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0年 前 바로크 時代의 ‘n行試’, 콘서트로 만난다|동아일보

300年 前 바로크 時代의 ‘n行試’, 콘서트로 만난다

  • 東亞日報
  • 入力 2022年 5月 16日 14時 32分


코멘트
“바로크 時代의 유럽 사람들도 ‘三行詩’ 같은 말놀이를 즐겼습니다. 그들이 연주하고 듣던 音樂에도 그 文化가 反映돼 있죠.”

300年 前 유럽人들의 ‘말놀이 音樂’을 콘서트에서 만난다. 바로크 音樂 演奏團體 코리안바로크소사이어티가 17日 午後 7時半 서울 예술의전당 IBK챔버홀 舞臺에 올리는 ‘글字 퍼즐 B.A.R.O.Q.U.E.’ 演奏會다.

獨逸 作曲家 페첼의 ‘알파벳 소나타’, 프랑스 作曲家 쿠프랭과 이탈리아 作曲家 참피가 各各 作曲한 ‘예레미아 애가’ 等 세 曲을 선보인다. 참피의 曲은 世界 初演 順序가 될 거라고 코리안바로크소사이어티의 이은지 音樂監督은 귀띔했다.

세 曲의 特徵은 ‘語크로스틱스(Acrostics)’라는 詩 形式을 轉用했다는 것. 우리에게 친숙한 ‘n行試’와 비슷한 槪念이다. 詩의 各 行이나 節(節) 첫 글字를 連結하면 새로운 意味를 띠게 되는 것을 말한다.

舞臺 첫 順序인 페첼의 ‘알파벳 소나타’는 24曲의 짧은 소나타로 構成된 曲이다. “各各의 曲은 A부터 Z까지 알파벳 24字로 始作하는 女性 이름 24個가 題目으로 붙어 있습니다. 當時 I와 J, U와 V는 서로 混用되었기 때문에 26曲이 아니라 24曲이 되었죠.”

李 監督은 “이 女性 이름들은 神話에 登場하는 女神이나 實存했던 人物들의 이름들이지만 一部는 어떤 人物인지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더욱 興味롭다”고 말했다. 이番 콘서트에선 24曲 中 ‘바로크’를 뜻하는 ‘B,A,R,O,Q,U,E’ 글字 소나타 일곱 曲을 연주한다.

‘예레미아 애가’는 舊約聖書의 一部로 예루살렘의 陷落과 聖殿의 破壞를 歎息하는 텍스트다. 그리스도의 受難을 기려 復活節 直前 苦難週間에 聲樂曲으로 演奏된다. “예레미아 애價의 히브리어 텍스트가 各 節(節)마다 히브리어 알파벳 各 첫 글字로 始作합니다. 이 曲들에서는 始作하는 첫 字를 여러 音標의 連結路 處理해 强調의 效果를 높이죠.” 두 曲의 ‘예레미아 애가’에서는 소프라노 임소정이 솔로를 맡는다.

이런 콘서트를 着眼한 契機는 페첼의 ‘알파벳 소나타’였다고 李 監督은 밝혔다. “이 曲의 컨셉트가 흥미로와서, 다른 어떤 曲과 묶을까 窮理하다가 히브리어 알파벳을 使用한 ‘예레미아 애가’에 생각이 미쳤습니다. 페첼의 曲은 華麗하다기보다는 素朴한 가운데 다채로운 性格들이 모여 있어 魅力的입니다. 쿠프랭의 曲은 그의 代表作인 클라브생(鍵盤樂器) 모음曲 作曲 中에 나온 曲이라서 매우 세련된 技法을 선보이죠. 참피의 曲은 거의 알려지지 않은 作品인 만큼 바로크 曲 中에서도 새로운 色彩를 느낄 수 있습니다.”

코리안바로크소사이어티는 2018年 創團됐으며 이番이 다섯 番 째 定期公演이다. 바로크 音樂과 國樂이 어우러진 지난해 ‘바로크 어드벤처: 하멜 그리고 朝鮮’을 비롯해 每番 性格이 뚜렷한 公演을 선보여 왔다.

이은지 音樂監督은 줄리어드 音大 高音樂 過程을 卒業했고 인디애나 音大에서 피아노와 하프시코드 專攻으로 博士 課程을 밟고 있다. 이番 公演에서는 映像을 곁들인 解說을 함께 할 豫定이다. 3萬 원.


유윤종 文化專門記者gustav@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