이상곤 갑산한의원 원장
이상곤 甲山韓醫院 院長
留學에서 좋은 爲政者는 일이 일어나기 前에 豫防해 百姓들이 걱정 없이 살 수 있도록 하는 人物이다. 이를 德治라고 한다. 法治는 어쩔 수 없이 일이 불거지고 事態가 걷잡을 수 없게 됐을 때 不可避하게 쓰는 事後 手段이자 次善의 方法이다. 그래서 德治는 王都(王道)이고 法治는 牌도(?道)라고 할 수 있다.

朝鮮時代에 病을 治療하는 治療藥보다 豫防的 目的으로 使用하는 補藥 處方이 選好된 理由에도 ‘德治’라는 儒學的 論理가 자리 잡고 있다. 藥보다 飮食을 더 重要하게 생각한 것도 이런 脈絡에서다. 世祖 때 編纂한 ‘식료찬요’는 이렇게 말한다. “사람이 世上을 살아가는 데 飮食은 으뜸이고 藥물이 다음이다. 옛 先祖들이 處方을 내리는데 먼저 飮食으로 治療하고 안 되면 藥으로 治療한다고 했다.”

朝鮮의 韓醫學이 몸보다 마음의 安定을 强調하고 이를 위한 補藥 處方까지 한 것 또한 儒學의 影響이라고 볼 수 있다. 朝鮮 前期의 文人이자 學者인 洪貴達은 1472年 湖南地域을 訪問했다가 그만 病이 들었는데 親舊로부터 ‘太和湯(太和湯)’이라는 處方을 받았다. 太和湯은 언제나 마음이 無事太平한 狀態를 가리키는 말인데, 退溪 李滉의 마음 健康 養生法人 활인심방(活人心方)의 核心 ‘中華탕(中和湯)’이 바로 그것이다. 그 處方에 들어가는 藥材들은 마음을 맑게 하는 淸心(淸心), 欲心을 줄이는 過慾(寡慾), 滿足할 줄 아는 支族(知足), 謙遜하고 調和로운 謙和(謙和) 等 30가지 마음 手練法이다.

低質 體力의 代名詞였던 英祖가 83歲의 天壽를 누린 것도 이런 儒學的 豫防醫學 德澤이었다. 平素 추위를 잘 타고 消化力이 弱하며 늘 食慾不振에 시달렸던 영조는 입에 쓴 韓藥도 마다하지 않고 미리미리 먹어 體力을 備蓄했다. 영조는 20代 後半부터 疲勞感, 卽 韓醫學에서 勞倦(勞倦)이라고 말하는 症狀으로 苦生했는데, 더 큰 病을 막기 위해 스스로 補藥을 챙긴 記錄이 있을 程度다. “只今 狀況에서 보건대 원기와 下焦의 元氣가 모두 매우 허약하니 調理하고 補充하는 處方을 어찌 늦출 수 있겠는가. 補中益氣湯은 50帖에 한하여 服用해야겠으나 間間이 停止하여 100첩까지 服用하더라도 안 될 것은 없으니 于先 그 妾의 數量은 定하지 말고 올겨울에는 連續해서 八味地黃丸과 겸하여 服用하겠다.”

倦怠感이나 疲勞感은 個人差가 큰 마음의 症狀이지만 朝鮮時代와 달리 現代에는 훨씬 다양한 原因이 存在한다. 糖尿病과 肝疾患, 腎臟疾患 等 代謝 以上과 藥물의 長期 服用이 理由가 되기도 하지만 長時間에 걸친 勞動이나 運動 等에서 비롯된 過勞, 不安感, 불면, 意欲 低下를 誘發하는 心理的 葛藤이 가장 많다.

韓醫學에선 이들을 全身에 나타나는 症候에서 病的인 部分을 整理해 患者의 體力과 症狀에 따라 네 種類로 分類하고 處方을 運用한다. 목소리에 힘이 없고 食慾이 不振하며 消火器 無力症을 同伴하고 大便이 무르게 나오는 氣虛(氣虛), 顔面이 蒼白하고 손발이 화끈거리며 皮膚가 乾燥하거나 가슴이 두근거리며 머리가 무거운 血虛(血虛), 極甚한 스트레스로 인해 精神不安이나 抑鬱함, 焦燥함, 人·喉頭 以上, 腹部 膨滿感을 呼訴하는 鬱症(鬱症), 水分代謝 以上으로 인한 頭痛, 眩氣症, 귀울림(耳鳴), 메스꺼움, 泄瀉, 浮腫, 胃腸 內 殘留감 等이 나타나는 痰飮(痰飮) 等이 그것이다.

韓方에선 自身에게 맞는 藥을 찾아가는 過程 自體가 診療이자 治療이다. 좋은 藥이 좋은 效果를 내는 것이 아니라 自身에게 맞는 藥이 가장 좋은 效果를 보인다는 것은 韓醫學의 永遠한 眞理다.

이상곤 甲山韓醫院 院長
#英祖 #韓醫學 #韓藥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