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흔에도 마라톤 풀코스 完走…挑戰 없는 삶은 죽은 것”[양종구의 100歲 時代 健康法]|東亞日報

“일흔에도 마라톤 풀코스 完走…挑戰 없는 삶은 죽은 것”[양종구의 100歲 時代 健康法]

  • 東亞日報
  • 入力 2022年 11月 26日 14時 00分


코멘트
문송천 교수가 10월 열린 춘천마라톤에서 질주하고 있다. 문송천 교수 제공.
문송천 敎授가 10月 열린 春川마라톤에서 疾走하고 있다. 문송천 敎授 提供.
“제가 마라톤 풀코스를 40回 程度 달렸어요. 그런데 完走를 위한 달리기 訓鍊을 하지 않는다면 믿으시겠어요? 眞짜입니다. 前 걷는 것으로 마라톤 訓鍊을 代身했어요. 그렇게 4時間 20分에서 30分에 完走했습니다. 大會 2個月 前부터 많이 걸었을 땐 3時間47分에 完走하기도 했죠.”

문송천 KAIST 經營大學院 名譽敎授(70)는 3年 前 마라톤 隱退를 宣言했다가 다시 달리기 始作했다. 65歲를 넘겨 더 以上 마라톤 42.195km 풀코스 完走는 無理라고 생각하고 2019年 서울國際마라톤 兼 동아마라톤에서 풀코스를 完走한 뒤 隱退를 宣言했다. 하지만 新種 코로나바이러스 感染症(코로나19) 탓에 너무 움츠러져 있던 生活에서 脫皮하고 싶어 다시 挑戰하게 됐다. 그는 “코로나19街 터진 뒤 英國 러프버러臺에 招聘敎授로 갔다 2年 만에 돌아왔다. 英國에서도 락다운(lockdown)을 많이 해서 運動을 機會가 많지 않았다. 내 體力이 어느 程度인지 테스트 하고 싶어 달렸다”고 했다. 락다운은 軍事戒嚴令 내린 것과 같이 어떤 活動도 禁止되는 狀況이다. 그는 올 가을 春川마라톤에서 4時間50分臺에 完走했다. 當分間 마라톤 풀코스 挑戰은 繼續 하겠다고 했다.

“오래 사는 것보다는 健康하게 사는 게 重要합니다. 아직 무릎과 발목에 全혀 문제없어요. 하지만 모든 運動은 無理하지 않는 게 重要합니다. 제가 아직 풀코스를 달릴 수 있는 理由는 無理하지 않고 늘 걷기 때문입니다. 只今으론 80歲까진 풀코스를 完走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聞損千 敎授가 가방을 들고 힘차게 걷고 있다. 文 敎授는 20餘年 前부터 自家用 車까지 버리고 俗稱 ‘BMW 버스 메트로 워킹) 族’으로 每日 걷으면서 健康을 챙기고 있다. 이훈구 記者 ufo@donga.com
文 敎授는 마라톤 풀코스 訓鍊을 걷기로 하고 있다. 20餘 年 前부터 自家用 車까지 팔고 俗稱 ‘BMW(버스 메트로 워킹) 族’으로 每日 걸어서 健康을 다지고 있다. 집 서울 鴨鷗亭에서 硏究室이 있는 江北 洪陵까지 12km를 每日 걸어 出勤했다. 京畿道 果川으로 移徙를 간 뒤에는 鴨鷗亭까지 버스를 타고 간 뒤 걸어서 學校까지 간다.

文 敎授가 달리기 始作한 契機는 1990年代 末 불거진 ‘Y2K(컴퓨터2000年 問題)’ 問題 解決. ‘國內 電算學 博士 1號’인 그는 1998年부터 2000年까지 Y2K國際大會 韓國代表로 活躍했고 全 世界를 돌아다니며 問題解決을 위해 努力했다. 그는 “Y2K를 解決하기 위해 1年 半 동안 브라질을 2泊 3日 만에 다녀오는 等 全 世界 15個國을 돌아다녔다. 그러다보니 體力이 바닥까지 떨어졌다. 이러다 잘못하면 쓰러지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 때쯤 엘리트 爲主의 마라톤 大會가 一般人들에게 開放됐다. 그래서 달리기 始作했다”고 했다.

文 敎授는 “마라톤에는 不可能을 可能으로 바꾸는 奇跡이 있다”고 했다.

“이 奇跡은 出發한 뒤 30km 地點에서 일어납니다. 스스로도 到底히 完州夏至 못할 것 같던 게 30km 地點을 通過하면서 可能으로 逆轉되는 것을 느낍니다.”

文 敎授는 누군가의 도움을 받아야 될 것 같은데 이 ‘큰 일’을 自己 몸에서 나오는 能力만으로 해낸다는 것이 奇跡이라는 것이다.

문송천 교수(오른쪽)가 아내 이혜경 교수와 한 마라톤에 참가해 포즈를 취했다. 문송천 교수 제공.
문송천 敎授(오른쪽)가 아내 이혜경 敎授와 한 마라톤에 參加해 포즈를 取했다. 문송천 敎授 提供.

文 敎授는 혼자만을 위해 달리지 않았다. 마라톤에 처음 參加했던 2000年부터 ‘1미터 10원’을 寄附하며 知人들에게 ‘1미터 1원’을 勸誘했다. 풀코스를 完走할 境遇 本人은 42萬1950원을 내고 知人들은 4萬2195원을 낸다. 文 敎授는 只今까지 마라톤으로만 6000餘 萬 원을 내놨고 放送 出演料(30年間 固定出演 2500回) 1億 원을 快擲했다. 모두 白血病 어린이 돕기 等 이웃돕기에 썼다.

“제 아내(이혜경 容認藝術科學大 컴퓨터科 敎授)와 비올리스트 리처드 용재 오닐(44)李 後援者입니다. 두 사람 다 1m 10원 運動에 積極 同參해줬습니다. 아내는 直接 뛴 적은 많지 않지만 제가 完走하면 每番 골인 地點에서 절 기다렸어요. 오닐 氏는 2009年 그의 첫 풀코스 레이스를 제가 이끌어 주면서 같이 뛰게 됐죠.”

文 敎授는 오닐 氏의 人生 歷程을 알게 된 뒤부터 家族처럼 지내고 있다. 6·25 戰爭孤兒로 美國에 入養된 오닐 氏의 어머니는 어릴 때 高熱로 인해 지적장애인이 됐고 未婚母로 그를 낳았다. 文 敎授는 “오닐 氏의 어머니는 障礙人 마라토너로 活躍했다. 그 才能을 물려받아서인지 오닐 氏도 풀코스를 普通 3時間30分 以內에 뛴다”고 했다. 文 敎授는 아내와 풀코스와 하프코스 同伴完走를 7回 했다.

문송천 교수(뒷줄 가운데)가 KAIST축구팀 지도교수 때 모습. 문송천 교수 제공.
문송천 敎授(뒷줄 가운데)가 KAIST蹴球팀 指導敎授 때 모습. 문송천 敎授 提供.

文 敎授는 大學 1學年 때부터 運動을 生活化했다.

“제가 文科에서 理科로 옮겨 大學에 들어갔어요. 數學이 달렸죠. 그래서 大學 1學年 때 不足한 工夫 따라가려고 無理하게 밤을 새다 쓰러졌어요. 急性 肝炎으로 숟가락 젓가락도 못 들 程度로 氣力이 빠졌죠. 그 때부터 運動을 해야겠다고 마음먹었습니다. 回復 된 뒤로 蹴球공을 늘 매고 다니며 공을 차며 몸을 다졌어요.”

大學 施設 ‘蹴球選手’로 불릴 程度로 이름을 날렸다. 大學院 時節 테니스 치기도 始作했다. 어릴 때 短距離 달리기를 잘 했던 文 敎授는 하는 스포츠마다 頭角을 나타냈다. 不過 몇 年 前까지도 蹴球공을 차며 綠色 그라운드를 누볐다. KAIST에 축구팀을 만들었고 經營大學院 ‘蹴球指導 敎授’까지 했다. 테니스로는 30年 넘게 KAIST 最强으로 君臨했고 全國 電算人 테니스大會에서 優勝까지 했다. 아직도 晝 2~3回 2時間 以上 테니스를 치고 있다.

문송천 敎授가 서울 동대문구 會期로 KAIST 서울캠퍼스 테니스코트에서 백핸드 발리를 하고 있다. 이훈구 記者 ufo@donga.com


“學校 테니스 챔피언이 저에게 挑戰합니다. 瞬發力과 파워 等에선 달리지만 아직 제가 지지는 않습니다. 40年 가까이 테니스 친 노하우가 있어 밀리지는 않습니다. 걷기로 다져진 體力도 한몫하죠.”

이렇게 活動的이다 보니 文 敎授는 平生 病院 身世를 진 적이 없다. 코로나19 백신은 맞았지만 感氣 等 豫防 主事는 單 한番 맞지 않았다.

文 敎授는 挑戰이 없으면 죽은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强調했다.

“제가 運動을 한 뒤 뒤늦게 體力이 좋다는 것을 알고 運動을 生活化 했습니다. 한 끼는 굶어도 運動은 絶對 거르지 않습니다. 人間은 죽을 때까지 움직여야 합니다.”

‘새는 날고 물고기는 헤엄치고 人間은 달린다.’ 살아있는 限 체코의 마라톤 傳說 에밀 자토펙의 名言을 實踐하겠다는 覺悟다.

문송천 敎授가 서울 동대문구 會期로 KAIST 서울캠퍼스 테니스코트에서 백핸드 드라이브샷을 하고 있다. 이훈구 記者 ufo@donga.com

양종구 記者 yjongk@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