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상곤의 實錄韓醫學]현종이 熊膽-牛黃을 코에 바른 理由|東亞日報

[이상곤의 實錄韓醫學]현종이 熊膽-牛黃을 코에 바른 理由

  • 東亞日報
  • 入力 2017年 3月 13日 03時 00分


코멘트
이상곤 갑산한의원 원장
이상곤 甲山韓醫院 院長
孝宗의 아들 顯宗은 요즘 말로 하면 ‘걸어 다니는 綜合病院’이었다. 그만큼 자주 아프고, 아픈 곳도 많았다. 承政院日記에 따르면 玄宗은 卽位 初부터 韓藥을 먹었다. 그에게 가장 많이 處方된 湯劑는 街감양格産. 火病으로 가슴이 답답한 症狀을 治療하는 藥劑였다. 玄宗은 卽位 後 7年 동안 이 湯藥을 無慮 63回나 먹었다.

이 藥의 服用이 中止된 時期는 顯宗 7年. 神奇하게도 소현 世子의 셋째 아들로 사촌지간이었던 경안군 石犬이 죽고 난 다음부터다. 玄宗의 할아버지는 仁祖로, 그의 첫째 아들인 소현 世子가 갑작스럽게 죽자 둘째 아들인 孝宗이 卽位했고 그가 죽자 아들인 玄宗에게 保衛가 옮겨갔다. 玄宗으로선 石犬의 存在가 엄청난 負擔이었다. 兩擊産을 그만큼 자주 많이 먹었다는 것은 그의 時代에 펼쳐진 禮訟 論爭, 正統性 是非 等 수많은 黨爭이 그에게 病的 스트레스를 加했음을 의미한다.

卽位 初期 그를 괴롭힌 疾患은 코가 乾燥해 생긴 萎縮性 鼻炎이었다. 主로 處方된 藥물은 靑閉山, 歲幣山, 황금탕. 이들은 各各 肺를 깨끗이 淸掃하거나 肺의 熱을 내리거나 촉촉하게 하는 藥물이다. 한放은 呼吸器의 末端인 코의 機能을 肺가 調節한다고 본다. 스트레스로 心臟이 뜨거워지면 그 위에 있는 廢 또한 熱을 받아 乾燥해진다고 본 것.

따라서 코의 健康은 濕度와 깊은 關聯이 있다. 健康한 강아지를 사려면 코가 촉촉한 강아지를 사라고 하듯 코의 촉촉한 粘液은 外部의 먼지나 異物質을 걸러내므로 내 몸의 免疫力을 알 수 있다. 最近 急增하는 알레르기 鼻炎도 코의 粘膜이 乾燥해지면서 지나치게 過敏해져 일어나는 것. 우리 몸은 粘膜이 가려워지면 콧물과 재채기로 나쁜 物質을 뱉어내고 몸을 防禦한다. 韓方에선 몸의 이런 機能을 免疫(免疫)이라 한다.

코의 熱을 내리고 촉촉해지도록 현종이 使用한 軟膏는 熊膽과 牛黃, 杏仁油로 만들었다. 쓰디 쓴 쓸개는 마음의 熱을 진정시키는 作用을 하는데, 곰의 쓸개인 熊膽과 소의 쓸개인 牛黃의 汁을 濃縮해 코에 발랐다. 鼻炎의 廉(炎)은 불 禍(火)가 두 個나 겹쳐서 만들어진 글字다. 萎縮性 鼻炎은 鼻炎 中에서도 熱이 甚해 코의 粘膜이 바짝 마른 狀態다. 살구씨 기름인 杏仁油를 쓸개汁과 함께 쓴 것은 쓴맛으로 熱을 잡아 부어오른 粘膜을 가라앉히고 杏仁油의 매끄러운 性質로 코를 촉촉하게 만들어주기 위해서다.

봄철엔 코가 더욱 乾燥해진다. 粘膜에 딱지가 생기면서 코가 막히고 가래가 코 뒤 입으로 넘어간다. 현종이 바른 牛黃이나 熊膽처럼 비싼 藥材가 아니어도 코의 受難을 막을 수 있다. 수세미나 알로에가 그 좋은 例다. 수세미는 性質이 서늘하고 매끄러워 民間에선 오래前부터 萎縮性 鼻炎 治療에 使用해 왔고, 알로에도 水分을 간직하는 卓越한 能力을 利用해 熱이 많고 乾燥한 사람들의 便祕나 皮膚 疾患 治療에 많이 쓰였다. 꽃피는 봄, 코가 바짝 마르는 낌새가 보인다면 이 藥材들을 賞福海 鼻炎을 防止해 보자.
 
이상곤 甲山韓醫院 院長
#顯宗 #熊膽 #牛黃 #코의 健康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