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0歲 海女의 삶이 담긴 步말粥, 傷處 보듬어준 한 입[김재희 記者의 氏네맛]|東亞日報

70歲 海女의 삶이 담긴 步말粥, 傷處 보듬어준 한 입[김재희 記者의 氏네맛]

  • 東亞日報
  • 入力 2021年 7月 16日 03時 00分


코멘트

映畫 ‘빛나는 瞬間’ 속 濟州 步말粥

영화 ‘빛나는 순간’에서 해녀 진옥(고두심·오른쪽)이 만들어 온 보말죽을 먹는 경훈(지현우). 명필름 제공
映畫 ‘빛나는 瞬間’에서 海女 眞玉(고두심·오른쪽)이 만들어 온 洑말粥을 먹는 經訓(지현우). 명필름 提供
김재희 기자
김재희 記者
單 한 줄의 說明만으로 눈길을 끄는 映畫가 있다. 지난달 30日 開封한 ‘빛나는 瞬間’도 그렇다. ‘70歲 濟州 海女 眞玉과 30代 PD 經訓의 사랑 이야기.’ 이 한 줄의 文章이 視線을 사로잡는 건 듣는 瞬間 質問이 꼬리에 꼬리를 물기 때문이다. ‘母性愛가 아니라 멜로라고?’ ‘둘은 어쩌다 사랑에 빠질까?’

濟州 海女 眞玉(고두심)의 삶을 담기 위해 經訓(지현우)은 濟州를 찾고, 오랜 拒絶 끝에 진옥이 다큐를 찍기로 하면서 둘이 사랑하게 된다는 說明이 質問에 對한 答이지만 이는 ‘慰勞’라는 한 單語로도 갈음된다. 둘의 사랑은 慰勞에서 始作하기 때문이다. 映畫는 서로의 傷處를 알아보고 이를 眞心으로 보듬어줄 수 있는 이라면 모든 걸 超越한 사랑도 可能하다는 메시지를 傳한다.

둘의 사랑을 捕捉한 素材는 濟州 飮食 보말죽이다. 濟州에서는 바다고둥을 보말이라고 한다. 映畫에서 보말죽은 두 番 나온다. 첫 番째는 진옥이 산송장처럼 누워 눈만 껌뻑이는 男便에게 보말죽을 먹여 줄 때다. 男便을 일으켜 세워 粥을 떠먹이고, 그의 입가에 묻은 보말죽을 닦는 場面은 平生 男便을 慰勞하며 살아온 眞玉의 삶을 象徵한다. 映畫 中盤, 眞玉은 經訓에게 步말粥을 끓여 준다. 애써 經訓을 밀어내던 眞玉은 그가 아프다는 이야기를 듣고 步말粥을 만들어 찾아간다. 푸석한 얼굴의 經訓은 步말粥을 먹으며 말한다. “步말粥, 처음 들어봐요. 엄청 맛있네.”

眞玉은 살갑게 웃는 經訓의 얼굴 뒤 그늘을 直感的으로 알고 있었다. 사랑하는 사람을 바다에서 잃은 共通點이 있기에. 脚本을 쓰고 演出한 燒準門 監督(42)은 電話 인터뷰에서 “傷處를 가진 사람은 또 다른 傷處를 가진 사람을 알아본다. 眞玉은 經訓을 처음 봤을 때부터 그의 傷處를 알았다. 그걸 보듬어주는 첫걸음을 내디딘 게 步말粥 場面이다”라고 했다.

서울 중구 충무로에 1968년 문을 연 ‘송죽’에서 파는 보말죽. 김재희 기자 jetti@donga.com
서울 中區 충무로에 1968年 門을 연 ‘松竹’에서 파는 步말粥. 김재희 記者 jetti@donga.com
보말죽은 簡單해 보이지만 손이 많이 가는 飮食이다. 새끼손가락 한 마디 程度 크기의 보말에서 이쑤시개나 바늘로 살을 발라내는 건 普通 일이 아니다. 살의 끝에 달린 內臟을 따로 分離한 뒤 으깨서 국물을 내는 데 使用하고, 살은 쌀과 함께 볶는다. 소 監督이 보말죽을 擇한 理由도 精誠 때문이다. “진옥이 이쑤시개로 보말 살을 꺼내는 場面이 나오듯 보말은 수고스러운 飮食이에요. 經訓을 向한 眞玉의 마음을 보여줄 수 있다고 생각했어요.”

1968年부터 서울 中區 충무로 골목을 지켜온 ‘松竹’은 서울에서 步말粥을 파는 몇 안 되는 곳이다. 派獨 看護師였던 첫 番째 社長이 80歲가 넘으며 運營이 어려워지자 2010年 강민정 氏(46)가 가게를 引受했다. 濟州에서 나고 자란 그는 地域 特色을 살린 粥을 팔고자 보말죽을 메뉴에 넣었다. 지난해 코로나19로 觀光客이 急減해 危機를 맞은 松竹은 最近 規模를 줄여 元來 자리 隣近으로 移徙했다. 松 氏는 “移民을 갔다가 40年 만에 다시 松竹을 찾았다는 분, 일부러 松竹 옆에 房을 잡았다는 日本人 觀光客도 있었다. 傳統을 지켜야겠다는 責任感에 그만둘 수 없다”고 했다.


김재희 記者 jetti@donga.com
#김재희 記者의 氏네맛 #빛나는 瞬間 #濟州 步말粥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